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심리학적 관점에서 본 양심 이해: 융의 관점을 중심으로 (The Meaning of Conscience in Psychological Views: focused on C. G. Jung’s Psychology)

28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6.19 최종저작일 2011.12
28P 미리보기
심리학적 관점에서 본 양심 이해: 융의 관점을 중심으로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한국도덕윤리과교육학회
    · 수록지 정보 : 도덕윤리과교육 / 34호 / 115 ~ 142페이지
    · 저자명 : 윤영돈

    초록

    양심은 인간에게 고유한 소질이자 인간의 존엄성을 드러내는 정신활동이다. 대체로 윤리사상가들이나 심리학자들은 양심을 인지적 측면, 정서적 측면, 의지적(행동적) 측면으로 해명한다. 본 연구는 심리학적 관점의 양심 이해를 정신분석학, 사회학습이론, 인지발달이론의 관점에 입각하여 살펴보고, 그것의 도덕교육적 의의와 한계를 다룬다. 더 나아가 그 한계를 극복할 수 있는 하나의 대안적 관점으로 융 심리학의 양심 이해를 논구하고자 한다.
    기존의 심리학적 관점은 양심을 사회화의 맥락에서 탐구한다. 물론 양심 형성에 관한 사회화의 논의는 ‘사회적 주형’이라는 맥락에서 부모(교사)의 가치와 규범을 아동(학생)에게 일방향적으로 전수하는 관점(프로이트)으로부터 점차 환경의 영향뿐만 아니라 아동(학생)의 인지과정이나 자율성을 지지하는 관점(반두라, 호프만)과 같이 쌍방향적인 상호작용의 문맥으로 변화하고 있다. 이들의 논의를 통해서 우리는 양심을 형성하는 교육과정에서 아동(학생)의 욕구를 적절하게 고려하면서 건전한 죄책감과 수치심을 지니게 할 필요가 있으며, 이유나 근거를 제시하는 귀납적 훈육방식과 아동(학생)의 자율성을 지지하는 부모(교사)의 태도의 중요성을 확인할 수 있다.
    융 심리학의 양심 이해는 기존의 심리학적 관점을 고려하면서도 양심 현상의 선험성이나 보편성을 확보하고, 의식과 무의식을 총괄하는 자기(Selbst)에 근거하여 양심이 지닌 다층적 문제를 해명한다. 융은 양심의 형태를 인습 수준의 도덕성에 해당하는 “도덕적” 형태와 정신의 총체적인 중심으로 자기(Selbst)의 요구를 따르는 양심의 “윤리적” 형태로 구분한다. 양심의 윤리적 형태는 도덕규범이나 대중의 일반적인 요구를 넘어서는 것이다. 그것은 자기 안에 드러나는 내면의 길, 즉 도를 따르는 것이며, 참된 나로서의 자기(Selbst)의 요구를 따르는 것이다. 이런 점에서 양심을 따르는 삶은 근본적으로 자기를 실현하는 삶을 의미한다.

    영어초록

    Conscience is understood as an inherent characteristic and a kind of mental phenomenon which can reveal human dignity. Not only ethical thinkers but also psychologists often deal with the phenomenon of conscience as three dimensions : cognitive, emotional, and volitional(behavioral) dimensions. This study investigates into the educational meaning & limitation of conscience on the basis of psychological perspectives : psychoanalysis, social learning theory, and cognitive development theory. As an meaningful alternative to overcome the limitations of three psychological approach to conscience, this study will propose the approach of Jung’s psychology(analytic psychology) to conscience.
    The existing moral psychological approach to conscience handles the forming of conscience in the context of socialization. Although the aspects of socialization vary from “social mold”(Freud) which means the one-way by parent(teacher) to the interactional explanations(Bandura, Hoffmann) placing more stress upon cognitive process or autonomy of child(pupil). From these arguments we can draw positive implications that we need to consider properly the desires of child(pupil) in the curriculum for the forming of conscience, internalize wholesome guilt and shame, and use inductive discipline showing valid reason or ground between parent(teacher) and child(pupil)Jung's approach to conscience can pave a way to assuring universality or a priori aspect of conscience phenomenon as well as accommodating the educational implications of the existing moral psychological perspectives. And it can scrutinize the diverse problems of conscience on the basis of the concept of the Self(Selbst) which includes both consciousness and unconsciousness. Jung classifies the forms of conscience : “moral(moralisch)” and “ethical(ethisch)” form. Whereas the former represents conventional morality, the latter complies with the vocation of the Self. Beyond the conventional morality or the request of the mass, the ethical form of conscience follows interior way, that is, Tao which manifests itself within the Self. In this context, life living up to conscience means the life realizing the Self.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찾으시던 자료가 아닌가요?

지금 보는 자료와 연관되어 있어요!
왼쪽 화살표
오른쪽 화살표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방대한 자료 중에서 선별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목차부터 본문내용까지 자동 생성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캐시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8월 13일 수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8:08 오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