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필리핀 결혼이민여성의 한식 섭취실태 및 한식 섭취율에 따른 사회경제학적 요인 (Consumption of Han-sik and its Association with Socioeconomic Status among Filipino Immigrant Women: the Filipino Women's Diet and Health Study (FiLWHEL))

13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6.19 최종저작일 2018.12
13P 미리보기
필리핀 결혼이민여성의 한식 섭취실태 및 한식 섭취율에 따른 사회경제학적 요인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대한지역사회영양학회
    · 수록지 정보 : 대한지역사회영양학회지 / 23권 / 6호 / 475 ~ 487페이지
    · 저자명 : 김나연, 강민지, 그레이스 아브리스, 쉘린 메이 프로비도, 정효지, 홍상모, 유성훈, 이창범, 이정은

    초록

    본 연구는 한국에 거주하는 필리핀 결혼이민여성을 대상으로 개방형 식사섭취조사를 이용하여 섭취한 음식과 양을분석하여 한식섭취실태를 파악한 연구로 필리핀 결혼이민 여성이 하루 중 섭취한 한식의 종류와 빈도를 보고, 전체 음식에 대한 한식의 비율인 한식 섭취율과 거주기간, 사회경제학적 변수와의 연관성을 규명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1. 본 FiLWHEL 연구에서 필리핀 이민 여성의 한식 섭취율은 평균 58.57%이었다. 대상자 474명중 98.52%가 한식을 섭취하였고 하루 중 평균 섭취 가짓수는 6.75회였으며, 공통식은 대상자의 94.09%가, 필리핀식은 대상자의39.45%가 섭취하였다. 섭취한 한식의 음식의 가짓수는 총323가지였고 공통식은 176가지, 필리핀식은 98가지였다.
    대상자들이 섭취한 한식의 다빈도 순위를 나타냈을 때 쌀밥을 623회로 19.77%의 최고 빈도로 섭취하였고 다음이 배추김치, 잡곡밥 순이며 반찬은 달걀 프라이, 고등어구이, 멸치볶음 순이었다. 대상자들 중에는 필리핀 조미료, 녹색 채소 오크라, 코코넛 밀크 등 필리핀 음식재료를 사용하거나, 한식의 재료이지만 일반적이지 않은 조리법에 사용하는 경우도 있었다.
    2. 연구 대상자들이 섭취한 음식을 29개의 음식군으로 분류하여 섭취한 한식 가짓수를 살펴봤을 때, 한식, 공통식, 필리핀식에서 모두 사용되는 조리법인 찜과 구이의 음식은 섭취하는 한식 가짓수가 많았다. 반면 빵 및 과자류, 유제품류및 빙과류는 대부분 공통식이나 필리핀식이었고, 튀김류, 음료 및 차류, 당류, 장류 및 양념류는 상대적으로 섭취한 한식가짓수가 적었다.
    3. 연구 대상자들의 한식 섭취율에 따른 거주기간을 살펴본 결과 유의적인 연관성이 없었다. 또한 한식 섭취율은 교육수준(직업학교/대학 졸업 vs. 고등학교 졸업 이하), 연간가구소득(연 2000 만원 이상 vs. 연 2000 만원 미만), 한국어 능력(높음 vs. 낮음)과 통계적으로 유의한 연관성이 없었지만 시부모와의 동거여부(동거 vs. 비동거)에서는 한식섭취율이 가장 높은 집단(제 4사분위수)이 한식 섭취율이 가장 낮은 집단(제 1사분위수)보다 시부모와 동거할 오즈가2.41배 높았다(p-trend = 0.002).
    한국에 거주중인 한국 남성과 결혼한 필리핀 이민여성의 한식 섭취의 구성은 한국인과 유사하지만 한식 섭취율의 평균은 선행연구에서의 한국인의 한식 섭취율 평균보다 작은것으로 보아, 한국 총 거주기간이 평균 8년정도인 본 연구의필리핀 이민 여성들이 한식 적응단계였을 것으로 보인다. 섭취하는 한식 가짓수가 필리핀식 가짓수보다 2배정도 많았으나, 양념류는 한식 및 공통식 양념 외에 필리핀 고유의 양념을 사용하는 것을 확인하였다. 이는 한국 남성과 결혼하여 한식을 다양하게 섭취하고 있으나 모국 음식의 맛을 내기 위해고유의 양념을 사용하는 것으로 생각된다. 추후 이민여성들이 사용하는 양념류에 대한 연구가 필요할 것으로 사료된다.
    또한 현재 한국 결혼이민여성의 식습관이 그들의 건강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에 대한 연구가 부족하므로, 전향적인추적 연구가 필요하겠다. 나아가 한국의 중요한 구성원으로자리매김하고 있는 결혼이민여성과 그들의 자녀들이 국민건강에 미치는 영향을 지속적으로 연구해야 하겠다.

    영어초록

    Objectives: This study examined the consumption of Han-sik and its association with the years of residencein Korea and the socioeconomic status among Filipino immigrant women of the Filipino Women's Diet andHealth Study (FiLWHEL).
    Methods: A total of 474 Filipino women married to Korean men were included in the analysis. Their dietaryintake was assessed using a single-day 24-hour recall. The participants provided information on thedemographics, socioeconomic, and health-related factors through face-to-face interviews. The generalized linearmodel and logistic regression model were used to examine the association between the socioeconomic statusand consumption of Han-sik.
    Results: The mean age of the participants was 34.3 years old, and the average duration of residence in Koreawas 8.2 years. Among 474 Filipino women, a total of 467 consumed Han-sik, with an average of 6.8 fooditems per day. The Han-sik foods that the participants consumed most frequently were rice, cabbage kimchi,mixed-grain rice, and fried eggs. The average ratio of Han-sik was 58.57%. The ratio of Han-sik showed nosignificant associations with the years of residence, years of living together with their husband, educationlevels, total annual family income, or linguistic competence of Korean. However, the ratio of Han-sik use wasassociated with cohabitation with parents-in-law; the odds ratio (95% confidence interval) was 2.41 (1.18-4.92,p-trend = 0.002) comparing the fourth quartile with the first quartile of the Han-sik ratio.
    Conclusions: Filipino immigrant women in the FiLWHEL study consumed a larger number of Han-sik thanPhilippine foods. In addition, cohabitation with their parents-in-law was associated with the consumption ofHan-sik. Further epidemiologic studies will be needed to determine how the diet affects the health andwellbeing of immigrant women in Korea.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대한지역사회영양학회지”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9월 04일 목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6:17 오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