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APC모형에 기초한 가구주율 분석 (An Analysis of Household Headship Rates based on APC Model)

한국학술지에서 제공하는 국내 최고 수준의 학술 데이터베이스를 통해 다양한 논문과 학술지 정보를 만나보세요.
30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6.18 최종저작일 2018.05
30P 미리보기
APC모형에 기초한 가구주율 분석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한국주택학회
    · 수록지 정보 : 주택연구 / 26권 / 2호 / 133 ~ 162페이지
    · 저자명 : 곽하영, 유명한, 이창무

    초록

    가구수와 구성추이를 나타내는 가구주율의 추세를 파악하는 것은 가구를 기본단위로 하는 주택수요 예측에 있어서 매우 중요하다. 본 연구는 가구주율이 생애주기와 시간의 흐름에 따라 달라질 뿐 아니라 탄생코호트별 편차가 존재하고 있음을 연령, 코호트, 시점을 상호통제한 모형을 통해 확인하였다. 동시에 가구분화 행태가 구매력과 주택시장 내 가격변화와 같은 경제적 요인에 따라 어떠한 영향을 받는지 측정하였다.
    전체 가구주율의 코호트효과는 1926~35년생부터 1936~45년생에서의 정점까지 높은 수준을 보이다가 최근 코호트로 올수록 감소하는 경향을 보였다. 이는 1936~45년생을 기점으로 동일 연령대에 진입시 그 직전 세대가 유지해오던 주택소요량에 미치지 못할 수 있음을 시사한다. 남성의 경우 가구주율이 1936~45년생까지 상승패턴을 나타내다가, 이후 점차적으로 낮아지는 형태를 보였다. 여성은 1926~35년생에서 1차 정점을 보인 이후 1956~65년생까지 감소하였다가 다시 최근 코호트로 올수록 상승 추세를 보였다.
    구매력과 주거비용은 전체 가구주율에 각각 양(+)과 음(-)의 유의한 영향을 나타냈다. 남성의 가구주율에는 소득과 주거비용이 모두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영향을 나타낸 반면 여성의 경우 주거비용만이 유의한 음(-)의 효과를 보여 구매력 상승이 여성의 가구분화에 핵심적인 요인이 아님을 알 수 있었다. 전반적으로 구매력과 주택시장 변화가 시간효과를 설명하지 못하는 추정결과는 독립적인 주거형성과 밀접한 관련이 있는 경제적 요소 이외에도 다른 사회ㆍ문화적 여건이 복합적으로 가구분화 변화를 야기시키고 있음을 시사한다.

    영어초록

    Identifying the headship rates that represent the number of households and composition trend is very important in predicting the housing demand based on the household. This study identified that the headship rates depend not only on the life cycle and period effect, but also on the birth cohort effect using APC(Age-Period-Cohort) model. Also, we measured how the differentiation of households, which has been mainly discussed in terms of demography, is influenced by economic factors such as purchasing power and housing price.
    The cohort effect of total headship rates maintained a high level from 1926~35 cohort to the peak at 1936~45 cohort, and there was a steady decline in the subsequent cohorts. This suggests that when entering the same age bracket from 1936~45 cohort, there exists a decrease in the housing need levels comparing with the preceding generation. As for the gender, men increased until the peak cohort of 1936~45, and then gradually decreased. Women increased until the first peak at 1926~35 cohort, then decreased until 1956~65 cohort, and showed a rising trend toward the recent cohort.
    Purchasing power and housing cost have a positive (+) and negative (-) effect on the total headship rates. While income and housing prices have significant effect on male household differentiation, only housing prices have a significant negative (-) effect on female headship rates. The results that changes in purchasing power and housing market do not account for the time effect suggest that other social and cultural conditions besides economic factors closely related to the independent housing lead to the changes of the household differentiation.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방대한 자료 중에서 선별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목차부터 본문내용까지 자동 생성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캐시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8월 13일 수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9:06 오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