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16세기 朝鮮의 官 주도 鄕政과 豪强律 (The Sixteenth and Seventeenth Chosŏn’ the Establishment of Local Government (hyangjeong, 鄕政) and Central Government’s Law on the Powerful (hogangyul, 豪强律))

42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6.18 최종저작일 2018.12
42P 미리보기
16세기 朝鮮의 官 주도 鄕政과 豪强律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조선시대사학회
    · 수록지 정보 : 조선시대사학보 / 87호 / 73 ~ 114페이지
    · 저자명 : 김정신

    초록

    15세기 말 이래 경국대전체제의 동요로 대변되는 사회적 변동에 조선 정부는 관 주도 향정의 우위를 확인하는 방향에서 방안을 모색하였다. 대략 부민고소금지법의 천명과 수령권의 강화, 전국 군현을 대상으로 한 향약의 일률적 시행의 저지, 호강률의 제정과 실시 등이 그 구체적인 정책들이다. 그 중에서 호강률은 하삼도의 사족 중 향곡을 무단하여 민전을 강탈하고 공․사천을 은닉하며 양민을 모점하는 부류, 수령과 아전을 위협하며 송사를 일삼거나 공부의 납부를 거부하고 공채를 제때 상환하지 않는 등 관의 향정에 저항하는 부류들을 향리의 질서를 어지럽히는 자들을 호강품관으로 규정하여 전가사변 시키는 법이었다. 국가가 규정한 ‘호강’의 범주에는 재지사족 뿐만이 아니라 향리와 부호한 서천, 향촌 내 강상범죄자들이 함께 포함되어 있었으나, 호강률의 내용은 대부분 재지사족의 무단행위를 형정으로써 통제하는데 그 주안점이 있었다. 토호 적발에 대한 법안과 징치는 선초 이래 지속적으로 논의되던 사항이었지만 15세기까지의 논의는 개별적인 것이었고, 사족으로서 전가사변된 사람이 없었다 할 정도로 징치의 강도 또한 미약했다. 전국에 걸쳐 대대적인 토호 추쇄 작업을 벌이고 이를 법제화한 호강률을 제정한 것은 16세기 중종 대에 들어와 처음 시도된 일이었다.
    호강률은 집권질서의 재정립과 향촌질서의 안정을 꾀하되, 형정에 기반을 둔 국가의 통제에 중점을 두어 관과 재지사족을 관민, 군신의 관계로 재편하고 이로써 관이 주도하는 향촌질서의 우위를 계속 점해 나가는 데 그 목적이 있었다. 관 주도 향정론이 견지하였던 上下의 分義 속에서 재지사족이 향약을 통해 향정에 참여하려는 시도는 경계의 대상이 되었고, 재지사족은 호강률의 주된 적용 대상이 되었다. 刑政으로써 재지사족의 奉公․順服을 강제하였던 호강률은 국가가 규정한 ‘사족’의 범주에 포함되지 못한 재지사족을 君臣․官民의 분수를 적용할 ‘民’으로 간주하였다. 이러한 방식은 당시 성장 일로에 있었던 재지사족의 광범위한 반발을 필연적으로 초래함으로써 집권체제의 체질을 개선하는 데 일정한 한계를 노정할 수밖에 없었다.

    영어초록

    The Joseon government sought to harmonize the stability of the peasants and the existence of tenancy system. Thus, the Joseon government responded to the problem of rural villages by controlling the resistant powers and establishing a centralized government. The major policies were the strengthening of the law of prohibiting accusations against local magistrates by people(部民告訴禁止法) and the power of the Suryeong (Chief Provincial Officials), the deterrence of a uniformed enforcement of village code (鄕約) for all counties and prefectures (郡縣) around the country, establish the Law on the Powerful (豪强律) to control the locally powerful groups in the villages. The direction of such policies was to strengthen the discourse on the powerful that was led by the central government. The most notable among these policies was the Law on the Powerful, which was a punishment for those who disturbed the order of the villages and are resistant to the official government, such as extorting the land of peasants, concealing private slaves, threatening the chief provincial official and other local officials, refusing to pay taxes (貢賦), and not repaying back loans on time. These people were designated as ‘hogangpumgwan’ and with their family; they were forcibly moved to the frontiers and border areas. Due to this law, the governance of the rural villages were tied to relationships between the central government (官) and the peasants (民), and between the king (君) and his subjects (臣). However, this law also widely caused the opposition from the landlords in the rural villages who were on the path to growth, revealing the limit to strengthening the ruling system.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조선시대사학보”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9월 03일 수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8:23 오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