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尹昕의 『溪陰漫筆』 考察 (Study of Yunheun's 『Gyeeummanpil』)

한국학술지에서 제공하는 국내 최고 수준의 학술 데이터베이스를 통해 다양한 논문과 학술지 정보를 만나보세요.
32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6.18 최종저작일 2016.11
32P 미리보기
尹昕의 『溪陰漫筆』 考察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사단법인 한국문학과예술연구소
    · 수록지 정보 : 한국문학과 예술 / 20호 / 79 ~ 110페이지
    · 저자명 : 황만기

    초록

    본고는 陶齋 尹昕이 저술한 『溪陰漫筆』에 대한 연구이다. 『계음만필』은 3권 3책의 필사본으로 현재 서울대학교 규장각도서관에 소장되어 있다. 이 책은 윤흔의 호를 붙여서 『陶齋隨筆』이라고도 한다. 『溪陰漫筆』에는 서문이나 발문이 붙어 있지 않아 이 책을 집필한 시기, 편찬자의 의도, 집필과정, 서술방식, 서술 체제 등에 관한 구체적인 사항을 알 수 없다. 그러나 『溪陰漫筆』 卷3의 마지막 기사 앞의 내용이 정축년(1637)에 金慶徵의 기사를 미뤄 보건대 1637년 겨울이거나 윤흔이 임종한 해인 1638년 초반으로 추측해 볼 수가 있다. 그리고 漫筆이라는 제목에서 알 수 있듯이 漫錄, 雜錄, 筆談 등과 같이 筆記에 속한다. 필기는 일관된 서술체제로 구성되어 있지 않고, 제재 역시 정치 역사 경제 및 문화 전반, 자연현상, 인물 일화 등 온갖 영역에 미치고 있으며 일반적으로 야사, 시화, 소화 등의 구성요소를 지닌다. 해당 내용들을 권별로 분류하면 권1에 141화, 권2에 136화, 권3에 111화로 모두 388화의 주제가 실려 있다. 『계음만필』이 筆記의 요소를 갖추고 있을 뿐만 아니라, 내용적인 면에서 풍부한 정보를 담고 있음에도 불구하고 조선후기의 필기의 총화집인 『大東野乘』이나 『稗林』 등 기타 총화집에는 『溪陰漫筆』의 書名조차 거론되지 않았다. 『계음만필』에 관한 소개는 서울대 규장각의 해제가 있을 뿐, 연구 논문이나 번역본은 없는 실정이다.
    『계음만필』은 조선왕조의 시대상 내지는 인물, 학문, 문학, 풍속, 상례, 천문 등 다양한 자료들이 수록되어 있는 수필집이다. 학문적 자료로서의 가치뿐만 아니라, 16․7세기 사회, 정치, 문화, 역사 등에 대해서도 여타 기록에서 찾을 수 없는 내용들이 수록되어 있어 매우 유용한 가치를 지닌다. 특히 개인 문집 실려져 있지 않은 야사 기록 등을 통해 인물의 내면세계와 진면목까지 살펴볼 수 있는 자료라는 점에서 그 활용가치가 매우 높다. 또한 우리나라 필기문학의 외연을 확장함과 동시에 문학사적 지평을 넓혀 간다는 점에서 의의가 자못 크다고 할 수 있다.
    본고는 『계음만필』 자체에 대한 미시적 접근에서 출발하였다. 필기 전체에서 『계음만필』이 차지하는 비중이나 한국문학사에 있어서 『계음만필』이 가지는 의의에 대해서 자세히 조명하지 못한 것이 본고의 한계점이라 할 수 있다.

    영어초록

    This study examines 『Gyeeummanpil(溪陰漫筆)』 written by Dojae Yun Heun. 『Gyeeummanpil』 consists of three volumes and three books of manuscripts and is at present owned by Kyujanggak Library, Seoul National University. This book is also called as 『Dojaesupil(陶齋隨筆)』 following Yun Heun's pen name. 『Gyeeummanpil』 doesn't have a preface or an epilogue, so when this book was written, what the compiler's intention was, the writing process, its narrative style, its narrative system and others have been unknown. Yet, judging from the fact that the first half of the last story of Volume 3 of 『Gyeeummanpil』 is about Kim Gyeong-jing in the year of Jeongchuk(1637), it can be assumed to have been written in the winter of 1637 or the early 1638 when Yun Heun passed away. And, as the title of causery shows, it belongs to note literature with light essays, miscellaneous records, conversation by writing and etc. Its notes are not composed of a consistent narrative system, and its topics also cover all the areas including politics, history, economics, culture in general, natural phenomena, anecdotes of individuals and usually has the components of hidden histories, pictorial poems, short stories and so on. When relevant contents are categorized in each volume, Volume 1 has 141 stories, Volume 2 has 136 stories, and Volume 3 has 111 stories, therefore 388 stories in total. Even though 『Gyeeummanpil』 has not only the elements of note literature but also a rich stock of information in terms of contents, even its name was not mentioned in 『Daedongyaseung(大東野乘)』 or 『Paerim(稗林)』, the whole collection of note literature of the latter half of Joseon dynasty, and other ones including. As for the introduction of 『Gyeeummanpil』, there is a bibliography by Kyujanggak, SNU, but no research theses or translation.
    『Gyeeummanpil』 is a collection of essays containing a variety of materials, such as the times, figures, study, literature, customs, funeral rites, astronomy and etc. of Joseon dynasty. It not only has the values as an academic material, but also is very worthy because it includes the contents about the society, politics, culture, history and etc. of the 16th and 17th century that cannot be found in other records. In particular, it is very useful in that this material helps investigate a person's inner world and true qualities through unofficial recordes and others included in a personal collection of literary works. In addition, it is very meaningful in that it extends the denotation of Korean note literature and simultaneously broadens the prospect of literary history. This article begins from a microscopic approach to 『Gyeeummanpil』 itself. The limits of this study is that the importance of 『Gyeeummanpil』 in the whole note literature and the meanings of 『Gyeeummanpil』 in the history of Korean literature were not examined closely.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한국문학과 예술”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9월 04일 목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6:27 오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