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중국 전기자동차 산업발전과 전망: 중국 정부의 산업육성정책 평가를 중심으로 (Recent Development and Prospect of China’s Electric Vehicle Industry: Focused on China’s Industry Policy)

40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6.18 최종저작일 2017.03
40P 미리보기
중국 전기자동차 산업발전과 전망: 중국 정부의 산업육성정책 평가를 중심으로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현대중국학회
    · 수록지 정보 : 현대중국연구 / 18권 / 4호 / 101 ~ 140페이지
    · 저자명 : 박준기, 윤종석, 이현태

    초록

    이 논문은 산업혁신체제 관점에서 중국 전기차산업의 발전 상황을 개괄하고 전기차로의 패러다임 전환을 활용한 중국 자동차산업의 추격 성공가능성에 대해 고찰한다. 최근 중국 전기차산업에서는 정부의 강력한 육성 정책과 로컬브랜드들의 혁신 노력, 소비자들의 수요 증가라는 차원에서 혁신시스템이 진전되고 있다. 로컬브랜드들이 핵심기술을 빠르게 내재화하고 있고, 정부도 차세대 자동차산업의 주도권 확보와 에너지 및 환경문제 해결이라는 목표를 위해 전폭적 지원을 하고 있기 때문이다.
    중국 정부의 전기차 육성 정책은 시장 수요 확대와 기술개발 지원 역할로 구분된다. 시장 수요 창출을 위해서 정부는 공공기관의 우선구매, 면세 및 보조금 혜택, 충전 인프라 확충 등 정책을 펴고 있다. 기술개발을위해서는 주요 국가급 정책에서 전략산업으로 규정하여 시기별 혁신능력고도화 방안 및 목표를 지정하였다.
    그러나 여전히 중국이 전기차 주도로 자동차산업 주도권을 획득하기는간단하지 않다. 우선 전기차는 내연기관차에 비해 상당히 구조가 간단함에도 불구하고 기술주기가 길고 산업구조가 복잡한 자동차산업 특성을 변화시키기에는 상당한 시간을 요한다. 아직 글로벌 완성차업체나 배터리업체에 미치지 못하는 기술력도 문제다. 향후 보조금이 줄고 외국브랜드와의 경쟁이 격화되면 중국기업들이 고전할 가능성이 높다. 브랜드 가치 축적에도 시간이 필요하다. 다만 최근 전기차 외에도 스마트카 등 혁신들이빈번해지고 있음을 고려할 때, 중국 자동차산업의 의미 있는 주도권 획득여부는 이들 혁신기회를 얼마나 종합적으로 활용하느냐에 따라 달려있다.

    영어초록

    This study examines the recent development of China’s electric vehicle(EV) industry from the viewpoint of the Sectoral Innovation System and the prospect of China’s auto industry to catch-up successfully by using a paradigm shift to EV. Recently, the innovation system in China’s EV industry has advanced along with strong upbringing industry policies, innovation efforts of local brands, and increases of consumer demand. Local brands are rapidly internalizing key technologies, and the government is fully supporting initiatives for leading the next-generation auto industry to solve energy and environmental problems.
    The Chinese government’s policies to nurture EV industry are divided into market demand expansions and technology development supports. The government is implementing policies such as priority purchase of public institutions, tax exemption and subsidy benefits, and expansion of the charging infrastructure to create market demand. China has designated EV as the strategic industry to develop technology in its major national policies.
    However, taking the lead in the auto industry with EVs is still difficult for China. First of all, even though the structure of EV is relatively simple, considerable time is still required to completely change the characteristics of the automobile industry, which has a long technology cycle and a complicated industrial structure. The technological competitiveness of Chinese companies that do not reach the level of global competitors is a problem as well. In the foreseeable future, if the subsidies decline and competition with foreign brands intensifies, then Chinese players are likely to struggle.
    Accumulating brand value is also a constraint on Chinese companies.
    However, considering the more frequent innovations in recent years, such as smart cars and sharing economic models, successful catch-up of China in the automobile industry depends on how Chinese companies synthetically utilize these opportunities.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9월 04일 목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9:40 오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