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朱陸論爭의 시작, 鵝湖모임에 관한 硏究 (Study on the Start of Debate between Zhu Xi and Lu Jiuyuan, Meeting at Ehu temple)

39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6.18 최종저작일 2010.06
39P 미리보기
朱陸論爭의 시작, 鵝湖모임에 관한 硏究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한국유교학회
    · 수록지 정보 : 유교사상문화연구 / 40호 / 85 ~ 123페이지
    · 저자명 : 고재석

    초록

    본 논문은 주희와 육구연이 처음 만나 논쟁을 벌인 아호모임의 분석을 통해 둘의 논점이 무엇이었고, 모임 전후로 어떠한 특징과 과정을 겪었는지 검토하는데 목적이 있다.
    긴 역사 속에서 전개된 朱陸和會論이나 朱陸早晩同異說과 같은 논쟁에서는 아호모임 이후 둘은 서로의 관점을 절충하거나 한쪽으로 선회하였다고 보고 있다. 최근 몇몇 학자들도 주희 측의 기록을 근거로 육구령과 육구연이 모임 당시 독서공부를 거부하였으나 이후 자신의 잘못을 뉘우치고 주희 쪽으로 전환하였다고 고증하고 있다. 또 여조겸은 아호모임 이전부터 줄곧 주희와 마찬가지로 육구연 형제를 강하게 비판하였다고 보고 있다. 하지만, 주희와 육구연의 관점은 어느 한쪽으로 전환되었거나 ‘和會’할 수 있는 것이 아니다.
    주희와 육구연 형제는 첫 만남인 아호모임에서 공부 방법에 대한 명확한 인식차이를 보였다. 이러한 관점차이는 모임 이전 서로의 관계를 형성하면서부터 모임 이후 개인적 만남을 지속하는데 있어 계속 지속된다. 주희는 존덕성과 도문학 공부를 모두 중시하였다. 존덕성에 치중하면 덕성을 간직한 것이 볼 만 하지만, 도문학을 소홀히 하게 되어 인욕을 의리로 착각하고 함양하는 결과를 초래할 수 있기 때문이다. 반면 육구연은 존덕성 공부가 독서나 외부사물의 이치를 궁구한 뒤에 따로 해야 할 함양공부가 아니고, 도문학 공부 역시 본심을 확립한 자라야 비로소 가능하다고 보았다. 본심을 잃어버리면 아무리 독서를 해도 그 의미를 알 수 없고 사물의 이치 역시 궁구할 수 없기 때문이다. 또 여조겸의 경우 그가 비록 모임 후 주희와 같은 노선에서 육구연 형제의 관점을 비판했다 하더라도 이단인 불교와 같다고 시종일관 강하게 비판한 주희와 달리, 모임 초기부터 줄곧 육구연 형제의 인품과 학문적 관점에 호의적 태도를 보였고, 모임 도중에는 심지어 그들의 관점에 귀 기울이려는 태도를 보이기도 하였다.
    따라서 여기서는 아호 모임 이전 주희가 육구연에게 처음 관심을 갖게 된 시기부터 백록동서원에서의 두 번째 만남 이전까지를 범위로 삼고, 주희와 육구연 형제의 논쟁의 흐름과 핵심논점을 중점적으로 논하고자 한다.

    영어초록

    The issue of research for this paper is: in the argument between the Zhu Xi and Lu Jiuyuan starting from their mutual attention to their meeting at Ehu Temple and later, whether they stuck to their own viewpoints all the time, leading to the "mergence" or "great difference" of the two schools of thinking. The time range for this paper is from the first meeting between Zhu and Lu before their meeting at Ehu Temple when Zhu began to pay attention to Lu, until their second meeting at Bailudong lecture hall. The keypoint is the historic veinand core arguments.
    First, judging from the conclusion, Zhu and Lu's viewpoints had no way to "merge together";According to Zhu Xi's records,at their meeting at Ehu Temple, both Lu Jiuling and Lu Jiuyuan refused to do book learning. So, it is wrong to say they realized their mistake later and came close to Zhu Xi.
    Zhu Xi held that: if we lay too much stress on learning for cultivating the virtue,we can keep a good moral, but if we neglect the learning of "principles of moral", we will be unable to understand the justice and reason so as to control human desires. Hence, it is necessary to keep the learning of both aspects. Lu Jiuyuan opinion was: learning for cultivating the virtue is not an additional learning after book learning or deep study of principles of externalities, and the learning of "principles of moral" can also be started only after the establishment of the conscience. The reason is that, if we lose the conscience,even if we do book learning, we will still fail to understand its meaning, and have no way to probe into the principles of matters.
    Moreover,in appraisal of the meeting at Ehu Lake, we tend to think Lv Zuqian's attitude to Lu Jiuyuan brothers is the same as that to Zhu Xi. In fact, as early as before Ehu Temple meeting, when Lv Zuqian, who had already had exchange with Lu's brothers, commented on Lu's brothers, he said they were "people seldom seen in recent years", which formed a sharp contrast with Zhu Xi's sharp criticism of Lu's school as Zen. And at Ehu Temple meeting, Lv Zuqian showed a friendly attitude by listening respectfully to their view points.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방대한 자료 중에서 선별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목차부터 본문내용까지 자동 생성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캐시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8월 13일 수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1:15 오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