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청일전쟁 시기 중국과 일본의 대 한반도 지정학적 인식 비교연구 -이홍장(李鴻章)과 야마가타 아리토모(山縣有朋)를 중심으로- (A Comparative Study on the China and Japan’s Geopolitical Perceptions toward Korean Peninsula during the First Sino-Japanese War ―Focus on the Li Hong-Zhang and Yamagata Aritomo―)

44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6.18 최종저작일 2020.10
44P 미리보기
청일전쟁 시기 중국과 일본의 대 한반도 지정학적 인식 비교연구 -이홍장(李鴻章)과 야마가타 아리토모(山縣有朋)를 중심으로-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한일군사문화학회
    · 수록지 정보 : 한일군사문화연구 / 30권 / 147 ~ 190페이지
    · 저자명 : 이승환

    초록

    한반도는 독특한 지정학적 위치로 인해 국제정치 구조의 전환기적 상황마다 중요한 의미를 부여받아 왔다. 이러한 역사적인 경험을 이해하기 위해 본 연구는 19세기 동아시아가 맞이한 거대한 전환기 속에서 중국과 일본은 한반도를 어떻게 바라보았는지 이홍장(李鴻章)과 야마가타 아리토모(山縣有朋) 두 인물을 중심으로 살펴보았다.
    청일전쟁 시기 이홍장과 야마가타 아리토모 두 인물은 자신들이 새롭게 정립한 한반도 인식을 바탕으로 한반도라는 공간을 자국의 세력권 아래에 놓기 위한 국가 전략을 구축하여 갔다. 이홍장은 속방의 내치와 외정에는 간섭하지 않는다는 오랜 기간 이어져 온 관념적인 원칙을 수정하고 그 방향을 선회하여 한반도에 대한 적극적 관여정책을 구상한다. 한편, 야마가타 아리토모는 일본의 존립을 위한 생존공간으로서 역할해야 할 공간인 이익선을 한반도로 설정하였으며 이러한 논리는 청일전쟁 직전 일본의 대외정책의 기조가 되었다. 일본으로서는 이익선으로 설정된 한반도를 확보하기 위해 전통적으로 한반도에 강한 영향력을 가지고 있던 청국과의 충돌은 필연적이었다. 그렇지만 당시 청국은 어디까지나 한반도를 자신들의 전통적 화이질서 안의 속방이자 세력권으로 규정하였으며, 확장된 국경이라는 새로운 공간의 가치를 부여했다. 이렇듯 양국이 새롭게 정립한 한반도 인식과 구상은 상충하는 것이었으므로 결국 정합성을 얻지 못하고 청일전쟁에 이르게 된다.

    영어초록

    Due to its unique geopolitical location, the Korean Peninsula has been given important significance in every transition period of the international political structure. To understand this historical experience, this paper focused on two figures, Li Hong-Zhang and Yamagata Aritomo, concerning how China and Japan looked at the Korean Peninsula during a huge turning point of East Asia in the 19th century.
    During the First Sino-Japanese War, two figures, Li Hong-Zhang and Yamagata Aritomo, built a plan to put the Korean Peninsula under their country’s sphere of influence based on their newly established perception of the Korean Peninsula. Li Hong-Zhang intended to protect his country’s geopolitical safety net by maintaining the traditional relationship with its tributary state, to revise the long-standing ideological principle of not interfering with the internal and external affairs of its tributary state, and to change its direction to devise an active engagement policy toward the Korean Peninsula. Yamagata Aritomo established the Korean Peninsula as a LI EKI SEN(利益線) that should serve as a living space(Lebensraum) for Japan’s existence, and this logic became the keynote of its foreign policy immediately before the First Sino-Japanese War. For Japan, conflicts with China’s Qing Dynasty, which had traditionally had a strong influence on the Korean Peninsula, were inevitable to secure the Korean Peninsula, set as a LI EKI SEN. However, at that time, Qing defined the Korean Peninsula as a tributary state and sphere of influence within its traditional Sino-centric order, giving it the value of a new space called an extended border. The two countries’ newly established perceptions and ideas on the Korean Peninsula were contradicting, which eventually led to the First Sino-Japanese War without getting consistency.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한일군사문화연구”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9월 03일 수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8:29 오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