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유튜브 인플루언서의 사과 영상 내용분석 : 메시지 전략과 비언어적 커뮤니케이션을 중심으로 (A Content Analysis of YouTube Influencers’ Apology Videos : Focusing on Message Strategy and Nonverbal Communication)

52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6.18 최종저작일 2023.06
52P 미리보기
유튜브 인플루언서의 사과 영상 내용분석 : 메시지 전략과 비언어적 커뮤니케이션을 중심으로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한국언론학회
    · 수록지 정보 : 한국언론학보 / 67권 / 3호 / 239 ~ 290페이지
    · 저자명 : 송다은, 윤영민

    초록

    본 연구는 구독 경쟁이 심화되는 상황에서 증가하고 있는 유튜브 인플루언서의 사과 영상을 대상으로 하여 이들의 위기 커뮤니케이션 방법을 알아보고자 했다. 구체적으로 사과 메시지에 이용된 이미지 회복 전략은 무엇인지를 포함한 사과 내용은 무엇인지, 자신을 어떻게 영상에서 표현하는지, 이를 어떻게 전달하는지를 살펴보고 이와 더불어 비언어적 신호들이 어떻게 나타나는지를 자세, 시선, 표정으로 확인했다. 그리고 영상에 반영된 비언어적 신호, 이미지 회복 전략과 이를 시청한 공중의 반응 간 관계를 살펴보았다. 이를 위해 내용분석 방법을 활용해 만 명 이상의 팔로워를 가진 유튜브 인플루언서의 사과 영상 61개를 표집했다. 연구 결과, 이미지 회복 전략에서 사죄 전략은 모든 영상에 포함되었으며 그 다음으로 개선 행위 전략, 책임 회피 전략, 공격성 축소 전략, 부인 전략의 순서로 포함된 것으로 나타났다. 사과 영상의 내용과 관련하여 사과의 주제는 부적절한 행동 등에 의해 시청자나 사회로부터 제기된 문제 상황이 가장 많았으며 사과의 대상은 주로 시청자였고 유튜브 인플루언서가 제시한 사과 영상 후 후속 행동은 스스로에 대한 개선이 가장 많았다. 또한 높은 비율로 잘못을 인정하거나 후회를 표현하는 메시지를 찾아볼 수 있었으나 용서를 구하거나 보상을 제시하는 표현은 거의 찾아볼 수 없었다. 이러한 결과는 유튜브 인플루언서가 자신들의 성공과 관련된 팔로워와의 관계만을 고려하여 한정적으로만 표현한 사과 내용을 반영하는 결과라고 해석할 수 있을 것이다. 그리고 유튜브 인플루언서는 사과 영상에서 주로 검은 옷을 입고 스튜디오에서 사과를 했으며 이는 이와 같은 모습을 통해 인플루언서로의 책임감을 보여 진정성을 전달하려는 시도라고 할 수 있을 것이다. 영상에서 음악은 주로 이용되지 않았지만 편집 기술은 이용된 경우가 많았으며 까만 섬네일은 적용되지 않은 경우가 많았다. 사과 영상에 나타난 비언어적 신호 중에서 수동적인 자세가 가장 많이 포함되었으며 그 다음으로 시선 회피, 슬픈 표정의 순서로 나타났다. 그리고 남성 유튜브 인플루언서의 경우 여성에 비해 시선 회피를 더 많이 하고 있었다. 이미지 회복 전략과 공중의 반응 간 관계를 확인한 결과 사죄 전략과 부인 전략을 함께 구사했을 때가 부인 전략을 함께 구사하지 않았을 때보다 사과 영상 전과 비교해 이후 업로드한 영상의 뷰 수와 좋아요 수가 더 감소했다. 또한 사과 영상에 사죄 전략과 개선 행위 전략이 함께 사용되었을 경우가 함께 사용되지 않았을 때보다 사과 영상의 뷰 수가 더 많았다. 마지막으로 비언어적 신호가 영상에 포함된 정도와 공중의 반응의 관계를 살펴본 결과 영상에 수동적 자세가 많이 포함될수록 사과 영상 이후에 업로드된 영상들의 좋아요 수가 적게 감소하거나 감소하지 않았고, 시선 회피가 많이 포함될수록 사과 영상의 뷰 수가 적었다.

    영어초록

    This study sought to gain insights into effective crisis communication strategies through an analysis of the growing trend of apology videos among YouTube influencers who are constantly facing intense competition to gain and retain subscribers. Specifically, this study analyzes the content of the messages conveyed by YouTube influencers in their apology videos including image restoration strategies. The study utilized a comprehensive approach to analyzing the apology videos of YouTube influencers, including an examination of how they were represented in their videos, the apology content they used, and how they conveyed their messages. Furthermore, the study looked at nonverbal communication in apologetic videos, such as posture, gaze, and facial expressions. A content analysis method was utilized to sample 61 apology videos from YouTube influencers with over 10,000 followers. The findings revealed that all apology videos included a mortification strategy, followed by a corrective action strategy, an evading responsibility strategy, a reducing offensiveness strategy, and a denial strategy. The apology topics primarily centered on problematic situations raised by viewers or society as a result of inappropriate behavior, with the apology directed towards viewers and the follow-up action given by YouTube influencers focusing on self-improvement. This study found that apology videos predominantly admitted fault or expressed remorse, with few asking the forgiveness or offering compensation. This implies that the apologetic content was designed to keep the influencers’ relationship with their followers, which is critical to their success. Influencers frequently appeared in dark costumes and apologized in a studio setting without music in apology videos. They also commonly employed editing techniques but avoided utilizing black thumbnails. These decisions can be seen as an attempt to demonstrate sincerity and responsibility to their audience. Among the nonverbal signals observed in the apology videos, passive posture was the most frequently displayed, followed by gaze avoidance and sad expression. Male YouTube influencers tended to employ more gaze avoidance compared to females. Results from examining the relationship between image restoration strategies and public responses revealed that when both mortification and denial strategies were used together, the subsequent videos uploaded after the apology video received fewer views and likes compared to when denial strategies were not employed. Additionally, when apology videos incorporated both mortification and corrective action strategies, the view count was higher compared to when these strategies were not utilized together. Finally,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inclusion of nonverbal signals in videos and public responses showed that videos with more passive posture had fewer or no decrease in the number of likes for subsequent videos uploaded after the apology video and those with more gaze avoidance had fewer views for the apology video. Based on these findings, theoretical and practical implications are discussed.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9월 03일 수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5:07 오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