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기독교 유아의 신앙생활에 관한 문화기술 연구 - 유아부 예배와 자모실을 중심으로 - (Ethnographic Research about Christian Young Children’s Faith life in Korea - Focusing on Mother’s Faith Life, Sunday school, and Nursery room -)

32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6.18 최종저작일 2011.12
32P 미리보기
기독교 유아의 신앙생활에 관한 문화기술 연구 - 유아부 예배와 자모실을 중심으로 -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기독교학문연구회
    · 수록지 정보 : 신앙과 학문 / 16권 / 4호 / 75 ~ 106페이지
    · 저자명 : 민시인, 김미숙

    초록

    본 연구는 실제 기독교 유아들이 경험하는 신앙생활의 현실적 모습과 그 의미를 문화기술 연구를 통해 드러내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3명의 유아와 대상 유아 어머니의 신앙생활 및 주일 유아부 예배를 심층면접과 참여관찰을 통해 연구하였다. 수집된 자료의 분석결과는 다음과 같다. 먼저, 어머니의 신앙생활은 유아의 신앙생활을 가능케 하는 ‘가교’로서의 역할을 하고 있었다. 어머니의 신앙적 표현, 행위 등은 유아에게 모델이 되었으며, 기독교적 가치관은 양육태도를 통해 간접적으로 전달되고 있었다. 또한 어머니의 주중 교회 참석은 유아의 자모실 참여로 이어져 유아가 신앙생활의 한 부분인 ‘교회 공동체 생활’을 할 수 있도록 도왔다. 두 번째로, 부모와 유아가 함께하는 주일 유아부 예배에서 유아는 어머니 또는 보호자로부터 정서적 지지를 얻고 있었으며, 이는 유아의 적극적인 예배 참여에 긍정적인 역할을 하고 있었다. 또한 유아들은 부모와 함께 예배를 드리는 과정에서 예배의식에 요구되는 태도와 행동을 지도 받았다. 유아와 부모가 함께하는 예배는 어머니가 교회의 신앙 교육을 가정에서도 적극적으로 연계하도록 돕고, 유아의 신앙 표현을 잘 이해하여 활발한 신앙의 상호작용을 하도록 돕는 중요한 기능을 하였다.
    현대 기독교 유아들에게 있어 어머니는 과거의 직접적인 신앙 교육자의 역할에서 벗어나 신앙의 모델 그리고 지원자로서의 역할을 하고 있었으며, 어머니의 신앙생활과 교회 중심적 생활 패턴은 또래관계의 기회가 적고, 사회적 유대감이 긴밀하지 않은 현대 유아들에게 교제와 사회적 지지망을 제공하고 있었다.

    영어초록

    This study is to reveal the experience and the meaning of christian young children's faith life in Korea. We have focused on three young children who are being raised in a christian background, and have studied their attendance using participant observation method. We also have observed their attendance in the church nursery while their parents attended service on weekdays. In addition, we have carried out in-dept interview with the children's mothers to get an insight into the children's faith life placed at home.
    The first conclusion of the study is that the mother's faith life style was functioning as a ‘bridge’ for their child. The mother's religious expressions and actions were serving as a role-model for young children. And the mother's religious values were being passed on through their child-rearing attitude on everyday events. The most interesting thing was that the mother's faith life style became a field for their children's friendship and relationship at church. The church nursery based relationship between children and mothers were being extended outside church, which provided many opportunities for young children to meet friends and their mothers often. This enabled the children to form a sense of community and benefit from a church based social supports network. The Second conclusion is that the sunday school, which is attended with their parents, were affecting the mothers to be a more supportive parent regarding their child's religious education. The mothers who have attended the sunday school with their child, have shown more interest in their children's religious activities that are given from church. And also were a more active communicator in case of religious conversations.
    This study has shown that for christian young children today, the mother has stepped down from being a teacher of christianity but is serving a role as an supporter. Which makes the connection of church's religious education and the christian family a critical factor in young children's religious development. And that for young children, the mother's church centered life style has functioned to meet their social needs. This can be considered as a very important support for children living today.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신앙과 학문”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9월 04일 목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7:25 오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