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후쿠자와 유키치(福澤諭吉)의 ‘궁리(窮理)’ 인식과 과학제국주의 (Fukuzawa Yukichi's Understanding of Physics and Scientific Imperialism)

24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6.18 최종저작일 2015.06
24P 미리보기
후쿠자와 유키치(福澤諭吉)의 ‘궁리(窮理)’ 인식과 과학제국주의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한국동서철학회
    · 수록지 정보 : 동서철학연구 / 76호 / 191 ~ 214페이지
    · 저자명 : 김성근

    초록

    본 논문은 메이지 일본의 개화사상가 후쿠자와 유키치(福澤諭吉, 1835-1901)의 ‘궁리(窮理)’ 개념을 중심으로 그의 과학사상과 문명론을 살펴본 것이다. ‘궁리’라는 어휘는 일찍이 ‘격물’과 함께 사물의 이치에 대한 탐구를 뜻하는 주자학의 대표적 어휘였다. 그러나 후쿠자와에 의해 이 ‘궁리’ 개념은 물리적 대상세계에 대한 법칙적 탐구로 한정되었다. 즉, 후쿠자와는 ‘궁리’를 자연철학(natural philosophy), 혹은 자연과학(natural science)의 뜻으로 사용했고, 그것은 인간의 삶의 환경을 개선하는데 중요한 실용적 학문이라고 보았다.
    후쿠자와의 ‘궁리’가 문명 발달의 핵심적인 지식으로 규정된 것은 『학문의 권유』(1872년 초편), 『문명론의 개략』(1875년) 등을 통해서였다. 후쿠자와는 인류의 문명이란 애당초 ‘미개’, ‘반개’, ‘문명’이라는 3단계의 발전 과정을 거친다고 보았다. 아울러 당시 문명의 발달에서 가장 앞선 것은 서양문명으로, 그 근저에는 바로 궁리(궁리학)에 대한 탐구가 있다고 역설했다. 그러나 동시에 후쿠자와에게 있어 문명이란 국가의 독립이 없이는 가능한 것이 아니었다. 후쿠자와의 문명론에 놓인 이 같은 문명=국가의 논리는 1881년 『시사소언』의 집필 이후, 일본의 독립에 대한 위기감이 심화될수록, 후쿠자와의 문명론을 국가론 속에 매몰시켜간 요인이었다. 즉, 후쿠자와는 일본의 독립을 위해서라면 주변국인 중국, 조선을 문명의 세계로 이끌 필요가 있고, 불가피한 경우에는 위력의 사용 또한 용인될 수 있다고 주장했다. 그 같은 문명론의 국가주의적 경도는 일찍이 후쿠자와 스스로가 문명 발달의 핵심적 지식으로서 인간의 삶의 환경을 개선하는 학문으로 이해했던 ‘궁리’를 국가적 산업, 즉 식산을 위한 학문으로 재인식하게 만들었다. 즉, 후쿠자와에게 있어 문명의 발달이 국가 독립의 수단으로 인식되어갈 때, 문명 발달의 중요한 척도였던 궁리(물리)도 국가의 독립을 위한 수단으로 인식될 수밖에 없었던 것이다. 이 같은 후쿠자와의 궁리(물리) 이해는 메이지 계몽사상의 시대적 특징을 보여줌과 동시에, 20세기 초에 등장했던 일본의 ‘국가적 과학’의 모습을 미리 예견한 것이기도 했다.

    영어초록

    This article studies Fukuzawa Yukichi's scientific thought and the theory of civilization, centering on his understanding of physics, which he called Kyuri(窮理). Kyuri was one of the most important concepts of Neo-confucianism, along with a concept of Kakubutsu(格物). However, Fukuzawa redefined the concept of kyuri in the meaning of the research against the physical world. He used the term kyuri as the same meaning with natural philosophy or natural science, and illustrated that kyuri was the most useful knowledge to advance human life and environment.
    In his books, Gakumon no Susume(1872-) and Bunmeiron no Kairyaku(1875), however, Fukuzawa insisted that kyuri was the main knowledge for the development of human civilization. He also insisted that civilization could be developed through three steps, which were the uncivilized stage(野蠻), the semicivilized stage(半開), and the civilized stage(文明). Moreover, he illustrated that the reason why Western countries were highly civilized at that time was because they had studied kyuri.
    After he published jijishogen(1881), however, Fukuzawa's theory of civilization was obsessed by nationalistic thinking because he felt the crisis of independence of Japan. According to Fukuzawa, civilization of a nation could not develop unless the nation became independent first. This idea of civilizaion=nation supported Fukuzawa’s aggressive thinking that Meiji Japanese had to civilize China and Choseon to get over their national crisis, and if it was impossible, Japanese military power could be considered to those countries. Having a nationalistic understanding of the theory of civilization, Fukuzawa thought newly that kyuri should be not only the knowledge for advancing human life and environment, but also for the national increase of production. When Fukuzawa thought that the development of civilization was just a tool for national independence, butsuri was defined as the tool for national independence.
    Fukuzawa's understanding of butsuri showed the properties of Meiji thinkers' philosophy of enlightenment, and would also predict in advance Japan's national science which was connected with Japanese imperialism in the early 20th century.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동서철학연구”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방대한 자료 중에서 선별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목차부터 본문내용까지 자동 생성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캐시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8월 13일 수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11:09 오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