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소설 읽기와 마음의 발견: 兪晩柱의 <西遊記> 독서 일기 (Discover the mind while reading a novel: Yu Manju’s reading diary of Journey to the West)

32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6.18 최종저작일 2020.10
32P 미리보기
소설 읽기와 마음의 발견: 兪晩柱의 &lt;西遊記&gt; 독서 일기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근역한문학회
    · 수록지 정보 : 한문학논집(漢文學論集) / 57권 / 191 ~ 222페이지
    · 저자명 : 김하라

    초록

    18세기 서울의 일기 작가 유만주는 25세 되던 1779년 음력 10월에 『서유기』를 읽고 그 독서의 경험을 일기 <흠영>에 기록했다. 그는 이에 앞서 <묘법연화경>과 같은 불교 경전을 읽으며 한문 문장의 작법과 불교 철학에 대한 소양을 쌓아 가던 중이었다. 유만주는 명청 소설과 불경을 비교하여 읽으며, 이 두 부류가 서사물로서 공통점을 가지고 있음을 발견했다. 그는 운문과 산문이 결합된 형식, 장회체의 구성 방식, 본문 내용을 풀이하는 해설부의 존재, 문답 형식으로 독자의 주의를 환기하는 관용구의 사용, 곡진하고 섬세한 세부 묘사 등 형식과 문체의 측면에서 그 공통점을 구체적으로 정리한 후 이를 바탕으로 ‘소설 불경 기원설’이라 할 만한 견해를 정립했다.
    한편 유만주가 읽은 <서유기>는 청나라 때 진사빈이 해설을 붙인 판본인 『서유진전』이었다. 이 판본은 삼교가 혼융된 <서유기>의 특성을 받아들이되 도가철학적 경향이 강한 해석을 시도한 것이었다. 유만주는 <서유진전>을 통독했으나 도가적 해석을 받아들이지 않고 이 소설에 대해 ‘<서유기>는 <심경>의 외전’이라는 정의를 내렸다. 그의 이 정의는 <서유기>의 서사를 마음의 알레고리로 이해한 결과였다.

    영어초록

    Yu Manju兪晩柱, a 25-year-old diary witer of Seoul, read Journey to the West 『西遊記』 in lunar october 1779. Prior to that, he was reading Buddhist scriptures such as the Lotus Sutra 『法華經』 and practicing the writing. As a lover of Chinese novels, he found several similarities between Chinese novels and Buddhist scriptures. He found common points in the form of a combination of verse and prose, the chapter-titled method of composition, the presence of a commentary that interprets the contents of the text, the use of idioms to draw the reader's attention in a question-and-answer format, and detailed descriptions of curved and delicate details. And he judged that the novel had this style and form under the influence of the Buddhist scriptures. Yu Manju read True Enlightenment of Journey to the West 『西遊眞詮』, the edition commented by Chen Shibin陳士斌, a writer during the time of Kangxi Emperor of the Qing Dynasty. Commentaries with strong Taoist philosophical tendencies are attached to each episode in this edition.
    Yu Manju did not accept the Taoist interpretation and defined this novel as “a side story of the scriptures of the mind”. It is understood that he accepted the narrative of this novel as an allegory of the mind.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한문학논집(漢文學論集)”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9월 03일 수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3:13 오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