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세월호 유가족’이 된 희생자 부모의 활동과 그 의미 (The Activities of the Victims’ Bereaved Parents Who Became ‘Sewol Ferry Family’ and Their Meaning)

37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6.18 최종저작일 2019.03
37P 미리보기
‘세월호 유가족’이 된 희생자 부모의 활동과 그 의미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한국구술사학회
    · 수록지 정보 : 구술사연구 / 10권 / 1호 / 107 ~ 143페이지
    · 저자명 : 김아람

    초록

    2014년 4월 16일의 세월호 참사로 안산 단원고에 다니던 자녀를 잃은 부모들은참사 당시부터 현재까지 다양한 활동을 하고 있다. 이 글에서는 일상을 살아가던 사람들이 ‘세월호 유가족’이 되었던 과정과 그 의미를 밝히고자 하였다. 참사 직후 부모들의 장소는 진도 팽목항이었다. 이때 구조하지 않는 정부를 대면하고, 고립되어 있는상태에서 서울로 향하는 ‘진도대교 행진’을 시도하였다. 2014년 특별법 제정을 요구하는 서명 활동은 부모들이 시민들과 직접 만나게 되는 계기였다. 2014~15년에 유가족이 정부를 직접 접촉하게 될 때는 저항과 분노, 불신과 체념이 컸다. 국회와 청운동에서의 농성에서는 ‘세월호 유가족’이기 때문에 이동이 통제되었고, 공권력과 물리적 충돌이 벌어질 때는 철저한 진압의 대상이 되었다. 부모들은 과거와 달리 욕하고싸우는 사람이 되어갔다. 유가족은 정부뿐만이 아니라 사회와 계속해서 대화를 시도하고자 했고, 자신과도 애도하는 순간을 가지게 되었다. 전국 곳곳에서 간담회를 열었고, 2015년 2월에 안산부터 진도까지의 도보행진과 같은 해의 삭발식이 있었다. 유가족 부모들은 활동을 통해 활기를 얻기도 하고, 연대감과 작은 성취감을 가질 수 있었지만 활동이 없을 때, 활동이 끝난 후 공허함이나 아픔이 배가되기도 했다. 유가족에게는 웃거나 노래하는 등의 일상의 행위를 제약할 정도로 ‘유가족다움’이 요구되며부정적인 낙인이 강화되고 있다. 유가족 부모들의 활동은 진상 규명을 촉구한다는 목적의식적 행위이기도 하지만, 할 수 있는 일이 그것밖에 없어서 선택하는 일, 스스로애도하는 움직임이기도 하다. 이것은 장기적으로 사회가 참사를 기억하고, 함께 애도하며 역사화 할 수 있게 하는 원동력이다.

    영어초록

    Parents who lost their children, who attended Ansan Danwon High School, due to the Sewol ferry disaster on April 16, 2014 have been performing various activities since the time of the disaster. This paper tries to clarify the process of and its meaning to the people who have been living everyday life as the "Sewol Ferry Family". Immediately after the disaster, the parents were placed in Jindo. At this time, they met with the government that did not rescue, and attempted to 'march on the Jindo Bridge' to Seoul while being isolated. Signing activities requiring special legislation in 2014 was the opportunity for the parents to meet with the citizens. Resistance, anger, disbelief and resignation were widespread when family members came into direct contact with the government in 2014-15. In the National Assembly and Cheongwoon-dong, the movement was controlled because it was centered on the 'Sewol ferry Family' and when the physical conflict with the public authority occurred, it was subject to thorough suppression. Unlike the past, parents have become people who fight persistently. The bereaved family tried not only to communicate with the government but also to society, and had a moment of lamenting with themselves. They held a gathering around the country, and in February 2015, there was a ripening ceremony for the same walk from Ansan to Jindo. Bereaved parents were able to get active through the activity and have a sense of solidarity and a small sense of accomplishment. However, when there was no activity or when the activity was over, there was also emptiness or pain. Families being required to be "bereaved" to limit daily activities such as laughing or singing, and negative stigma is being reinforced. The activities of the parents of the survivors are conscious acts aiming to clarify the facts, but there is nothing else that can be done, so it is also a choice and a mourning movement. This is the driving force that allows society to remember, mourn, and historicize the disaster in the long run.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구술사연구”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9월 03일 수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4:35 오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