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유만주의 일상과 玩月 (A Study on Yu Man-Ju’s Daily Life and Moon Watching)

한국학술지에서 제공하는 국내 최고 수준의 학술 데이터베이스를 통해 다양한 논문과 학술지 정보를 만나보세요.
35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6.18 최종저작일 2012.08
35P 미리보기
유만주의 일상과 玩月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근역한문학회
    · 수록지 정보 : 한문학논집(漢文學論集) / 35권 / 59 ~ 93페이지
    · 저자명 : 윤세순

    초록

    유만주는 자연물 중에서도 특히 달에 무한한 애정을 갖고 있었다. 玩月은 유만주의 취미생활 중 하나였다. 유만주는 노력하지 않고도 가질 수 있는 것이 하늘의 자연물인 달이고, 달을 마음에 두고 있으면 사계절 내내 선물을 받는 것이라 생각했다. 또 달은 별스러운 것이 아니지만 품격이 있고, 달을 마주하고 있으면 오래 된 벗을 만난듯하다고 했다. 이렇게 달을 좋아하였기에 다양하게 변하는 달빛과 계절마다 달라지는 달빛을 섬세하게 관찰해낼 수 있었다.
    유만주의 완월 취미는 그의 일상생활 속에서도 여지없이 드러나는데, 언제 어디서나 달이 떠있으면 완월하려 하였다. 심지어 달에 관한 책을 편찬하려는 시도도 하고, 먹에도 ‘月’자가 들어간 이름을 붙이고, 달 모양이 새겨진 먹에 관심을 보이기도 했다. 또한 『패문운부』를 구입하여 제일 먼저 ‘月’자가 들어간 詩句를 조사해 보기도 했다. 한편 완월을 하면서 꿈속에서처럼 자신만의 황홀한 세계로 빠져들어 일상의 근심을 잠시 내려놓기도 하였다. 이렇듯이 유만주 의식의 한 켠에는 늘상 달이 자리잡고 있었는데, 특히 부친의 부임지인 군위현과 해주, 그리고 명동집에서 집중적으로 완월하였다.
    유만주는 완월하면서 전혀 ‘玩物喪志’에 구애되지 않았고, 오히려 완월할 수 있는 여건이 되는 자신을 행복한 사람으로 여겼다. 유만주에게 있어서 완월은 단순한 달구경이 아니라 그의 예술적 감식안의 발로라고 할 수 있다. 18세기 이후 경화사족을 중심으로 한 서울 사대부 지식인들의 고동서화 취미와 예술적 감식안은 어느 한 시기에 갑자기 생성된 것이 아니다. 유만주의 일상 속 완월 행위처럼 완물을 통해 그들 나름의 문화예술적 관습을 만들어 나갔기 때문에 가능했던 것이다.

    영어초록

    Yu Man-ju especially had infinite affection for the moon of all the natural objects. Moon watching was one of his hobbies. He thought that one could enjoy the moon, a natural object in the sky, without making particular efforts and that holding the moon on the mind was like getting a present throughout the year. He also said that the moon had its grace even though it was not peculiar and that facing the moon was like meeting an old friend. With such affection for the moon, he was able to observe the colorful and seasonal changes of moonlight in details.
    His hobby of moon watching was reflected in his daily life. He would try to watch the moon any time and any place as long as there was the moon in the sky. He even tried to publish a book on the moon, named his ink stick by using the Chinese character meaning “the moon”, and showed interest in an ink stick with a moon shape engraved. When purchasing Paemunwoonbu(佩文韻府), he first looked for the poetic phrases containing the Chinese character meaning “the moon.” During moon watching, he would immerse himself in a fascinating world of his own like in dreams and put aside his worries for a while. The moon always held a space in his consciousness. His intensive moon watching happened in Gunwi-hyeon and Haeju where his father was dispatched, and his Myeongdong home.
    Engaging in moon watching, he was never tied to “Wonmulsangji(玩物喪志)” and rather regarded himself as a happy person because he was in conditions to watch the moon. To him, moon watching was not a simple act of watching the moon but manifestation of his artistic discernment. The intellectuals of the noble families around Gyeonghwasajok(京華士族) in Seoul did not suddenly develop a hobby of Godongsohwa and artistic discernment in the 18th century. It was possible because they created their own cultural and artistic ethos through object watching like his moon watching in daily life.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한문학논집(漢文學論集)”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9월 04일 목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3:17 오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