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정신분석과 분열분석의 위상학적 차이에 대한 예비적 고찰: 새로운 학문의 출현 장소를 중심으로 (Preliminary Consideration on the Topological Differences between Psychoanalysis and Schizo-analysis: Focusing on the Places of Emergence of New Discipline)

45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6.18 최종저작일 2024.08
45P 미리보기
정신분석과 분열분석의 위상학적 차이에 대한 예비적 고찰: 새로운 학문의 출현 장소를 중심으로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한국현대정신분석학회
    · 수록지 정보 : 현대정신분석 / 26권 / 2호 / 71 ~ 115페이지
    · 저자명 : 이윤하

    초록

    본 논문은 정신분석과 분열분석이 출현한 당시의 상황과 사건들을 중심으로 각 학문의 주요 개념 및 관련 구조와 관계를 탐구하며, 정신분석과 가타리의 제도적 정신요법의 위상학적 차이에 대해 고찰한다. 정신분석학은 기존의 생리학적 정신의학과 초자연적·비합리적 영역 사이에서 시작되었으며, 프로이트는 무의식적 활동을 통해 무의식의 정신과정과 그 작동 원리를 탐구하며, 의학·신학·과학이 아닌, 분석주체를 중심에 두고 그의 진실에 귀를 기울인다. 분열분석은 정신분석가이자 정치활동가인 가타리와 철학자 들뢰즈의 만남에서 비롯되었다. 특히 가타리의 정신분석에 대한 지식과 라 보르드 병원에서의 경험이 분열분석에 많은 영향을 미쳤다. 가타리는 제도와 지배구조의 문제(질병)에 주목하며 집단적 무의식·사회적 무의식을 발견하고, 이의 배후에 있는 기표와 사회 구조적(경제·정치) 총체의 접합을 탐색하고 그의 재편을 고민한다. 정신분석은 무의식의 정신과정을 정서적으로 통찰하고 이를 의식화함으로써 정신 내부의 변화를 꾀한다. 반면 분열분석은 사회장으로 펼쳐진 무의식, 기존의 배치에 대한 재배치를 시도하며 외부적인 변화를 시도하는데, 이의 영역은 기존 정신분석의 경계를 넘어서 있다. 또한 정신분석의 주요 구조인 ‘몽자―분석가’ 관계는 비교적 투명하고 개방된 연결 구조를 갖는 반면, 제도적 정신요법의 ‘집단이라는 병을 겪는 자―집단의 지배구조에 위력을 미칠 수 있는 집단’의 관계는 대등한 소통을 담보할 수 없는 불투명하고 분리된 구조로 파악되며 연결성의 강도가 낮다. 이러한 위상학적 차이는 이후 각 학문의 개념과 방법에 많은 차이를 초래한다.

    영어초록

    This paper explores the main concepts and related structures and relationships of each discipline, focusing on the contexts and events surrounding the emergence of Psychoanalysis and Schizo-analysis. It examines the topological differences between Psychoanalysis and Guattari’s institutional psychotherapy. Psychoanalysis emerged between the existing physiological psychiatry and the supernatural or irrational realm, and Freud observed ‘unconscious activities’ and explored the ‘unconscious mental processes and their operating principles’. In the process, Freud focused on the analysant and listened to their truth. Schizo-analysis began with the meeting between Guattari and Deleuze. In particular, Guattari’s knowledge of Psychoanalysis and his experience at La Borde Hospital had a great influence on Schizo-analysis. Guattari focused on the ‘problems of institutions and governance’ and discovered the collective unconscious and social unconscious. Behind this, he examines ‘the articulation of signifiers and the totality of social structures (such as the economy and politics)’, and then considers their reorganization. Psychoanalysis aims to change the inner psyche by gaining emotional insight into unconscious mental processes and making them conscious. On the other hand, Schizo-analysis attempts to reorganize the unconscious spread across the social field―that is, the existing articulation―and to bring about external changes, beyond the boundaries of traditional Psychoanalysis. Additionally, while the primary structure of Psychoanalysis, the ‘dreamer-analyst’ relationship, is characterized by a relatively transparent and open connection structure, the relationship in Guattari’s institutional psychotherapy―between ‘the person suffering from the disease called group’ and ‘the group that can exert power over the ruling structure of the group’―is understood as an opaque and separated structure that cannot guarantee fair communication, with a low intensity of connectivity.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현대정신분석”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방대한 자료 중에서 선별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목차부터 본문내용까지 자동 생성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캐시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7월 31일 목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5:41 오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