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방송통신 시장 기업결합 심사 제도 개선 방안 연구 공정위의 방송통신 기업 수평결합 심결 사례를 중심으로 (The Issues and Improvement Direction of Merger & Acquisition Approval in Media Industry)

37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6.18 최종저작일 2020.07
37P 미리보기
방송통신 시장 기업결합 심사 제도 개선 방안 연구 공정위의 방송통신 기업 수평결합 심결 사례를 중심으로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한국방송학회
    · 수록지 정보 : 방송통신연구 / 111호 / 152 ~ 188페이지
    · 저자명 : 정영주

    초록

    최근 LGU+, SK텔레콤 등 통신사업자들의 케이블SO 인수 합병이 공정위와 과기정통부의 조건부 승인으로 마무리되면서, 국내 유료방송 시장은 통신 3사 중심 구조로 재편되었다. 방송 시장의 구조 변동이 지속될 것으로 전망되는 상황에서 방송통신 사업자의 기업결합 심사에 대한 법제도 개선 필요성이 제기되고 있다. 이 연구는 2010년 이후 이루어진 공정위의 케이블SO 기업결합 심사를 대상으로 시장 획정과 경쟁제한성 판단, 시정명령 내용에 대한 공정위의 판단을 분석하고, 해당 시기에 이루어진 방통위의 경쟁상황평가 결과 및 방통위가 추진한 방송 정책과의 조응성 등을 살펴 방송통신 시장 기업결합 심사 제도의 개선 방안을 모색하고자 한 것이다. 연구 결과, 일반 경쟁 규제기관으로서 공정위는 지리적 권역 시장을 중심으로 결합 당시의 상태에만 기반하여 시장을 파악하고, 가격 인상과 관련된 소비자 복지만을 상정하고 있으며, IPTV의 성장과 디지털 상품 중심으로 변화하는 미디어 환경을 반영하지 못함으로써 방송시장의 기업 결합 심사에 한계를 갖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방송의 디지털 전환 정책과 프로그램 사용료 배분 정책 등 방송산업 전반의 정책과 조응하지 못한 채 아날로그 케이블 상품 중심의 요금 인상 가능성만을 추정함으로써 유료방송 시장의 저가 요금을 고착화하고, 케이블의 디지털 전환을 지연하는 결과를 가져왔다. 방송통신 시장의 기업 결합에 대해서는 전문 규제기관이 종합적인 판단을 내리도록 제도를 개선할 필요가 있다. 이를 위해 기업 결합 심사를 공정위부터 순차적으로 진행하는 것이 아니라, 일반 규제기관과 전문 규제기관이 동시에 진행하고, 어느 한 기구의 심사 결과에 종속되는 것이 아니라, 부처간 정책 협의를 거쳐 전문 규제기관이 최종적인 판단을 내리도록 일반 규제기관과 전문 규제기관의 역할 조정이 요구된다.

    영어초록

    With the recent merger and acquisition of cable SO by telecommunications operators such as LGU + and SK Broadband with the conditional approval of the Fair Trade Commission(“KFTC”) and the Ministry of Science and ICT, the domestic pay-TV market has been reorganized into a structure centered on three telecom companies. In the situation where the structure of the broadcasting and telecommunications market is expected to continue to change, the need to improve the legal system for judging merger and acquisition of broadcasting and telecommunications operators is being raised. This study analyzes the KFTC's judgment on the standards and contents of the market definition, competition limitations, and corrective orders for the evaluation of the cable SO horizontal merger since 2010. Also, by looking at the results of the evaluation of the competition situation of the Korea Communications Commission(“KCC”) at that time and the correspondence with the broadcasting policy promoted by the KCC,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seek ways to improve the merger and acquisition review system of broadcasting and telecommunication companies. As a result of the study, as a general competition authority, the KFTC identified the market based only on the status at the time of the M&A, centered on the geographic region market, and assumed only consumer welfare related to the price increase. The failure to reflect the market environment change as the growth of IPTV and digital products showed that there was a limit to the screening of M&A in the broadcasting market. In addition, by estimating the possibility of rate hikes centered on analog cable products without coordinating with the overall broadcasting industry policies, such as the broadcasting digital conversion policy and program fee distribution policy, lower subscription fee of the pay TV market is fixed and the cable digital conversion is delayed. It is necessary to improve the system so that Sector-Specific Regulator can make comprehensive judgments on the M&A of companies in the broadcasting and telecommunication market.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방송통신연구”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9월 04일 목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8:59 오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