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중재인의 의무 위반시 제재방안에 관한 소고: 대한상사중재원 중재인의 경우를 중심으로 (Disciplinary Actions on Arbitrators: Focused on Arbitrators in the Korean Commercial Arbitration Board)

24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6.18 최종저작일 2013.09
24P 미리보기
중재인의 의무 위반시 제재방안에 관한 소고: 대한상사중재원 중재인의 경우를 중심으로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경희대학교 법학연구소
    · 수록지 정보 : 경희법학 / 48권 / 3호 / 189 ~ 212페이지
    · 저자명 : 윤은경

    초록

    중재는 사법상의 분쟁의 해결을 사법기관에 의한 재판에 의하지 않고 당사자들의 합의로 정한 절차에서 그들이 정한 사인(중재인)에 의하도록 하는 것이다. 중재에 관해 규율하고 있는 중재법은 중재절차에서 활동하는 중재인의 자격에 관해 별도로 제한을 두고 있지 아니하다. 실제로 국내 최대 상사중재기관인 대한상사중재원 중재인들 중 비법조인의 수가 법조인의 수보다 많다는 점도 중재가 소송대체적 분쟁해결방안의 일종이라는 특성을 보여준다.
    한편, 중재가 법원의 재판과는 다르다고 하더라도 사인간의 분쟁을 합리적이고 공평하게 해결하기 위해서 분쟁의 당사자들이 중재인을 지정하고, 그 중재인의 판정에 따라 분쟁이 종결되는 것이라는 점에서 중재인은 재판절차에서의 법관과 유사하다. 당사자들은 자신들이 지정한 중재인이 비록 법관은 아니라 하더라도 분쟁을 적정ㆍ공평ㆍ신속하게 해결해 줄 것을 기대한다. 그런데, 판사의 직무 및 직업윤리와 관련해서는 법관징계법과 법관윤리강령 등에서 일정한 의무를 부여하고 이를 위반할 경우 제재수단을 규정하고 있는 반면, 중재인이 분쟁절차에서 심판자로서 기대되는 의무를 위반할 경우에 대해 현행 중재법에서는 직접적인 제재수단을 규정하고 있지 않다. 다만, 중재인이 직무와 관련하여 행한 행위가 일정한 죄에 해당될 경우 형사법적으로 처벌되거나 그로 인한 손해에 대한 민사상 손해배상책임을 부담할 뿐이다. 그나마 손해배상책임의 인정도 제한적인 경우에 한정되어야 한다는 것이 다수학자들의 견해이므로 궁극적으로는 법관과 유사한 역할을 하는 중재인이 공정한 심판자로서의 역할을 하지 못할 경우에도 해당 중재인에 대한 실효성 있는 제재방안이 없다 할 것이다. 이는 중재 및 중재절차의 성격이나 증가하는 국내외 상사거래에서의 분쟁해결방안으로서 중재가 선호되는 추세라는 점 등을 고려해 볼 때, 중재절차에서 중재인의 공정성 등이 보장되지 못하는 경우에 소송 대체적 분쟁해결 방안으로서의 중재절차의 활용가능성 증대를 기대하기 어렵다는 문제에 봉착하게 된다.
    이에 이 글에서는 대한상사중재원 중재인을 중심으로 한 중재인의 법률상 지위 및 의무와 현행법상 의무 위반시 조치에 관해 살펴봄으로써 법관과 유사한 중재인의 공적 기능에 주안점을 두어 중재법에 법적 강제력이 없는 현행 중재인 윤리강령을 비롯한 중재인의 윤리적 의무를 중재인의 행위규범으로 명시하고, 나아가 중재인의 의무 위반시 직접적인 제재방안을 규정하여 중재인의 의무를 단순한 도덕적ㆍ윤리적 책무에서 법적인 의무로 개선할 것을 제안한다.

    영어초록

    Arbitration process is done by an arbitrator(s) appointed by the arbitration agreement of parties, not by the court of the nation. The Arbitration Act of Korea(hereinafter referred to as “Arbitration Act”) does not address qualifications to be arbitrators. In practice, the pool of arbitrators belonging to the Korean Commercial Arbitration Board(hereinafter referred to as “KCAB”) shows the outweighing number of non-lawyers arbitrators.
    Arbitration is one of the Alternative Dispute Resolutions which is mostly commonly used to resolute the commercial legal disputes among the parties. Given that the arbitration is primarily processed by arbitrators appointed by the parties to deal with the case being disputed and the arbitrators make a decision in the form of arbitration award, the role of arbitrators is similar with that of judges. Parties expect the arbitrators to act fairly and impartially. However, there is no direct legal grounds of disciplinary actions of arbitrators in the Arbitration Act, while judges are disciplined in accordance with the Disciplinary Act of Judges of Korea and Legal Ethics of Judges when they act unethically. Hence, it is no easy task to discipline arbitrators who violated the duty of care, duty of acting fairly and judicially, duty of acting with due diligence and duty of confidentiality. The only method to be guarantied by the Arbitration Act is to challenge the arbitrators. But the refusal does not work effectively to deter the unethical action of the arbitrators. Such arbitrators may be punished as certain crimes and/or torts under the exceptional circumstances. To promote arbitration as the most effective dispute resolution, the guaranty of fair and impartial arbitrators in the arbitration procedure would be a primary issue.This paper examined legal status and duties of arbitrators with focus on KCAB, and provisions in the current Arbitration Act and other applicable laws. And then, this paper suggests the Arbitration Act be revised to reflect the necessity of duties of arbitrators being enforceable ones just from ethical duties.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경희법학”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9월 03일 수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8:23 오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