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근대시기 환동해지역 인권의 위상학 - 1920년대 프롤레타리아 혁명문학을 중심으로 (The Topology of Human Rights of East Sea Rim Region in Modern Era :Focused on Proletarian Literature in 1920's)

31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6.18 최종저작일 2013.03
31P 미리보기
근대시기 환동해지역 인권의 위상학 - 1920년대 프롤레타리아 혁명문학을 중심으로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한국문학이론과비평학회
    · 수록지 정보 : 한국문학이론과 비평 / 17권 / 1호 / 459 ~ 489페이지
    · 저자명 : 신진숙

    초록

    본고는 혁명문학을 하나의 인권서사로 재사유하는 데 일차적인 목적이 있었다. 이에 환동해지역을 배경으로 하는 1920년대 한·중·일·러 프롤레타리아 혁명문학을 중심으로 인권의 위상학을 살펴보았다. 근대시기 사회주의 인권패러다임을 바탕으로 한 프롤레타리아 혁명문학이 프롤레타리아를 혁명주체로 정립하는 과정은 그들의 삶의 터전인 주변부 공간, 예를 들면 환동해지역과 같이 낙후된 공간을 의미 있는 혁명공간으로 재구성하는 과정과 일치하고 있음을 살펴보았다. 즉, 프롤레타리아 인권의 문제가 공간화된다. 근대시기 혁명문학은, 세계자본주의 체제에 점점 더 낙후되어가는 주변부 공간으로 자리했던 환동해지역이 오히려 혁명의 중심공간이 될 수 있었던 배경을 역사적으로 살펴보는 자료가 될 수 있다. 그런데 이 시기 혁명문학에는 고유한 인권패러다임이 작동하고 있었다. 그것은 탄압권력과 대항권력이라고 하는 이분법적인 탄압패러다임으로 요약되는데, 혁명주체는 바로 이러한 이분법적 권력체계를 전복시키는 역할을 한다. 이는 계급투쟁이 곧 인권투쟁으로 이해될 수 있다는 것을 말해주는 것으로, 문학작품 속에서는 이러한 특징이 혁명주체의 위치에 의해 다층적으로 구성되었다. 국민국가를 구성한 일본과 러시아의 경우에는 계급모순이 주를 이루지만, 식민지 혹은 반식민지였던 조선과 중국은 계급모순과 민족모순이 분리할 수 없는 상태로 형성됨으로써, 인권투쟁의 복잡성을 드러낸다. 이는 탈근대 인권의 정치에 대한 일정한 인식틀을 제공한다는 점에서 의미가 있다. 그러나 혁명문학의 인권서사가 프롤레타리아 주체를 동일화하고 인권의 가장자리에 존재하는 ‘몫이 없는 자들’의 삶을 배제시키고 있다는 점에서 한계를 드러낸다.

    영어초록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o re-think of the proletarian literature as the narrative of human rights. Accordingly, this paper is concerning the topology of human rights showed in 1920's proletarian literature especially from four countries, Chosun, China, Japan and Russia. These four countries are adjacent to East Sea Rim. In Russia the proletarian literature based on Socilalist human rights paradigm during modern era performed a vital role in creating the proletaria into the subject of the revolution. In this paper I am willing to discuss this creating process as a connection with the production of space. The East Sea Rim was the peripheral space which lagged economically behind compared to other North-East Asia region. Such peripheral spaces were made up to revolutionary space in revolutionary literature. i.e., The issue of proletarian human rights were symbolically re-emerged in that East Sea Rim space which was generally backward. In this point of view it had the ironic meaning. The proletarian revolutionary literature in modern era had the significant value as the historical data to understand the politics of human rights which existed in North-East Asia in the same time. But on the narrative of human rights of such revolutionary literature the intrinsic paradigm of human right was being operated. That was dichotomized paradigm of the relationship between repressive powers and resistant powers. The subject of the revolution was described in the literature as a being who subverted these dichotomized power system. What we know through this was that we could understand the class struggle to be the human rights struggle. But in the actual literature work the narrative of the human rights struggle was re-emerged like multi-layered. i.e., in case of Japan and Russia who already formed a nation-state the class inequality was the mainstream, but on the other hand in Chosun and China who was a colony or semi-colony the issue of class was not separated from that of nation. This is the case of what the politics of human rights is not a simple problem but the complex one. What we recognize the 1920's revolutionary literature as the narrative of human rights has a significant meaning to provide us with a clear and lucid cognition frame in regard to post-modern politics of human rights. But the narrative of human rights of the revolutionary literature proved it's own limitation by rulling the life of 'the part of no parts'(in French 'les sans-parts) who was existing around the edge of the human rights out of the process of making the proletaria the subject of the narrative of human rights.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한국문학이론과 비평”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방대한 자료 중에서 선별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목차부터 본문내용까지 자동 생성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캐시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8월 14일 목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1:57 오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