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이교 바다 위의 기독교 저승: 『코라 후손들의 항해기』에 나타난 중세의 상상 (The Christian Afterlife on the Pagan Sea: Medieval Imagination appeared in Immram curaig Ua Corra)

53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6.18 최종저작일 2022.03
53P 미리보기
이교 바다 위의 기독교 저승: 『코라 후손들의 항해기』에 나타난 중세의 상상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한국서양중세사학회
    · 수록지 정보 : 서양중세사연구 / 49호 / 135 ~ 187페이지
    · 저자명 : 주나미

    초록

    이 연구는 고대 이교 문화가 중세 중기 이후의 기독교 문화와 생생하게 공존하는 『코라 후손들의 항해기』의 독특한 면모와 성격을 구체적으로 밝히고, 그것이 지니는 역사적 의미를 찾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이는 교회가 사후세계에 부여한 새로운 역할과 공간이 저 너머의 세계에 대한 켈트의 전통적인 상상과 어떻게 상호작용하고 결합되었는지, 나아가 중세인의 심성에 어떻게 자리를 잡았는지를 이해하는 데 도움이 될 것이다.
    코라의 후손들인 죄를 지은 삼형제가 천국과 지옥에 대한 꿈을 꾸고 나서 회개하게 되었다는 전반부의 내용은 『코라 후손들의 항해기』가 저승 여행기의 틀을 적극적으로 차용하고 있다는 것을 보여준다. 아울러 삼형제의 항해에 동참하는 동료들은 이 문헌이 과거의 전통을 계승하면서도 중세 중기 이후의 새로운 사회상을 반영하고 있다는 것을 보여준다. 다른 세계에 동화되어 울부짖는 장인이 임람 장르의 옛 흔적이라면, 죽음 이후 자신의 처지를 알려주러 찾아온 어릿광대의 영혼은 사후세계에 대한 사람들의 높아진 관심과 그로 인해 귀환이 잦아진 평범한 죽은 자들의 모습을 보여준다. 그리고 항해와 귀환의 과정에서 성직자 무리가 행한 권위 있는 중개자로서의 역할은 교회가 죽음과 저승을 장악해 들어가기 시작한 사회상을 반영한다.
    본격적인 항해에서 흥미로운 점은 앞서 지옥과 천국의 꿈을 현실에서 반복하는 것을 넘어 훨씬 폭넓고 생생하게 바다 위에서 실제 저승 세계를 구현하고 있는 것이다. 예컨대 코라 후손들의 항해 중반부의 여정들은 이교 세계의 바다와 섬들로 재구성된 지옥이다. 그곳에는 다른 세계의 신과 주민들이 과거의 영광과 기쁨을 빼앗긴 채 이승에서 저지른 시시한 죄들 때문에 가혹한 형벌을 받고 있다. 한때는 자신들의 세계에 침입한 인간들을 자신들과 똑같이 만들거나 놓아주지 않았던 그들이지만 이제는 자신들의 세상에서조차 인간들이 만들어 놓은 질서의 지배를 받고 있는 것이다. 반면 ‘바다 위의 천국’은 상대적으로 기독교의 감시에서 자유롭다. 그곳은 지옥과 엄격히 구분되는 공간이 아니며, 완벽한 기독교 천국도 아니다. 이 위로와 희망의 여정들은 지옥의 여정들을 앞뒤로 느슨하게 포위하거나 내부로 들어와 있기까지 한다. 게다가 이 기쁨의 여정들은 이교 낙원과 기독교 천국 사이에 애매하게 걸쳐져 있기도 하다. 이교 세계의 낙원들이 일부는 ‘본래 모습을 간직’한 채, 일부는 ‘보다 천국다운 모습으로 변화’하며 바다 위에서 저승 세계의 나머지 부분을 구성하고 있는 것이다.
    요컨대 『코라 후손들의 항해기』에 나타난 ‘바다 위의 저승’은 이승을 지배하는 새로운 기독교 질서가 이교적 전통을 누르고 군림하는 ‘바다 위의 지옥’과 이교적 요소와 상징들에게 보다 너그러운 공간인 ‘바다 위의 천국’이 공존하는 세계이다. 이것은 중세 중기 이후 기독교 사회가 하나의 단일한 세계를 강조하고 있었지만 그 한구석에서는 여전히 바다를 타고 흘러들어온 이교 전통들이 새로운 지배 질서와 상호작용하며 다양한 사후세계의 지도를 만들고 있었음을 보여준다.

    영어초록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reveal in detail the unique aspects and characteristics of Immram curaig Ua Corra, in which ancient pagan culture coexists vividly with the Christian culture of the Middle Ages, and to find the historical significance of it. This will help us understand how the new roles and spaces that the Church has given to the afterlife have interacted and combined with the traditional Celtic imagination of the other world, and how they have taken their place in the minds of the Middle Ages.
    The first half of the story, that the three sinful brothers repented after dreaming about heaven and hell, shows that Immram curaig Ua Corra is actively borrowing the framework of their journey to the afterlife. In addition, colleagues participating in the voyage of the three brothers show that this document reflects the new social image since the middle of the Middle Ages while inheriting the traditions of the past. If the craftsman assimilated into another world is an old trace of Immram, the soul of a clown who came to inform his colleagues of his fate after death shows people's increased interest in the afterlife.
    The most interesting thing about this voyage is that it vividly embodies the worlds after death on the sea. In Hell on the Sea, the gods and inhabitants of other world are subjected to harsh punishments for the petty sins committed in their lifetime, deprived of their former glory and joy. At one time, they did not release the invaders who came to their world, but now they are governed by the order created by humans even in their own world. On the other hand, ‘Heaven on the Sea’ is relatively free from the domination of Christianity. It is not a space strictly separated from hell, nor is it a perfect Christian heaven. The paradises of the pagan world, some 'preserving their original form', some 'changing into a more heavenly form', constitute the rest of the world after death above the sea.
    In a nutshell, ‘Húi Corra’s sea’ is a world where ‘Hell on the Sea’ (the new Christian order oppresses pagan tradition) and ‘Heaven on the Sea’ (a more generous space for pagan elements and symbols) coexist. This shows that medieval Christian society was emphasizing one single world, but in one corner pagan traditions were mapping the various afterlife.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서양중세사연구”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9월 04일 목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4:15 오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