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인터페이스 디자인 관점의 국내 1인 미디어에 관한 연구-웹2.0 환경의 레이아웃 템플릿 사례 중심으로- (A Study on Interface Design of Personal Media in Korea- Focusing on Layout Template Cases in Web 2.0 Environment -)

9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6.17 최종저작일 2008.02
9P 미리보기
인터페이스 디자인 관점의 국내 1인 미디어에 관한 연구-웹2.0 환경의 레이아웃 템플릿 사례 중심으로-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한국디자인트렌드학회
    · 수록지 정보 : 한국디자인포럼 / 18호 / 49 ~ 57페이지
    · 저자명 : 김용범

    초록

    웹2.0 시대를 맞아 참여와 공유가 강조 되면서 1인 미디어가 보편화되었다. 1인 미디어를 시각화하기 위해서는 여러 가지 인터페이스 디자인 요소가 필요하다. 이러한 인터페이스의 개별적 요소를 화면상에 어떻게 배합할 것인가를 연구하는 것이 레이아웃 디자인이다. 인터페이스 설계 시 레이아웃은 콘텐츠 성향 예측이 가능하도록 제작하는 것이 중요하며, 논리적으로 보일 수 있도록 선행되어야 한다.
    본 논문은 이러한 인터페이스 디자인과 레이아웃의 관점으로 국내 1인 미디어를 연구하려 한다. 웹 콘텐츠의 인터페이스와 레이아웃의 구현 요소에 대해 살펴보고, 국내 1인 미디어의 선호도 조사를 통한 성공사례 모델을 선정하여 분석하였다. 가장 선호하는 국내 1인 미디어는 개인콘텐츠 성향과 정보콘텐츠 성향으로 나뉘며, 콘텐츠 성향을 내포하여 이용되도록 유도하는 인터페이스의 시각적 배치를 보인다. 그러한 기능의 도구로써 레이아웃 템플릿을 제공하는 것으로 해석할 수 있다. 이에 반해 다양한 콘텐츠 성향을 담기위해 사용자들에게 인터페이스 디자인의 높은 자유도를 제공하는 새로운 1인 미디어의 출현 사례를 보면, 기존 많은 회원을 보유했음에도 성과를 얻지 못하고 있다. 이는 생산자와 연출자가 개인이라는 1인 미디어의 표현의 한계를 인지하지 못한 결과로 풀이된다.
    이에 논자는 다양한 콘텐츠성향을 표출하기 위한 디자인 제공은 배제하고 아이덴티티 추구를 강조해야 한다고 논하는 바이다. 즉, 1인 미디어는 개인이 생산자이며 표현의 주체라는 한계성으로 인해 인터페이스 설계 시 디자인의 높은 자유도 제공과 같은 오류를 범해서는 안 되며, 일반 사용자 입장의 편의성을 고려한 제약된 레이아웃 템플릿을 제공하야 한다는 것이다. 이렇듯 1인 미디어는 추구하고자 하는 콘텐츠의 성향을 강조한 차별화가 명확하게 인지될 수 있는 인터페이스의 전제성을 지녀야 하며, 보편적 사용자의 표현의 한계성을 감안한 레이아웃 템플릿을 설계하고 개발해야만 사용자들에게 지속적인 선택을 받을 수 있다고 제언하는 바이다.

    영어초록

    Personal media became generalized as participation and sharing have been emphasized in the age of Web 2.0. In order to visualize the personal media, various interface design elements are required. Layout design is studying how to arrange these interface elements on a display. For interface design, it is important to make its contents predictable and look logical.
    The current study aims to examine personal media in Korea focusing on interface design and layout. In connection with the above purpose, the study investigated into interface of web content and elements of layout, and analyzed a successful case model through a preference survey for domestic personal media. Contents of the most preferred domestic personal media is divided into personal contents tendencies and information contents tendencies, and its visual arrangement of interface was designed to contain these contents tendencies. Provision of layout template can be interpreted as a tool for this function. On the contrary, new personal media providing high degree of freedom in interface design to users to contain various contents tendencies are not producing good results in spite of their large number of existing members. Perhaps, this is because they failed to recognize limitation of expression of personal media that both producers and directors are individuals.
    Accordingly, it is the researcher's position that provision of design for expressing various contents tendencies should be excluded while emphasizing pursuing identity. That is, a mistake providing too high degree of freedom in design should not be made at the time of interface design because personal media has limitation in which individuals are producers and the main bodies of expression. Also limited layout template considering convenience from general users' viewpoint should be provided. Like this, personal media should have distinctness emphasizing contents tendency to be pursued and a precondition of interface whose aura can be clearly recognized. The researcher also suggests that personal media should design and develop layout template taking into account limitation of expression of general users in order to be chosen by users consistently.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한국디자인포럼”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방대한 자료 중에서 선별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목차부터 본문내용까지 자동 생성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캐시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8월 14일 목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1:37 오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