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웹소설 플랫폼에서 나타나는 공간 생산의 주체 - 앙리 르페브르의 『공간의 생산』을 중심으로 - (The Subject of Space Production in the Web Fiction Platform - Based on Henri Lefebvre’s The Production of Space -)

36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6.17 최종저작일 2024.08
36P 미리보기
웹소설 플랫폼에서 나타나는 공간 생산의 주체 - 앙리 르페브르의 『공간의 생산』을 중심으로 -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건국대학교 글로컬문화전략연구소
    · 수록지 정보 : 문화콘텐츠연구 / 31호 / 145 ~ 180페이지
    · 저자명 : 박성준

    초록

    본고는 웹소설 플랫폼에서 나타나는 공간 생산의 주체들의 사회적 실천과 공간의 전유에 대한 사례를 중심으로 한다. 이를 통해 플랫폼에서 나타나는 공간 생산의 3 주체가 구체적으로 누구이고, 이들의 사회적 공간에 어떻게 개입하는지 논의한다. 본고는 가상 공간에서 르페브르의 공간 양식과 공간 생산의 주체들이 어떻게 나타나는지 밝힌다. 또한 본고는 웹소설 플랫폼의 사례를 바탕으로 현재 글로벌 네트워크에서 이루어지는 가상 공간의 주체들과 이들이 만들어내는 ‘공간의 생산’ 의미에 대해 논의한다.
    르페브르에 따르면, 공간은 공간적 실천, 공간 재현, 재현 공간이라는 3 계기를 통해 변증법적으로 생산된다. 그리고 이러한 공간 생산에는 지배계급, 공간 기획자, 개인이라는 공간 생산의 주체들이 개입한다. 이러한 점에서 본고는 르페브르가 제시한 공간 생산의 주체가 플랫폼에서 어떻게 나타나고, 이들의 개입을 통해 공간이 어떻게‘생산’되는지에 대해 논의한다. 공간 생산에서 공간 기획자에게 공간 구축을 강요하고 토대를 마련하는 지배계급은 가상 공간에서 글로벌 네트워크에 다양한 접속망을 소유하고 있고, 접속한 이들에게 제반 서비스를 제공하는 플랫폼을 소유한 글로벌 기업을 의미한다고 볼 수 있다. 그리고 이러한 글로벌 기업은 그들의 이데올로기를 담고 있는 토대를 공간 기획자(IT 전문가)를 통해 구축한다. 그리고 이렇게 구축된 토대(플랫폼)에 접속한 개인들은 그 토대 위에서 다각화된 공간을 만들어내며 공간을 전유한다. 다시 말해 공간을 생산하는 3 주체는 가상 공간 속에서 사라지지 않는다. 이는 가상 공간이 르페브르가 비판한 국가자본주의와 기술관료정치적 지식구조를 벗어난 새로운 독립된 공간이 아니라, 글로벌 시장 자본주의와 기술 중심의 지식구조로 대체되었을 뿐인 공간 생산임을 드러낸다. 이런 점에서 웹소설 플랫폼의 공간을 생산하는 3 주체는 플랫폼 사업자(지배계급), 작가(도시기획자), 이용자(개인)이다.
    본고는 사례를 통해 웹소설 플랫폼의 수많은 독자들이 빠르게 플랫폼을 이동하고, 넘나들면서 사태가 변화한 것을 알 수 있었다. 플랫폼이라는 가상 공간은 ‘공간이 단수가 아니라 복수 형태로 존재’하고, 병존이라는 공간적 원리를 포함한다. 다시말해 가상 공간에서 개인들이 물리적 공간에서의 개인들과 달리 공간을 넘나들고 중첩할 수 있다는 점에서 가상 공간은 ‘개인’에 의해 끊임 없이 ‘전유’되는 게릴라적 공간 생산이 이루어짐을 알 수 있었다. 그런데 이는 게릴라적인 다각화된 공간이 개인의 실천 공간에 의해 공간이 생산되는 것이라기보다 기존의 공간 생산과 같은 층위로서 ‘전유’되는 것에 지나지 않다. 이런 점에서 플랫폼은 결국 르페브르의 논의에서 벗어나지 않는다. 그러나 우리는 게릴라적 공간 생산이라는 ‘긍정’ 속에서 자치와 전유의 이념을 표방하는 공간정치가 실현될 수 있다는 ‘가능성’을 찾을 수 있다.

    영어초록

    This paper focuses on examples of the social practices and appropriation of space by the subjects of space production that appear in the web fiction platform. Through this, we discuss who the three subjects of space production that appear on the platform are specifically and how they intervene in social space. This paper reveals how the spatial patterns and subjects of space production that appear in Lefebvre’s production of space appear in virtual space. Based on the example of a web novel platform, we discuss the subjects of virtual space in the current global network and the meaning of ‘production of space’ they create.
    According to Lefebvre, space is produced dialectically through three moments: spatial practice, spatial representation, and represented space. And the subjects of space production, such as the ruling class, space planners, and individuals, are involved in this space production. In this respect, this paper discusses how the subjects of space production presented by Lefebvre appear on the platform and how space is ‘produced’ through their intervention. In space production, the ruling class that forces space planners to build space and lays the foundation can be seen as a global company that owns various access networks to the global network in virtual space and a platform that provides various services to those connected. You can. And these global companies build the foundation that contains their ideology through space planners (IT experts). And individuals who access the foundation (platform) constructed in this way create a multifaceted space on that foundation and appropriate the space. In other words, the three entities that produce space do not disappear in virtual space. This reveals that virtual space does not present a new spatial production model that escapes the state capitalism and technocratic political knowledge structure criticized by Lefebvre, but rather is a spatial production that has only been replaced by global market capitalism and technology-centered knowledge structure. In this respect, the three entities that produce the space of the web novel platform are platform operators (ruling class), writers (urban planners), and users (individuals).
    Through a case study, this paper was able to see that the situation changed as numerous readers of the web novel platform quickly moved and crossed platforms. The virtual space called the platform ‘space exists in plural form, not singular’ and includes the spatial principle of coexistence.
    In other words, in that individuals in virtual space can cross and overlap spaces, unlike individuals in physical space, it can be seen that virtual space is a guerrilla space production that is constantly ‘appropriated’ by ‘individuals’. However, this is nothing more than a guerilla-like diversified space being ‘appropriated’ at the same level as existing space production, rather than a space being produced through an individual’s practice space. In this respect, the platform does not ultimately escape Lefebvre’s discussion. However, we originate from the ‘possibility’ that spatial politics advocating the ideology of autonomy and appropriation can be realized within the ‘affirmation’ of guerrilla space production.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방대한 자료 중에서 선별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목차부터 본문내용까지 자동 생성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캐시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8월 13일 수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11:38 오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