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도심형 실버타운 웰니스 공간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Urban Silvertown Wellness Space)

한국학술지에서 제공하는 국내 최고 수준의 학술 데이터베이스를 통해 다양한 논문과 학술지 정보를 만나보세요.
14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6.17 최종저작일 2024.06
14P 미리보기
도심형 실버타운 웰니스 공간에 관한 연구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한국공간디자인학회
    · 수록지 정보 : 한국공간디자인학회 논문집 / 19권 / 4호 / 365 ~ 378페이지
    · 저자명 : 신유진, 김용성, 이남규

    초록

    (연구 배경 및 목적) 한국 사회가 초고령화 사회에 진입하며, 노후의 삶에 대한 인식도 변화하였다. 경제적으로 여유가 있는 이들은 노년의 삶의 질을 위해 의식주 및 기본 의료 관리 서비스를 제공하는 실버타운을 찾았지만, 이들이 찾는 제대로 된 시설은 자리가 부족했고, ‘실버타운 난민’이라는 신조어가 생겼다. 기존 도심형 실버타운의 연구는 공용공간이나 여가 공간, 입지요건, 배치 등에 관한 연구로, 거주자의 삶의 질을 고려한 웰니스 공간에 관한 연구는 없었다. 본 연구에서는 서울 시내 도심형 실버타운의 웰니스 공간을 분석하여 국내 실버타운 웰니스 공간의 특성을 파악하고 평가하여, 이후 계획될 도심형 실버타운 계획 시 거주자의 웰니스를 만족하게 하는 공간 형성에 참고할 수 있는 기초자료 형성에 목적을 둔다. (연구 방법) 연구의 범위는 서울 시내의 도심형 실버타운 중 의료건강, 식사, 생활편의, 안전관리, 문화·여가 서비스의 5가지 서비스가 제공되는 시설로 제한하였다. 연구의 방법은 웰니스에 관한 고찰을 통해 웰니스의 정의와 구성요소에 대해 정의하고, 웰니스 공간분석에 관한 선행 연구 분석을 통해 웰니스 공간분석의 특성요소를 도출하였다. 선정된 대상 시설의 공간을 앞서 정의한 웰니스의 구성요소에 따라 분류하고, 분류된 각 사례를 웰니스 공간분석의 특성요소를 기준으로 평가하였다. (결과) 서울시 소재 4개 실버타운 웰니스 공간분석을 종합한 결과 조형 요소에서 심미성과 구축성은 보통이나 상징성이 약하게 나타났으며, 인간 욕구 요소에서는 기능, 심리적 측면은 강하고 안전성은 보통이다. 환경요소에서는 편리성, 활용성은 강하나 쾌적성은 보통으로 나타났다. (결론) 도심형 실버타운의 웰니스 공간은 시설에서 제공하는 서비스와 프로그램에 따라 같은 공간에서 한 차원 혹은 다차원의 웰니스를 충족시킬 수 있으며, 20년 이상 노후한 건물을 리모델링해 사용하여도 거주자의 심리적 욕구를 충족시킬 수 있다는 점을 참고한다면, 현황 일부 실버타운의 웰니스 공간 개선과 앞으로 지어질 실버타운 웰니스 공간계획에도 도움이 될 것이라 기대한다. 본 연구는 도심형 실버타운 중 서울 시내의 사례로 범위를 제한하였으나, 서울 외 지역의 도심지역 또한 각 지역의 특성에 따른 도시형 실버타운이 계획되어 있으므로 후속 연구에서는 지역 도시형 실버타운을 포함한 다양한 사례분석이 요구된다.

    영어초록

    (Background and Purpose) As Korean society entered a super-aging society, the perception of life in old age also changed. Those who could afford it economically visited silver towns that provided food, clothing, shelter, and basic medical care services for the quality of life in old age, but the proper facilities they were looking for lacked seats, and the new term 'Silvertown Refugee' was created. The existing urban silver town study was a study on public spaces, leisure spaces, location requirements, and arrangements, and there was no study on wellness spaces considering the quality of life of residents.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the wellness space in downtown Seoul to identify and evaluate the characteristics of the domestic wellness space, and to form basic data that can be referenced to form a space that satisfies the wellness of residents when planning an urban silver town to be planned later. (Method) The scope of the study is limited to facilities that provide five services: medical health, eating, life convenience, safety management, and cultural and leisure services among urban silver towns in downtown Seoul. The method of the study defines the definition and components of wellness through a review of wellness, and derives characteristic elements of wellness space analysis through analysis of previous studies on wellness space analysis. The space of the selected target facility is classified according to the components of the previously defined wellness, and each classified case is evaluated based on the characteristics of the wellness space analysis. (Results) As a result of synthesizing the analysis of the four silver town wellness spaces in Seoul, aesthetics and construction were usually weak in the formative elements, but the function and psychological aspects were strong in the elements of human needs, and safety were moderate. In terms of environmental factors, convenience and usability were strong, but comfort were moderate. (Conclusions) Considering that the wellness space of an urban silver town can satisfy one-dimensional or multi-dimensional wellness in the same space depending on the services and programs provided by the facility, and that remodeling and using old buildings for more than 20 years can satisfy the psychological needs of residents, it is expected that it will help improve the wellness space of some silver towns and the plan for the silver town wellness space to be built in the future. This study limited the scope to downtown Seoul among urban silver towns, but since urban silver towns outside of Seoul are also planned according to the characteristics of each region, subsequent studies require various case analyses, including local urban silver towns.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한국공간디자인학회 논문집”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9월 03일 수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7:04 오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