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20세기 초 서양연극의 한국도입과 한국 가톨릭교회 - 1917년 2월15일 『경향잡지』의 「연극의 이해」 기사를 중심으로 (The introduction of Western theater in early 20th century and Korean Catholic Church - “The Understanting of Theatre”, Kyunghyang Magazine, Feburary 15, 1917)

35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6.17 최종저작일 2018.11
35P 미리보기
20세기 초 서양연극의 한국도입과 한국 가톨릭교회 - 1917년 2월15일 『경향잡지』의 「연극의 이해」 기사를 중심으로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한국연극학회
    · 수록지 정보 : 한국연극학 / 1권 / 68호 / 173 ~ 207페이지
    · 저자명 : 이현주

    초록

    오랫동안 서구와의 접촉을 단절하였던 한국은 19세기 이전까지만 해도 서구인들에게는 매우 신비하고 비밀스러운 나라였다. 19세기 말에 자의적, 타의적으로 왕조의 문을 열며 수교조약을 통해 세계와 소통하기 시작하였고, 20세기 후반부터는 세계에 한국의 역사와 문화를 능동적으로 알리게 된다.
    한국의 근대, 혹 개화기 시대 역사 연구는 서양인들의 기록과 증언에 상당 부분 의존하였고, 사전 편찬 활동 역시 그들의 한국어 작업에 바탕을 두기도 하였다. 예를 들면, 한불(불한) 혹은 한영(영한) 사전의 시초는 19세기 선교사들의 노력의 결과였다.
    그러나 한국을 바라보는 서구인들의 시각과 서술은 그들의 문화, 상황, 배경이라는 프리즘을 거친 시선이다. 그들의 아카이브는 ‘우리’에 관한 증언이기도 하지만 사실 우리를 보는 ‘그들의’ 사고방식과 문화들에 관한 증언인 것이다.
    본 원고는 1917년 2월 15일 『경향잡지』 71-72쪽에 실린 「연극의 리해」라는 기사를 통해 20세기 초 서양연극의 한국도입 당시 한국 가톨릭교회의 입장을 살펴보고자한다.
    이미 예르지 그로토브스키(Jerzy Grostowski, 1933-1999)는 서양이 어디서 시작해 어디서 끝나는지에 대한 근본적인 의문을 제기 하였고, 프랑스의 연극학자들도 비판적이고 새로운 시각으로 (서양) 연극역사에 대한 질문을 다시 던지고 있다. ‘한국 가톨릭교회’ 역시 보편적이고 획일적인 것이 아니다. 이런 것들을 바탕으로, 한국에서 서양연극과 가톨릭교회의 만남, 이해와 오해를 통해 형성되는 문화 의식의 변화와 계승, 변용에 대해 생각해보고자한다.

    영어초록

    As Korea upheld an isolationist policy that deterred them from contact with the West up until the 19th century, it Korea remained an exotic, secretive land for Westerners for a long time near the end of the 19th century, the Korean dynasty opened their doors to interact with other countries in part voluntarily and in part forcedly. The ‘diplomatic treaty’ they agreed on actively spread Korean history and culture throughout the world during the mid- and late-20th century.
    Ironically, studies of Korea’s modern, or enlightenment period relied heavily on Westerners’ records and testimonies. Even dictionary compilations were based on foreigners’ work on Korean. For instance, the Korean-English and Korean-French and vice versa dictionaries were first completed by the missionaries in the 19th century.
    However, Westerners’ perspectives on and depictions of Korea are ultimately based on their culture, circumstances and contextualisation. Their archives may have more value when assessing how ‘they’ interacted with and perceived other cultures and mindsets (the ‘other’), rather than as a generally verified testimony of how ‘we’ used to be. As such, reverse anthropology suggests a switch between the ‘subject’ and the ‘object’, and has risen as an important approach in postcolonial studies. Nicolas Standaert, a professor of Chinese Studies at KU Leuven, Belgium and Jesuit father, emphasizes that in religious studies, the history of missionary work also “has to be viewed not via the missionaries eyes, but the eyes of those who encountered the missionaries”.
    This paper examines the Korean Catholic church’s attitudes towards the introduction of Western plays to Korea during the early 20th century, as gleaned from a Kyunghyang Magazine article (published on Feburary 15, 1917 under the title “The Understanting of Theatre”, p.71-72). Furthermore, these attitudes will be held in comparison to those of the French Catholic church. Some careful speculations will also be made on how those attitudes may have impacted the theatrical activities of Korean theological seminary students versus those of others.
    ‘Western play’ is not a proper noun, and therefore cannot be defined succinctly and definitively. Jerzy Grotowski questioned precisely where ‘the West’ is considered to begin and end, so did French theatre scholars in the 21st century, who critically inquired in depth what (Western) plays are. ‘The attitude and stance of the Korean Catholic church’ is also a complex, multifaceted heritage composed of various cultural exhibits and thus, cannot be generalized as a singular entity.
    This article explores the intersections between change and succession, bias and perception, understanding and ignorance, underlining any contact that takes place between people or ‘others.’ It further suggests a change in how the ‘subject’ and ‘object’ have been viewed and treated historically during modernization and enlightenment processes. Ultimately, it testifies to a need to transfigure a new consciousness with which societal, cultural, artistic, and religious phenomena are perceived.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 전문가요청 배너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10월 19일 일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6:37 오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