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순례공감장 : 망월묘역과 5월의 기억 (Sympathetic Field of Pilgrimage : Mangwol-dong Grave Yard and Memory of May 18th)

42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6.17 최종저작일 2021.03
42P 미리보기
순례공감장 : 망월묘역과 5월의 기억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전남대학교 호남학연구원
    · 수록지 정보 : 감성연구 / 22호 / 307 ~ 348페이지
    · 저자명 : 김봉국

    초록

    이 글은 1980년 5・18항쟁 이후 5월운동 과정에서 전개되었던 애도와 순례(巡禮)를 5월 공감장(共感場)과 감성적 주체의 형성 과정이자 그 출현을 실증하는 것으로 바라보고, 그 구체적 양상을 추적했다. ‘기억의 정치’ 속에서 항쟁의 진실과 참상을 실증하는 망월묘역을 향한 순례행렬은 권력이 강제한 집단기억과는 다른 대항기억을 새긴 새로운 감성적 주체들의 저항적 실천이었고, 그들의 실천 속에서 망월묘역은 ‘폭도들의 묘지’에서 ‘민주 성지’로 재편되었다. 동시에 망월묘역의 장소성은 그것을 매개로 한 광범위한 순례공감장을 형성하고 5월운동을 촉진했다. 하지만 망월묘역에 뿌리를 둔 순례공감장이 균질하고 정적인 것은 아니었다. 그것은 한국사회의 5・18항쟁을 매개로 한 정치적 역학관계 및 담론지형을 배경으로, 민주주의를 내기물로 상정했던 ‘공범’ 세력 간 상호 대립과 충돌이 지속된 유동적인 공간이었다. 결국 5・18항쟁이 국가기념일로 지정되면서 망월묘역은 ‘구묘역’과 ‘국립5・18민주묘지’로 분리되었고, 오늘날 두 개의 묘역은 5월에 대한 서로 다른 기억의 뿌리이자 출발점이 되고 있다. 기념의 국가화가 낳은 문제를 성찰하는 데 있어 순례공감장이 만든 망월묘역의 장소성과 5월의 기억은 지금 여기 무엇을 말하고 기억할 것인가를 시사한다.

    영어초록

    This paper regards the mourning and pilgrimage that took place during the May Movement after the May 18 People's Uprising in 1980 as a demonstration of the formation of a sympathetic field and emotional agent, as well as the emergence of it. It traced the specific aspect of it. The pilgrimage procession toward Mangwol Grave Yard, which demonstrates the truth and tragedy of the struggle in the “politics of memory,” was a resistive practice of new emotional subjects who engraved a counter memory different from the collective memory forced by the power. In their practice, the Mangwol Grave Yard was reorganized from the “Mobs' Cemetery” to the “Democratic Holy Land”. At the same time, the placeness of Mangwol Grave Yard formed an extensive pilgrimage sympathy through it and promoted the May Movement. It was a fluid space in which confrontation and conflict between the “accomplices” forces who assumed democracy as a stake against the backdrop of the political dynamics and discourse terrain through the May 18 Uprising in Korean society continued. Eventually, as the May 18 Uprising was designated as a national anniversary, Mangwol Grave Yard was divided into 'Old Grave Yard' and 'National 5.18 Democratic Cemetery', and today the two cemeteries are the roots and starting points of different memories of May. In reflecting on the problems created by the nationalization of the commemoration, the placeness of Mangwol Grave Yard created by Pilgrimage Sympathetic and the memory of May suggests what to say and remember here and now.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감성연구”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9월 04일 목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8:30 오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