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천안, 아산 원도심 상업지역의 도시공간구조 비교 분석 연구 (A Study on the Comparative Analysis of Urban Spatial Structure of Old Downtown Commercial Areas in Cheonan and Asan)

14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6.17 최종저작일 2021.02
14P 미리보기
천안, 아산 원도심 상업지역의 도시공간구조 비교 분석 연구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한국공간디자인학회
    · 수록지 정보 : 한국공간디자인학회 논문집 / 16권 / 1호 / 21 ~ 34페이지
    · 저자명 : 이기석

    초록

    (연구배경 및 목적) 도시는 영원히 존재하는 것이 아니라 사회적 상황에 따라 소멸되기도 하고 새롭게 탄생하기도 하기에 도시는 살아있는 유기체에 비유되기도 한다. 본 연구에서는 충남의 대표적인 두 도시인 천안시와 아산시의 원도심 지역을 대상으로 도시가 성장함에 따라 주변 외곽부로 도시의 발달 범위가 넓어지면서 기존 원도심이 쇠퇴되어 가는 모습에 주목하여 그 원인을 도시구조적인 관점에서 분석해 보고, 개선 방안을 모색하고자 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연구방법) 먼저, 천안시와 아산시 원도심 지역의 전체 인구수, 65세 이상 고령자 인구수, 사업체수 변화추이를 통계자료를 통해 살펴본다. 다음으로는 천안시와 아산시 원도심의 상업지역을 공간구문론 축선도 분석 프로그램을 통해 분석하며, 분석의 범위를 거시적 범위와 미시적 범위로 구분하여 분석의 객관성을 높이고자 한다. (결과) 원도심 주변 광역분석에서는 천안시가 아산시 보다 공간 연결성과 공간 접근성이 더 높게 나타나고 있고, 공간 인식의 명료성은 천안시와 아산시가 거의 비슷한 수준을 보이고 있다. 반면, 원도심 상업지역 분석에서는 아산시가 천안시 보다 공간 연결성, 공간 접근성, 공간 인식의 명료성이 모두 더 높게 나타나고 있다. (결론) 천안시와 아산시 원도심에 대한 통계자료분석, 공간구문론 분석, 도시기반시설 분포 현황분석을 통해 도출된 결론은 다음과 같다. 천안시와 아산시의 전체 인구수는 증가 추세에 있으나 천안시와 아산시 원도심지역의 인구수는 지속적으로 감소 추세에 있다. 예외적으로 아산시 원도심 지역 중 온양1동은 유일하게 인구증가추세에 있다. 천안시와 아산시의 65세 이상 고령자 인구수는 전체 인구수와 원도심지역의 인구수 모두 증가 추세에 있다. 천안시 보다는 아산시 원도심 상업지역이 공간구조적으로 도심 활성화를 시키기에 더 유리한 조건을 갖추고 있다고 볼 수 있다. 천안시 원도심 상업지역을 더욱 활성화시키기 위해서는 경부선 철도로 양분된 천안시의 동측과 서측의 공간 연결성, 공간 위상도, 위상인식도를 높일 수 있는 방안 즉, 천안의 동서방향을 연결하는 도로체계의 개선이 우선적으로 더 필요하다고 판단된다.

    영어초록

    (Background and Purpose) A city does not exist forever, but goes extinct or is newly established, depending on the social circumstances. Thus, a city could be compared to a living organism. Looking at the current decline of the old downtowns in Cheonan and Asan City, two representative cities of Chungnam region where the development range expanded to surrounding outskirts, this study aims to analyze the causes for the decline through the urban structural perspective, and considers measures for restoration and improvement. (Method) First, this study examines the overall populations of the old downtowns, the proportion of the aged population (above 65 years), and the trends related to changes in the number of businesses in Cheonan and Asan City through statistical data. Next, this study aims to analyze the old downtown commercial areas in Cheonan and Asan City through the Space Syntax Axial Map Analysis Program. The objectivity of the analysis is increased by dividing the range of analysis into macroscopic and microscopic ranges. (Results) In the analysis of broad areas around old downtowns, Cheonan City showed higher spatial connectivity and spatial accessibility than Asan City. Regarding the clarity of spatial perception, both cities were on similar levels. On the other hand, in the analysis of old downtown commercial areas, Asan City showed higher spatial connectivity, spatial accessibility, and clarity of spatial perception than Cheonan City. (Conclusion) Through the statistical data analysis, space syntax analysis, and the analysis on the current status of urban infrastructure in old downtowns of Cheonan and Asan City, the following conclusions have been drawn. Even though the overall populations of Cheonan and Asan City tend to be increasing, the populations of old downtowns in Cheonan and Asan City are continuously decreasing. Exceptionally, Onyang 1-dong in the old downtowns of Asan City is the only place showing a rising population. Regarding the aged over-65 population in Cheonan and Asan City, their proportion in the overall population and in the population of old downtowns is increasing. It could be interpreted that the old downtown commercial areas in Asan City are equipped with more advantageous conditions for vitalization in terms of spatial structure than Cheonan City. In order to rehabilitate the old downtown commercial areas in Cheonan City, it would be necessary to improve the road system connecting east and west Cheonan to increase the spatial connectivity, integration, and intelligibility of east and west Cheonan City that are separated by the Gyeongbu(Seoul-Busan) railway.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한국공간디자인학회 논문집”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방대한 자료 중에서 선별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목차부터 본문내용까지 자동 생성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캐시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8월 13일 수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1:25 오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