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園幸乙卯整理儀軌』 圖式, 그림으로 전하는 효과와 전략 (Visual Strategy in the Royal Protocol: Illustrations in Wonhaeng-ulmyo-jeongri-uigwe)

31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6.16 최종저작일 2018.06
31P 미리보기
『園幸乙卯整理儀軌』 圖式, 그림으로 전하는 효과와 전략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서울대학교 규장각한국학연구원
    · 수록지 정보 : 규장각 / 52호 / 187 ~ 217페이지
    · 저자명 : 유재빈

    초록

    『원행을묘정리의궤』는 정조대 유일하게 御定書로 편찬된 의궤이다. 이는 『정리의궤』가 기존 의궤의 제작 관행을 따르지 않고 특별한 체제와 기능을 가졌음을 의미한다. 특히 이전과 구분되는 『정리의궤』의 특징은 의궤가 관리자를 위한 실무적 기능 뿐 아니라 참석자에게 행사의 의의를 전파하는 홍보적인 기능을 지녔다는 점이다. 이는 『정리의궤』의 편집과 출간방식- 행사의 전모를 종합하고 재구성하였으며, 활자로 대량 인쇄되어 배포되었다는 점을 통해서 알 수 있다.
    『정리의궤』의 圖說은 이러한 의궤의 새로운 기능에서 핵심적인 역할을 담당하고 있다. 의궤의 문자 기록은 국왕의 전교에서 시작하여, 연설, 계사, 이문, 내관 등 문서 작성자의 위계나 담당 분과를 기준으로 한 기존의 편집 체계를 상당 부분 따르고 있다. 그러나 도설은 卷首에 독립되어 본편과는 구별되는 자체적인 편집 원리를 가지고 있다. 의궤 도설의 가장 중심 되는 편집 원리는 도설을 행사와 행차로 나누고, 행사가 ‘계획된’ 순서대로 배열하는 것이었다. 행사와 관계된 물건과 복식, 공연에 대한 도설은 행사 장면 바로 뒤에 이어서 편집하여, 하나의 행사를 종합적으로 이해하게 해주었다. 기존의 의궤들이 행사에 소용된 물건들을 각각의 담당 부서별로 나누어 편집한 것과는 달리 내용상으로 구성하였다고 할 수 있다. 이처럼 『정리의궤』는 관리자보다는 독자의 시각으로, 행사를 재수행하기보다는 행사가 기억되기를 바라는 방식으로 편집되었다고 할 수 있다.
    『정리의궤』가 사용한 표현 방식은 행사의 기억에 시각적 사실성을 부여하는 역할을 하였다. 『정리의궤』에는 평행사선구도, 투시도법, 기술도법 등 새로운 도법이 시도되었다. 이들 새로운 도법은 행사 장면을 현장감 있게 전달할 뿐 아니라, 사용된 물건과 시설에 대해서 논리적이고 체계적인 설명을 가능하게 하였다. 기존의 의궤의 도설이 의물을 상징적으로 제시하는데 그쳤다면 『정리의궤』 도설은 실제 사용된 물건과 정확히 부합하고자 하였다. 도설은 정확하고 체계적인 시각 정보를 제공함으로써 독자들이 구체적인 이미지로 행사를 재구성하는데 기여하였다고 할 수 있다.
    『정리의궤』 도설은 이후 을묘년 원행에 대한 기억을 구성하는데 중심적인 역할을 하였다. 의궤와는 별도로 채색을 입힌 도설이 『정리의궤도』라는 책자로 제작되었다거나, 『정리의궤』를 하사받은 참가자가 도설에 대한 記文으로 원행을 정리하고 있는 것은 이를 잘 보여주는 예라고 할 수 있다. 도설에 대한 참가자의 반응과 의궤 도설의 감상화로의 확장에 대해서는 추후의 과제로 삼겠다.

    영어초록

    This paper analyzed the construction and style of the prints in the Wonhaeng- ulmyo-jeongri-uigwe (Royal Protocol concerning King Jeongjo's Visit to his Father’s Tomb in Hwaseong in 1795) and examined the function of visual documentation in the Era of King Jeongjo(r. 1776-1800). The 56 pages of prints in Jeongri-uigwe could be divided into two parts, ceremony and procession. The ceremony part of the prints is composed of 9 scenes of events and the ritual materials that used in each ceremony; the procession part includes layout drawings of the palanquin and the pontoon bridge specially built for this procession and an array of two thousands of people and horses in the parade. This composition provides readers comprehensive understanding of ceremony and procession. The prints of Jeongri-uigwe is significant in the sense that it is compiled from the standpoint of the readers whereas the previous prints in the royal protocols were edited by work units for the convenience of administrators. Jeongri-uigwe’s prints attempted new ways of drawing, such as parallel-diagonal composition, perspective method and technical drawing. Its naturalistic style helped the reader to recall the events in the more realistic way. The reader-friendly composition and realistic style of the prints influenced people to reconstruct the memory of this procession of King Jeongjo as a monumental event of the era.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규장각”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방대한 자료 중에서 선별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목차부터 본문내용까지 자동 생성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캐시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8월 14일 목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12:29 오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