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우즈베키스탄 타슈켄트 한국교육원의 설립과 활동(1992~1994) (Centering on the Establishment of Korean Education Center in Tashkent, Uzbekistan(1992~1994))

44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6.16 최종저작일 2018.03
44P 미리보기
우즈베키스탄 타슈켄트 한국교육원의 설립과 활동(1992~1994)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한국민족운동사학회
    · 수록지 정보 : 한국민족운동사연구 / 94호 / 223 ~ 266페이지
    · 저자명 : 박환

    초록

    한국교육원은 1992년 5월 27일 타슈켄트시, 프롤레타르스카야가 16번지, 우즈베키스탄 국립미술관 건물 내부에 설치되었다. 초대 교육원장은 교육부 장학관 안재식이었다. 초기 교육원은 지하실에 개설되었으며, 원장실, 비서실, 교사실 및 강의실 등으로 나누어져 있었다. 창문도 별로 없고 주변 환경은 열악한 편이었다. 이에 1년 정도 있다가 한국교육원은 딴 곳으로 이전하였다.
    1992년 5월에 타슈켄트 한국교육원을 개설한 안재식(원장 재임기간 1992.5~1994.9)은 한국교육원의 취지와 목적을 위해 1차적으로 한국어교원연수를 1992년 9월 19일 처음으로 실시하였다. 이 연수회는 우즈베키스탄에서 한국교육원이 최초로 실시한 교원연수라는 측면에서 중요한 의미를 갖는 것이라고 볼 수 있다. 당시의 감동적인 모습들은 한국교육원의 앨범에 차곡차곡 잘 정리되어 있다.
    아울러 1993년 3월 16일에는 김병화 콜호즈에서 한글교사관련회의를 개최하였다. 그리고 동년 3월 23일에는 뽈리토젤 학교에서 93년도 제2차 한국어교육자 전국연수회를 실시하였고, 동년 7월 12일부터 24일까지 한국어교육담당자 연수회를 실시하였다. 이때 강사는 한국에서 파견되었다. 그리고 동년 겨울에는 중등교원 동계 연수를 실시하였다. 1994년에는 부원장으로 박기선이 부임하여 활동하였으며, 1994년 전반기 교원연수는 6개월 과정으로 진행되었다.
    또한 교육원에서는 1994년 행사들을 보다 다양하게 실시하였다. 우선 노인들을 대상으로 사랑방교실 월례강좌를 실시하였다. 그리고 타슈켄트 260학교에서는 한글학교 세미나 및 경연대회를 개최하였다. 아울러 재우즈베키스탄 한국유학생의 밤 및 개원 2주년기념 한국문화의 밤 등도 개최하여 유학생과 교육원의 유대 또한 공고히 하고자 하였다.
    한편 한국교육원에서는 우즈베키스탄에 있는 한글학교들을 재정적으로 후원하였다. 1993년 1월 당시 한글학교 총수는 55개교였다. 그 가운데 중학교 한글학교는 31개교로서 다수를 차지하고 있다. 그 중 타슈켄트주의 경우, 23개로 다수를 차지하고 있다. 그 다음으로는 타슈켄트시 9개교, 사마르칸트 드주아시 1개교 등이다. 타슈켄트 지역이 거의 대부분을 차지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영어초록

    The Korean Education Center was first established on May 27, 1992 inside the State Museum of Arts of the Republic of Uzbekistan which is located at 16 Proletarskaya Street, Tashkent City. The first Principal of the Education Center was Ahn Jae-sik, a school commissioner from the Ministry of Education. The initial Education Center was opened in the basement, and was divided into the principal’s office, a secretarial room, a teachers’ room, and lecture halls. There were not many windows and the surrounding environment was poor. About a year later, the Korean Education Center moved to another place.
    In May 1992, Ahn Jae-sik established the Korean Education Center in Tashkent (his tenure as principal: May 1992–September 1994) and conducted the first workshop for the Korean language teachers on September 19, 1992 in accordance with the purpose of the Korean Education Center. This workshop can be regarded as having an important meaning in terms of teacher training conducted by Korea Education Center in Uzbekistan for the first time. The impressive images of the time are well kept in the albums of the Korean Education Center.
    In addition, on March 16, 1993, a conference on Korean language teachers was held at The Kim Byeong-hwa Kolkhoz. And on March 23 of the same year, the 2nd National Korean Language Teacher Training Seminar 1993 was held at Politogel School, followed by the Korean Language Education Personnel Training Seminar which was held from July 12th to 24th of the same year. The instructors were dispatched from Korea. In the winter of the same year, the Center conducted a winter training for secondary teachers. In 1994, Park Ki-sun was appointed as Vice Principal, and the teacher training in the first half of 1994 was conducted for six months.
    In addition, the Center conducted various events in 1994. First of all, they started monthly lectures on longevity for the elderly. And 260 schools in Tashkent held Korean language school seminars and contests. They also held a night of Korean students in Uzbekistan and a night of Korean culture celebrating the second anniversary of the Education Center in order to strengthen the solidarity between Korean students and the Center.
    On the other hand, the Korean Education Center financially sponsored other Korean language schools in Uzbekistan. In January 1993, the total number of Korean schools was 55. Among them, the number of junior secondary Korean language school was 31, a majority. In the case of Tashkent State, there were 23 of junior secondary schools followed by nine schools in Tashkent City and one school in Samarkand de Jua City. Therefore, it is clear that Tashkent area had the most of schools.
    Through the basic development of the 1990s, the Korean Education Center in Tashkent, Uzbekistan is now regarded as one of the most actively operated educational institutes in the world.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한국민족운동사연구”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방대한 자료 중에서 선별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목차부터 본문내용까지 자동 생성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캐시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8월 13일 수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6:51 오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