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소쇄원의 일원론적 공간관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Spatial View of Monistic Space Conception in Soswaewon)

12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6.16 최종저작일 2018.02
12P 미리보기
소쇄원의 일원론적 공간관에 관한 연구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한국공간디자인학회
    · 수록지 정보 : 한국공간디자인학회 논문집 / 13권 / 1호 / 193 ~ 204페이지
    · 저자명 : 진제스민, 이종세, 김주연

    초록

    (연구배경 및 목적) 한국은 1970년대 이후 단시간의 도시화와 산업화가 이루어지면서 수많은 전통 공간들이 훼손되었다. 새로운 건축물들은 자본주의적 사고와 서양 합리주의의 이원론적 공간관이 반영된 것이며, 그 과정에서 한국 고유의 정체성마저 모호해지는 결과를 초래하였다. 이처럼 20세기 이후 서양의 공간관은 현대 철학과 신(新)물리학의 등장으로 변화하고 있었고, 일원론적 성향을 띄는 철학가, 건축가, 과학자, 예술가 들이 주목받기 시작했다. 서구 사람들은 이를 동양 신비주의라 하여 높은 관심을 보이고 있으며, 이러한 시대적 흐름에 맞추어 동서양을 하나로 묶는 일원론적 공간관의 재해석과 함께 한국 전통공간의 재조명이 필요하다고 판단된다. 이에 따라 본 연구는 한국 소쇄원(瀟灑園)의 공간조영에서 발견되는 현(現)시대의 일원론적 공간관을 밝히는 데에 그 목적이 있다. (연구방법) 첫째, 일원론과 관련하여 동양 사상, 서양 현대철학 그리고 신(新)물리학 등의 이론적 고찰을 통한 비교분석을 한다. 둘째, 일원론적 공간관의 개념을 정의하고 이들 간의 공통된 공간적 특성을 키워드로 도출한다. 셋째, 도출된 키워드들을 기존문헌과 선행연구에 의해 살펴본 소쇄원의 공간조영 영역에 대입하여 실증적 비교·분석을 통해 상호 관련성을 제시한다. (결과) 공간 특성 키워드는 상관성, 무한성, 우연성, 내재성, 가변성, 이중성, 상보성, 정신성으로 분류되며 , 소쇄원의 공간을 5개의 영역으로 분류하여 공통 특성을 대입해 본 결과 일괄적으로 적용된다는 것을 알 수 있었으며 특히 상관적, 가변적, 상보적 특성이 강하게 나타났다. (결론) 본 연구에서 500여 년 전 조영된 소쇄원을 21세기 주목받는 일원론적 공간관과 비교·분석한 결과 모든 특성들의 일치성이 높은 것으로 판단되며, 특히 상호의존적, 가변적, 상호보완적 특성과 함께 필수불가결한 상보적 특성이 강하게 나타남을 알 수 있었다. 결국 소쇄원은 현(現)일원론적 공간관을 대표할 수 있는 매우 중요한 한국의 전통건축문화재로서 지속적인 연구적 가치를 갖는다고 판단되며, 또한 다양하고 독창적인 접근 및 해석을 통해 소쇄원 이외에도 수많은 한국 문화유산들의 가치가 다시 주목되고 활발히 연구되어지길 기대해본다.

    영어초록

    (Background and Purpose) Since the 1970s, many Korean traditional spaces—such as houses and old roads—have been damaged due to urbanization and industrialization. The new architecture reflects highly capitalist thinking, Western rationalism, and biblical spatiality. As a result of this process, Korea's own identity has become ambiguous. At the time, however, the western spatial view was shaken by the emergence of contemporary philosophy and new physics. Moreover, philosophers, architects, scientists, and artists with tendency toward monism have begun to attract attention in the 21st century. Western people call this oriental mysticism and show significant interest in the trend, necessitating the reinterpretation of the monistic spatial view that bound the East and West together and reexamined the Korean cultural heritage.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reveal the current monistic spatial view found in Soswaewon. (Method) For research analysis, we first examine the theoretical considerations of monism theory through a comparative analysis of oriental thought, western modern philosophy, and new physics. Second, the concept of the current monistic spatial perspective is defined, and the common spatial characteristics are derived as a keyword. Third, the derived keywords are assigned to the spatial region of Soswaewon by means of existing literature and previous studies, while the mutual relation is shown through an empirical comparative analysis. (Results) Common characteristic keywords of the monistic spatial view were classified as correlation, infinity, contingency, immanence, changeability, duplicity, complementarity, and enlightenment; and were applied to five space zones of Soswaewon. As a result, it can be seen that all are applied collectively to Soswaewon; and that correlative, changeable, and complementary characteristics are especially strong. (Conclusions) In this study, a high degree of coincidence was found between the traditional spatial perspectives of Soswaewon and the monistic spatial perspectives attracting attention in the 21st century; in which mutual indispensable complementary characteristics showed a strong correlation with interdependent, changeable, and complementary characteristics. Ultimately, Soswaewon is found to have continued research value as a highly significant traditional Korean cultural heritage that can represent the current monistic spatial view. Through a diverse and unique approach of review and interpretation, further attention and active research is expected to add value to many types of cultural heritage in the Korea.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한국공간디자인학회 논문집”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방대한 자료 중에서 선별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목차부터 본문내용까지 자동 생성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캐시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8월 14일 목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6:46 오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