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원불교 100년, 경전 주석의 현황과 과제 (The Situation and Prospects for the Scriptual Authority in the 100th anniversary of Won-Buddhism)

30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6.16 최종저작일 2011.02
30P 미리보기
원불교 100년, 경전 주석의 현황과 과제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원광대학교 원불교사상연구원
    · 수록지 정보 : 원불교사상과 종교문화 / 47호 / 81 ~ 110페이지
    · 저자명 : 이성전

    초록

    경전은 성자의 가르침을 기록한 문헌을 지칭한다. 종교의 사상은 교조와 후래 제자들의 사상적 집적이라고 할 수 있다. 원불교 사상 또한소태산 대종사의 사상과 소태산 대종사 재세 당시 제자들의 사상에 뿌리를 두고 이를 전승하는 후래 제자들의 노력이 집적된 산물이라 할 수있다.
    원불교 경전은 소태산 대종사의 친저에 가까운『정전』과 그의 사후제자들이 소태산 대종사의 언행을 기록한 내용을 편집한『대종경』을비롯한 7대 교서를 일컫는다. 이 가운데『정전』과『대종경』은 원불교의‘본경’으로 중시되고 있다.
    ‘원불교 100년’을 맞이하면서 원불교는 세계 보편종교를 지향하고그에 상응하는 준비를 진행 중에 있다. 근래에 인류 사회가 다양하고급격히 변화하고 교화의 범위가 세계화되면서 경전에 대한 재해석의 요청도 높아지고 있다. 이러한 요청들에 주목하면서 논의의 타당성을확인하기 위해 경전 발전사를 유가 경전을 중심으로 간략히 검토하여경전의 변화 역사를 살펴보았다. 원불교 교사와 교리에서도 그 근거를찾아보고 현재 경전 해설서들의 현황을 살펴보았다.
    오늘의 원불교는 궁극적 진리(일원의 진리)에 대한 끊임없는 긴장과수행의 증험에 바탕한 반성과 성찰이 요구된다. 구도의 열린 정신과 실행의 열정이 새 종교 원불교의 생명임을 다시 확인할 필요가 있다. 동시에 교리에 대한 학문적 천착과 일관된 체계의 정립, 문화적 정착을 위한 노력이 필요하다.
    이러한 시각에 입각하여 원불교 경전 주석의 첫 걸음으로 현재 진행되고 있는 경전의 주석 상황과 과제를 점검해 보고 전망을 예측해보았다. 경전의 재해석과 관련된 전초 작업의 하나가 될 것으로 생각된다.

    영어초록

    The scripture of religion is a book of documents what the Great master had taught and shown to the followers. The thought of religion could be said that is the accumulation of what the Great master had thaught his disciples and what the followers and scholars who had researched and practised it has advanced. The thought of Won-Buddhism could be called the results of research and practise based on the thought of the Great Master Sotaesan and his disciples who had lived at that time and passed down from generation to followers who are following him.
    Won-Buddhism scripture is consisted of Jeong-Jeon(The Principle Book of Won-Buddhism) which is known as the Founding Master wrote it on his own initiative and Daejong-Gyoung(The Scripture of the Founding Master) which is written by his disciples after the Master death, and other five books. Jeong-Jeon and Daejong-Gyoung are the most important canon for Won-Buddhists as basic text.
    Becoming 100th anniversary of Won-Buddhism founding, Won-Buddhism orient to world general religion and Won-Buddhists are preparing for proportionate to their expectation. Everything has happened rapidly and diversly in this world since Won-Buddhism order had been founded. And Won-Buddhism has tried to share it’s thought with lots of country’s people.
    That’s why Won-Buddhists are asking re-interpretation of the scriptures.
    I researched into the history what the Confucianism texts have been advanced. I’m sure it would be a good way for me to confirm the scriptures have been advanced through the history of thought and Won-Buddhst’s asking of re-interpretation of the scriptures is proper. I studied the principles and history of Won-Buddhism for finding the authority in it and surveyed what is the present state of the interpretation books of the Won-Buddhism texts.
    In present Won-Buddhism, there are needed passion seeking after the ultimate truth(the truth of Il-won-sang) and introspection about the situation based on their own experience through the practise. Open mind to search after the ultimate truth and passion to realize the practice is the heart of Won-Buddhism as new religious movement. Besides, it is necessary to study deeply and widely about the principle, to formulate a scientific system of it and to make constant efforts for cultural settlement into world society.
    In this view point, I checked the situation that is going on interpretating on Won-Buddhism texts as the first step and predicted the prospects. I hope the work could be the advanced point of the re-interpretation of Won-Buddhism scriptures.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원불교사상과 종교문화”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9월 04일 목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2:46 오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