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조선후기 장례원 관원의 출신과 관로 (A Study of the Backgrounds and Career Trajectories of Jangryeowon Officials during the Late Joseon Dynasty)

24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6.16 최종저작일 2025.04
24P 미리보기
조선후기 장례원 관원의 출신과 관로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한국학중앙연구원 한국학중앙연구원
    · 수록지 정보 : 藏書閣 / 53호 / 178 ~ 201페이지
    · 저자명 : 이남옥

    초록

    이 글은 조선후기 장례원 관원의 출신과 관로에 대해 연구한 것이다. 고려말 설치 운영된 도관이 여러 차례 정비를 거쳐 조선 세조 때 노예의 부적과 결송에 대한 일을 관장하기 위해 장례원으로 설치되었다. 이후 장례원은 1764년 혁파될 때까지 정3품 당상관 판결사 1원, 정5품 사의 1원, 정6품 사평 2원 체제로 유지되었다. 장례원 관원의 출신과 관로에 대해서는 1637년부터 1764년까지 장례원에 제수된 판결사 624건, 사의 194건, 사평 531건 도합 1,349건의 인적 정보가 기재되어 있는 『정록』을 통해 다음과 같이 정리할 수 있다.
    판결사의 90.2%, 사의의 3.1%, 사평의 5.3%가 문과 급제자이며, 판결사의 73.7%, 사의의 40.7%, 사평의 37.1%가 생원·진사시 입격자이다. 관품으로 보았을 때 정3품 당상관직인 판결사의 90%, 정5품 사의의 88.5%, 정6품 사평의 93.3%가 승진 인사였으며, 관서로 보았을 때 판결사의 88.2%가 오위(서반군직)에서, 사의의 51.6%와 사평의 77.6%가 행정아문에서 온 관원이었다. 또한 판결사의 97.9%가 체아직 혹은 전직 관원에서, 사의의 77.9%와 사평의 84.7%가 현직 관원에서 왔다. 또한 문과 출신 판결사는 초입사에서 당상관까지 평균 16.6년이 소요된 반면, 비문과 출신 사의·사평은 29.7년이 걸려 승진 속도에서 뚜렷한 격차가 드러났다.
    장례원 관원의 관로에 대해서 문과 출신 판결사와 비문과 출신 사의·사평을 비교하여 정리하면 다음과 같다. 문과 출신 판결사의 관로를 단순화하면 가주서·부정자 등으로 관직을 시작해서 전적·좌랑·정언 등을 거쳐 승지·판결사·참의 등을 통해 당상관이 되었고 참판·판서·영의정 등을 역임했으며, 비문과 출신 사의·사평의 관로를 단순화하면 참봉·(가)감역·봉사·별검 등으로 관직을 시작해서 주부·별제·사평·도사·인의 등을 거쳐 군수·령·부사·목사·첨정 등을 역임하고 특별한 경우에 한해서 좌윤·우윤·판결사·참의 등 당상관 이상으로 나아갈 수 있었다. 결국 장례원의 판결사는 문과 출신이 체아직 혹은 전직에서 승진하는 자리이며, 사의와 사평은 음관이 현직에서 승진하는 자리였다고 할 수 있다.

    영어초록

    This study investigates the backgrounds and career paths of officials of the Jangryeowon (掌隷院) during the late Joseon Dynasty. The institution traces its origins to the Dogwan (都官), which was established and operated in the late Goryeo period. Following a series of reforms, it was formally reorganized as the Jangryeowon during the reign of King Sejo to oversee the issuance of slave registers (bujeok, 簿籍) and the adjudication of legal disputes involving slaves. Until its abolition in 1764, the Jangryeowon maintained a hierarchical structure consisting of one Pangyeolsa, one Saui, and two Sapyeong. The backgrounds and career paths of its officials can be analyzed through the Jeongnok, a personnel register that recorded data on 1,349 officials who served in the Jangryeowon between 1637 and 1764. This includes 624 Pangyeolsa, 194 Saui, and 531 Sapyeong.
    Among the officials, 90.2% of Pangyeolsa, 3.1% of Saui, and 5.3% of Sapyeong were successful candidates of the Mungwa (civil service examination). Additionally, 73.7% of Pangyeolsa, 40.7% of Saui, and 37.1% of Sapyeong had passed the Saengwon-Jinsa examination (生員·進士試). In terms of appointment status, 90% of Pangyeolsa, 88.5% of Saui, and 93.3% of Sapyeong held promoted posts. Regarding prior office experience, 88.2% of Pangyeolsa were appointed from Owi (五衛, military positions under the Seoban category), while 51.6% of Saui and 77.6% of Sapyeong were transferred from administrative agencies. Furthermore, 97.9% of Pangyeolsa were appointed from Cheajik (遞兒職, sinecure posts) or reappointed among previous officeholders, whereas 77.9% of Saui and 84.7% of Sapyeong were promoted from their incumbent positions.
    On average, Mungwa‑qualified officials progressed from initial appointment to Dangsanggwan rank in about 16 years, whereas their non‑exam counterparts required nearly 30 years. These figures underscore how examination success institutionalized fast‑track promotion and reinforced social stratification within the late‑Joseon bureaucracy.
    The career trajectories of Jangryeowon officials can be analyzed by comparing Pangyeolsa who passed the Mungwa with Saui and Sapyeong who did not. The career paths of Mungwa-qualified Pangyeolsa generally followed a structured progression. They typically began their service in lower-ranking positions such as Gajuseo or Bujeongja, and advanced through intermediate posts like Jeonjeok, Jwarang, and Jeongeon. With continued promotion, they rose to higher offices such as Seungji and Pangyeolsa, eventually attaining the status of Dangsanggwan (堂上官, senior officials), and holding prestigious positions including Champan, Panseo, and even Yeonguijeong (領議政).
    In contrast, the career trajectories of Saui and Sapyeong without Mungwa qualifications typically began in lower-level positions such as Chambong, (Ga)gamyeok, Bongsa, or Byeolgeom. From there, they advanced through mid-level roles including Jubu, Byeolje, Sapyeong, Dosa, and Inui. The majority eventually reached local administrative posts such as Gunsu, Ryeong, Busa, Moksa, and Cheomjeong. In exceptional cases, some were able to attain Dangsanggwan status and were appointed to higher-ranking positions such as Jwayun, Uyun, Pangyeolsa, or Chamui.
    In summary, the position of Pangyeolsa in the Jangryeowon was primarily held by Mungwa-qualified officials who were appointed from Cheajik positions or reappointed from among former officeholders. In contrast, the posts of Saui and Sapyeong were generally filled by Eumgwan (蔭官, hereditary officials), who advanced through promotions from their incumbent posts.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藏書閣”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9월 04일 목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1:17 오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