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공무원 겸직 제한 법제의 헌법적 타당성 검토 및 신고제로의 전환 제언 - 국가공무원법 제64조, 국가공무원 복무규정 제25조와 제26조를 중심으로 - (Review of the Constitutional Validity of the Law Restricting Secondary Employment of Public Officials and Proposal for Transition to a Reporting System - Focusing on Article 64 of the State Public Off)

47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6.16 최종저작일 2023.09
47P 미리보기
공무원 겸직 제한 법제의 헌법적 타당성 검토 및 신고제로의 전환 제언 - 국가공무원법 제64조, 국가공무원 복무규정 제25조와 제26조를 중심으로 -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한국법정책학회
    · 수록지 정보 : 법과정책연구 / 23권 / 3호 / 3 ~ 49페이지
    · 저자명 : 김나영

    초록

    오늘날 부업의 일반화, MZ세대의 부상과 직업 가치관의 변화로 공무원 겸직 제한 법제의 개선 방안을 논의할 시기가 도래하였다. 국가공무원법 제64조 제1항은 공무원이 영리업무에 종사하지 못하며 허가 없이 다른 직무를 겸할 수 없다고 규정함으로써 겸직의 원칙적 금지와 예외적 허가라는 엄격한 입법 형식을 취하고 있다. 이로 말미암아 공무원의 취미 활동 등 공무 수행에 지장을 주지 않는 사생활 영역까지 광범위하게 규제되는 실정이다. 공무원에게도 보호되어야 할 기본권과 사적 생활이 존재하는 이상 겸직 관련 법제는 지금보다 근무 시간 외에서의 겸직의 자유를 존중하는 방향으로 설계되는 것이 필요하다.
    본 연구는 국가공무원법 제64조 및 그 위임을 받은 국가공무원 복무규정 제25조와 제26조의 헌법적 타당성을 검토하고 입법 대안을 제시함을 목적으로 한다. 우선 서두에서 겸직 제한 법제가 어떻게 해석·운용되고 있는지 개관하고, 겸직 제한의 근거로 제시되는 가치들을 조망할 것이다. 그 바탕 위에서 겸직 제한의 완화가 요청되는 시대적 배경을 설명한 후, 현행 법제가 최소침해성의 관점에서 적어도 입법론적으로 적절하지 않음을 지적할 것이다. 최종적으로는 독일의 입법례를 참고하여 겸직 제한 법제를 신고제로 전환하는 대안을 제시하는 것으로 마무리하고자 한다.

    영어초록

    With the recent boom of sideline activities, the rise of the MZ generation, and changes in occupational values, the time has come to discuss ways to improve the law restricting secondary employment of public officials. Article 64, Paragraph 1 of the State Public Officials Act stipulates that public officials cannot engage in for-profit business and cannot engage in other secondary employment without permission, taking a strict legislative form of prohibition in principle and exceptional permission for secondary employment. As a result, even public officials' hobbies and other areas of private life that do not interfere with the performance of official duties are widely regulated. As public officials also have basic rights and private lives that need to be protected, laws related to secondary employment need to be designed in a way that respects the freedom of public officials to hold secondary employment outside of working hours.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review the constitutional validity of Article 64 of the State Public Officials Act and Articles 25 and 26 of the Service Regulations for State Public Officials, and to suggest legislative alternatives. First, this study will look at how the law restricting secondary employment is being interpreted and operated, and look at the values ​​presented as the basis for restrictions on secondary employment. On this basis, after explaining the social background in which the restriction on secondary employment is requested, this study will point out that the current legislation is at least legislatively inappropriate from the point of view of the principle of proportionality. Ultimately, this study would like to conclude by presenting a legislative alternative to convert the concurrent position restriction legislation to a reporting system by referring to German legislative examples.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9월 03일 수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4:36 오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