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공무원연금 통합의 헌법적 검토 (A Constitutional Study On the Integration of Civil Servant Pension)

한국학술지에서 제공하는 국내 최고 수준의 학술 데이터베이스를 통해 다양한 논문과 학술지 정보를 만나보세요.
26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6.16 최종저작일 2015.08
26P 미리보기
공무원연금 통합의 헌법적 검토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세계헌법학회한국학회
    · 수록지 정보 : 세계헌법연구 / 21권 / 2호 / 237 ~ 262페이지
    · 저자명 : 정철

    초록

    공무원연금제도는 인간다운 생활을 할 권리와 제도보장으로서 직업공무원제도를 헌법적 근거로 한다. 공직에서 퇴직한 후에도 국가가 퇴직 공무원의 생활을 보장해준다는 것은 능력 있는 국민의 공직진출을 유도하고 공무원 역시 노후에 대한 걱정 없이 그 직무에 전념할 수 있게 한다는 점에서 국민의 공무담임권과도 관련을 가진다.
    공무원연금의 재정적자로 공무원연금을 국민연금과 통합할 필요가 있다는 주장은 공무원연금이 자기 개혁을 통해 ‘저부담 고급여’ 구조를 개혁할 수 있다는 점에서 설득력이 약하다. 공무원연금이 그 동안 공무원보수의 현실화가 되지 못한 상황에서 상당시간 연금급여를 확대하는 방식을 통해 이를 보상하는 정책을 취한 결과 과도하게 후한 연금이 된 것도 사실이다.
    그렇지만, 공무원연금은 직업공무원제도의 본질적 내용인 국가의 공무원부양의무를 실현하기 위해 입법자가 선택한 제도라는 점에서 일반 공적연금보다 두터운 보장체계를 가지더라도 이를 정당화할 수 있다. 기본적으로 공무원관계는 노동법적 보호에서 제외되고 일반국민에게는 찾을 수 없는 기본권제한들이 존재하기 때문이다.
    그렇지만 공무원관계에서 나타나는 특수한 희생을 보상하는 정도를 넘어서 공무원연금급여를 확대하는 조치는 더 이상 헌법적으로 정당화되기 어렵다. 공무원보수가 점차 현실화되고 있으므로 퇴직 후 연금지급을 통한 보상을 이유로 공무원과 국가의 부담률을 고정한 채 연금지급을 확대하는 정책을 지속하는 것은 공직에 대한 변화된 국민정서와 맞지 않고 나아가 일반 공적연금인 국민연금과의 형평성의 관점에서도 정당화하기 어렵기 때문이다.
    공무원연금 제도 내에서 모수적 개혁을 통해 연금재정 위기를 극복할 수 있다는 점에서 입법자는 무리한 연금통합이란 개혁을 선택해서는 안 된다. 공무원연금 통합은 국민의 공무담임권과 공무원의 연금수급권을 침해하면서 입법자가 1960년 이래 정립한 직역연금제도로부터 파생하는 연금 법률관계를 구조적으로 위협함으로써 법치국가의 신뢰보호의 원칙을 위반할 가능성이 높기 때문이다. 헌법합치적인 공무원연금 개혁은 기존의 인사ㆍ행정적 요소를 근거로 확대된 급여수준을 점차 축소하고 보수현실화와 함께 공무원과 국가의 부담률을 높임으로써 ‘저부담 고급여’의 연금구조를 변화시키는 것이어야 한다.
    기존 공무원의 기득권을 보호하기 위해 신규 공무원을 국민연금에 가입시키는 방안은 기존 공무원의 신뢰보호에는 기여할 수 있지만 공무원연금제도의 헌법적 근거인 직업공무원제도의 취지에 반한다. 또한 임용시기만을 이유로 별개의 연금제도를 유지하는 것은 헌법상 차별에 합리성이 부족하다.

    영어초록

    The civil servant pension system has its root in the Constitution which guarantees the right to human dignity, the right to access to public service and the Civil Servant System as a institution guarantee.
    The integration of public servant pension with National Pension has been suggested as a solution to solve the deficit-ridden public pension system. Korean government had controlled the wage of civil servant as a means to lower government expenditure until 1990’s. Yet, public servant pension has frequently been revised to guarantee the old age of employees as a compensation for wage cut. In consequence, the pension system became ‘low-contribution but hight-reward(pension)’style. And it has caused high pension deficit.
    Nonetheless, the generous civil servant pension can be justified in the Constitution Context. The civil servant in S. Korea do not have any labor rights: right of organization, right to negotiation for the working condition, right to strike, which have been forbidden by the Constitution itself for the people’s public good.
    However, Korean Constitution guarantee the right to equal treatment in social, political, economic areas. Therefore there should be some constitutional limit on the public servant pension in comparison with the National Pension System that is the fundamental and general pension system for Koreans.
    A parametric reform in public servant pension system is possible and recommendable in respect of the Constitution. To alleviate the deficit ridden pension problem it is best way to lower pension(reward) and raise the contribution of employees and government as an employer, and to raise the age for pensioner in consideration of average life expectancy.
    In addition, the reform plan to sustain two-tier public servant pension system : the pension for new public servant and the one for existing public servant, is not allowed. If the latter is more generous than the former, it is unconstitutional without any reasonable ground in violation of the equal treatment in the area of public services.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세계헌법연구”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방대한 자료 중에서 선별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목차부터 본문내용까지 자동 생성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캐시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7월 25일 금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6:46 오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