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법인정신과 원불교의 공공성 (Beopin Sprit(法認情神) and Public Character of Won-Buddhism)

한국학술지에서 제공하는 국내 최고 수준의 학술 데이터베이스를 통해 다양한 논문과 학술지 정보를 만나보세요.
33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6.16 최종저작일 2019.12
33P 미리보기
법인정신과 원불교의 공공성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원광대학교 원불교사상연구원
    · 수록지 정보 : 원불교사상과 종교문화 / 82호 / 77 ~ 109페이지
    · 저자명 : 원영상

    초록

    현대사회는 위기에 처해 있다. 문명 그 자체의 위기라고 할 수 있다. 자본주의가 가져온 피로사회, 중독사회는 인류의 이러한 심리상황을 잘 보여주고 있다. 그 뿐만이 아니라 기후환경문제, 대규모 전쟁의 가능성, 사회적 분열 등 다양한 측면에서 그 종말론적 위기감이 더해지고 있다. 불안이 엄습하는 현대사회에서 종교는 과연 어떤 역할을 해야 하는가, 라는 물음이 제기된다. 원불교는 기성종교가 타개하지 못한 지구의 위기상황에 대처하기 위해 근대기에 탄생한 종교라고 해도 과언이 아닐 것이다. 따라서 ‘물질이 개벽되니 정신을 개벽하자’라는 표어를 내건 원불교의 종교적 정신은 현대문명의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하나의 처방전이라고 할 수 있다.
    나아가 원불교가 소태산 박중빈과 그 제자들이 1919년, 법계(法界)로부터 인증받기 위해 하늘에 올린 ‘법인기도(法認祈禱)’는 원불교가 사회적 공공성(公共性)을 표방하고 나온 종교임을 보여주고 있다. ‘부처를 이루고 중생을 구제한다’는 성불제중(成佛濟衆), 또는 ‘나를 제도하고 세상을 구제한다’라는 제생의세(濟生醫世)는 이러한 원불교의 종교적 가치를 잘 보여주고 있다. 즉 원불교의 종교성은 ‘세상의 고통을 해결하기 위해 무아의 자세로 공공의 삶을 살아간다’는 무아봉공(無我奉公)의 정신을 나타내는 사무여한(死無餘恨, 죽어도 여한이 없다)의 법인정신(法認情神)에 잘 나타나 있다. 대승불교와 그 근본정신인 참여불교(Engaged Buddhism)의 정신을 계승하고 있는 것이다. 따라서 원불교는 세계 인류의 모든 고통을 해결하기 위한 사회적 참여를 적극적으로 해야 하며, 원불교의 가르침이 그러하듯 모든 종교의 가르침을 회통하여 세계를 낙원으로 이끌어 가기 위한 노력을 멈추지 않아야 할 것이다.
    본 논문은 이처럼 원불교의 종교정신의 근원을 다시 확인하는 것이 그 목표다. 이를 통해 원불교는 철학, 정치, 경제, 문화에 열려있는 종교를 지향해야 한다. 이는 현대문명의 치유를 위해 등장한 종교로서의 사명을 다하기 위한 것이다. 실험적인 1세기를 끝내고 2세기로 접어든 원불교의 정체성 확립과 미래는 결국 이 법인정신을 어떻게 현대사회에 재현해내느냐에 달려 있다고 할 수 있다.

    영어초록

    The modern society is in crisis. It can be said that it is the crisis of the culture itself. The burnout society, and the addicted society show this psychological situation of human being. On top of that, there are more problems such as the climate change, possibility of large scale war and social conflict, thus adding to the apocalyptical crisis. In the modern society where the uncertainty is prevalent, we get the question of what kind of role the religion shall play. It is not an overstatement that Won-Buddhism was born in the modern period in order to handle the crisis on Earth, which could not be handled by the existing religions. Accordingly, the religious spirit of Won-Buddhism under the motto of "As the materials open, let's open the mind." can be one of the prescriptions for solving the problem in modern culture.
    Furthermore, Sotaesan Park Jung Bin and his disciples made a prayer called "Beopin Prayer(法認祈禱)" to get the certification from Beopgye(法界) in 1919. That shows that Won-Buddhism is the religion proclaiming the public character. The principle "Seongbuljejung(成佛濟衆)", which means that "I first discipline myself, and then educate the public" and the principle "Jesaenguise(濟生醫世)" which means that "I first cure myself and then cure the world" show the religious values of Won-Buddhism. The religiousness of Won-Buddhism is well expressed in the Beopin Spirit(法認情神) of Samuyeohan(死無餘恨), which means the spirit of Muabonggong(無我奉公) "I live a public life with the attitude of living without trying to get my personal gains to solve the pains in the world", showing the endless service mind for the humanity. It contains the mind of Mahayana Buddhism and Engaged Buddhism. Accordingly, Won-Buddhism shall actively make the social participation to solve all pains for the humanity in the world and as shown in the teachings of Won-Buddhism, it shall understand the teachings of all religions and not stop the effort of leading the people to the heaven by spreading the teachings.
    This study is designed to check the root of religious mind of Won-Buddhism. Through this, Won-Buddhism shall pursue the religion which is opened to philosophy, politics, economy and culture. This is to accomplish its mission of curing the modern culture.The establishment of identity of Won-Buddhism which ended its first experimental century and started its second century depends on how it can reproduce the Beopin Spirit in modern society.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원불교사상과 종교문화”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9월 04일 목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10:15 오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