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중국 안지놀이 유치원 교사의 놀이중심교육 실천 사례 연구: K유치원 사례를 중심으로 (A Case Study on the Play-Center Educational Practice Competency by Anji Play Kindergarten Teachers in China: Focusing on the K Kindergarten Case)

22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6.16 최종저작일 2023.04
22P 미리보기
중국 안지놀이 유치원 교사의 놀이중심교육 실천 사례 연구: K유치원 사례를 중심으로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 수록지 정보 :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 23권 / 7호 / 777 ~ 798페이지
    · 저자명 : 차효첨, 이유미

    초록

    목적 본 연구는 중국 안지놀이 유치원 교사의 놀이중심교육 실천역량이 현장에서 어떻게 구현되는지를 살펴보는 것이다.
    방법 이를 위해 2022년 3월 14일부터 2022년 4월 2일까지 약 3주 동안 참여관찰, 심층면담, 문헌자료 분석 중심으로 중국 저장성(浙江省) 후저우시(湖州市) 안지현(安吉县)에 있는 K유치원 사례 연구를 수행하였다.
    결과 안지놀이 K유치원 교사 놀이중심교육 실천의 의미를 ‘진짜놀이 지원을 위해 부단히 노력하는 교사’, ‘유아에 대한 믿음, 놀이중심교육의 핵심’, ‘유아의 탐구활동, 놀이 확장을 위한 나침반’, ‘오래가기 위해 함께 가기’ 4가지 범주로 나누고 그 각각을 다시 하위범주로 나누어 유목화하여 제시하였다. 구체적으로 살펴보면 첫째, K유치원 교사는 처음부터 유아의 놀이권리를 인정하고 놀이중심교육 실천역량이 높았던 것은 아니라, 놀이중심교육을 실천하는 지금의 모습으로 바뀌기까지는 오랜 시간과 수많은 시행착오가 있다.
    둘째, K유치원 교사는 교실의 주인공이 유아라는 믿고, 유아가 교사의 생각보다 훨씬 더 잘한다는 믿고, 모험과 도전 속에서도 스스로 안전을 지킨다는 믿고, 모든 유아에게 내재된 나름의 속도가 있다는 믿고 있다. 셋째, K유치원 교사는 유아에게 관찰하고 기록하는 힘과 대그룹 공유를 통해 발표하는 힘이 키우고 있다. 넷째, K유치원 각 반의 청소와 밥 준비 등을 분담하는 보육원(保育员) 한분이 있고, 안지놀이 교육과정의 이념을 학부모들이 잘 이해할 수 있도록 다양한 방법으로 전달하고 있으며, 안지놀이 창시자 청쉐친(程学琴)이 유치원 리더로서 끊임없이 교육에 필요한 재정지원을 정부에 요청하며 어려움을 극복하고 현재의 놀이중심교육 체계에도달하였다.
    결론 첫째, 중국 안지놀이 유치원 교사의 높은 놀이중심교육 실천역량은 단기간에 이룬 것이 아니라 수심여 년의 노력을 통해 실현하는 것을 확인하였다. 둘째, 중국 안지놀이 유치원 교사는 충분히 유아를 믿고 있음을 확인하였다. 셋째, 안지놀이 유치원 교사는 유아놀이를 확대하고 매일 유아 자신의 경험을 되돌아볼 수 있는 기회가 충분히 있음을 확인하였다.

    영어초록

    Objectives This study examines the process by which the recognition of children's right to play, which explains the practical competency of play-centered education of Chinese Anji kindergarten teachers in a meaningful way, is formed and how it is implemented in the field of play-center education.
    Methods To this end, for about three weeks from March 14, 2022, to April 2, 2022, a study was conducted in Anji County, Huzhou City, Zhejiang Province, China, focusing on participatory observation, in-depth interviews, and literature data analysis. A case study was conducted at K Kindergarten.
    Results The meaning of play-center education practice for teachers at Anji K Kindergarten was defined as an ‘a teacher who constantly strives to support real play’, ‘belief in children, the core of play-center education’, ‘a compass for expanding children's exploration activities and play’, ‘going together for a long time’ was divided into 4 categories, and each of them was further divided into subcategories and presented as nomads. Specifically, first, teachers did not recognize children's right to play from the beginning and had a high competency in practicing play-centered education at K kindergarten. Second, K kindergarten teachers believe that the main character of the classroom is an infant, which is much better than the teacher thinks. They keep themselves safe in the midst of adventure and challenge and believe that all children have their own inherent speed in them. Third, teachers of K kindergarten are developing the children’ power to observe, record and through large group sharing. Fourth, one nursery school (保育员) who is in charge of cleaning and preparing meals for each class of K Kindergarten. As a kindergarten leader, constantly requested financial support necessary for education from the government and overcame difficulties to reach the current play-centered education system.
    Conclusions First, it was confirmed that the high level of play-center education practice competency of Chinese Anji kindergarten teachers was not achieved in a short period of time, but through many years of effort. Second, it was confirmed that Anji kindergarten teachers in China fully believed in children. Third, it was confirmed that Anji kindergarten teachers had enough opportunities to expand children's play and reflect on their experiences daily.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방대한 자료 중에서 선별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목차부터 본문내용까지 자동 생성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캐시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8월 13일 수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11:48 오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