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공무원노조의 미래: 미국 공무원노조의 역사적 발전과정을 통해 미리보기 (Foreseeing the Future of Public Sector Unionism in Korea: Based upon a Lesson Learned from the U.S. Historical Experience)

36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6.16 최종저작일 2009.06
36P 미리보기
공무원노조의 미래: 미국 공무원노조의 역사적 발전과정을 통해 미리보기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한국행정사학회
    · 수록지 정보 : 한국행정사학지 / 24호 / 1 ~ 36페이지
    · 저자명 : 하재룡

    초록

    1960년대 초반부터 미국의 노동운동 역사는 민간과 공공부문 간에 상반되는 방향으로 전개되어왔다. 민간노동운동은 1950년대 중반 이후 줄곧 쇠퇴의 길을 걸어 현재 역사상 가장 낮은 조직률을 갖게 된 반면에, 공공부문 노동운동은 1960년대 초부터 1970년대 중반까지 크게 성장하였으며 이후에도 비교적 높은 조직률 수준을 안정적으로 유지해오고 있다. 우리나라에서도 최근 들어 이와 유사한 현상이 발생하고 있다. 1987년 6.29 민주화선언 이후 급속히 성장하여 1989년 18.6%를 기록했던 노조조직률은 2008년 현재 10%를 겨우 넘는 실정이다. 반면에 2006년 초에 합법화된 공무원노동조합은 불과 2년만인 2008년 1월 현재 노조조직률이 65.4%에 달한다. 따라서 공무원노조의 활성화가 침체일로에 있는 우리나라 노동운동에 활력을 불어넣는 호재가 될 수 있을 것으로 노동계는 기대하고 있다. 본 연구는 ‘과연 우리나라 공무원노조가 미래에도 현재와 같은 높은 조직률을 유지하고, 나아가 지속적으로 성장할 것인가?’하는 의문에 대답을 모색하기 위해 시도되었다. 이 의문에 대답을 찾기 위해 먼저 노동조합운동의 쇠퇴원인을 분석한 기존 학자들의 연구와 공공부문 노조와 민간부문 노조의 어떤 차이가 상반된 역사적 전개를 가져왔는지에 관한 이론적 논의를 정리하였다. 다음으로 미국 공무원노조의 역사적 발전과정 사례를 검토하였으며 이를 토대로 우리나라 공무원 노조의 미래를 예측해 보았다.

    영어초록

    In the United States. since the early 1960s when President Kennedy issued Executive Order 10988 allowing the federal government employees to organize their unions and to collectively bargain with their employers, unions in the public sector have been expanding their membership density while those in the private sector contracting rapidly. Therefore, at present, private sector union density reaches at the lowest level; on the other hand, the density of public sector unionism is five times higher than the counterpart's. Labor union movement in Korea also experiences a trend very analogous to the U.S. Since 1987 when 6.29 democratizing declaration was made, private sector unionism had been developed very rapidly and reached at the highest density level, 18.6% in 1989. However, since then, contraction started and now it's density reached at the lowest level, about 10%. On the other hand, public sector unionism that was legitimated as late as in 2006 grew at incredible speed, and in 2006 reaches at 65.4% of density level. this study was begun with the question, "Will Korean public sector unionism continually grow and keep the high density level in future too?" To find the answer to the question, this study reviews the literatures about the factors which contributed to the contraction of private sector unionism since the 1960s; and investigates what factors of public sector unions contributed to keep them growing while the counterpart failed to survive; and outlines the U.S. history of labor union movement; and finally tries to predict the future of Korean public sector unionism on the basis of informations obtained through the research.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한국행정사학지”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9월 03일 수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7:19 오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