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독일 공무원관련법 개정에 따른 직업공무원제의 도전에 관한 연구 (Eine Studie über Herausforderung zum Berufsbeamtentum nach dem Dienstrechtsreform in Deutschland 2006)

23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6.16 최종저작일 2011.12
23P 미리보기
독일 공무원관련법 개정에 따른 직업공무원제의 도전에 관한 연구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한국공법학회
    · 수록지 정보 : 공법연구 / 40권 / 2호 / 361 ~ 383페이지
    · 저자명 : 김수진

    초록

    공근무에의 전념성과 정치적 중립성을 담보로 국가가 공무원에게 평생직업과 생활보장을 배려해주는 직업공무원제도가 공무원에게는 무한한 장점일 수 있으나, 작은 정부, 효율성, 유연성을 목표로 하는 현대행정에 발맞추어 나갈 수 있는가에 대한 논의는 국내외적으로 계속되고 있다.
    국가의 공무수행을 공무원과 사법상 계약에 의한 계약직 공근무자에 의해 수행하도록 하는 독일의 경우는 행정의 효율성을 위해서는 직업공무원제도의 내용과 정도를 변화시켜야 한다는 시대적 흐름에 부응하여 2006년 연방제 개혁 I 을 계기로 공무원관련법을 정비하면서 직업공무원제의 전래된 내용에의 변경가능성을 시사했다. 2010년에 들어서면서 각 주는 각자의 특성과 필요에 따라 공무원법의 내용을 독자적으로 제정하기 시작했다. 그러나 법의 제정만으로 직업공무원제의 전래된 원칙, 내용들이 변화되는 것이 아니라, 시대의 흐름에 맞게 공무원제도의 내용을 바꾼 것에 대한 법적 다툼이 있을 때 법원이 어떤 결정을 내리느냐가 중요해진다. 아직까지 독일 연방헌법재판소는 기본법 제33조 제5항에 도입된 “발전”을 좁게만 해석하고 있다.
    우리나라의 공무원관계를 파악하는데 있어 비교법적으로 판단하게 되는데, 이 논문은 독일의 공근무제도에 대한 정확한 판단을 위한 기초가 될 것이다. 똑같이 직업공무원제도에 대해 이야기한다 하더라도 독일과 한국이 같은 것이 아니라, 그 시대와 그 나라의 현실에 적합하게 해석되고 인정되어야 하기 때문이다. 이 논문은 우리나라 헌법 제7조의 공무원조항을 해석하는데 있어 많은 참조를 하고 있는 독일의 직업공무원제의 전래된 내용들이 2006년 이후 어떻게 주 법률로써 구체화되고, 법원에서 판단되고 있는지를 분석하고자 한다. 이를 통해 제도보장으로 이해되는 직업공무원제도의 내용을 우리 나라에서는 어떻게 발전시켜야 하는가에 대한 고민을 시작하게 해 줄 것이라 생각된다. 또 연방 국가는 아니지만, 국가직과 지방직으로 나뉘어진 공무원법관계에서 독일처럼 지방자치단체의 재정에 따라 다른 대우를 할 수 있는가에 대한 생각을 해보는 고민의 시작점이 될 것이라 생각한다.

    영어초록

    Das Thema des Beitrags behandelt die Dienstrechtsreform in Deutschland nach dem Jahr 2006. Das Institut des Berufsbeamtentums wird von Beamten als ein sicheres Nest gedacht, aber von anderen als ein Hindernis zur modernenen, effizienten und flexibilisierten Verwaltung vorgeworfen. Der “öffentliche Dienst” in Deutschland ist eine zweispurige Institution, die zwei formal unterschiedliche Dienstverhältnisse kennt: jenes des Beamten, der hoheitlich ernannt wird, und jenes des Vertragsbediensteten, den man durch privatrechtlichen Vertrag beruft. Heutzutage hat sich das Gewicht mehr zu den Vertragsdiensten verschoben.
    Im Jahre 2006 wurde die Dienstrechtsreform in Deutschland angefangen: Zuerst durch die Föderalismusreform I eingeführt. Die Übertragung von Gesetzgebungsbefugnissen vom Bund auf die Länder im Bereich des öffentlichen Dienstes. Die bislang in Art. 33 Abs. 5 GG verankerten Grundsätze des Berufsbeamtentums sollen nach dem Willen der Reformgeber nicht nur geregelt, sondern auch fortentwickelt werden. Laufbahnen, Besoldung und Versorgung der Landesbeamten sind also nunmehr ausschließlich Ländersache. Danach haben sich die Länder die eingene Dienstrechte erlassen. Es ist nicht zutreffend, wenn in der Rechtsprechung darauf hingewiesen wird, die Fortentwicklungsklausel beziehe auf gar nicht auf die hergebrachten Grundsätze des Berufsbeamtentums, sondern lediglich auf das öffentlichen Dienstrecht. Bis jetzt hält sich das BVerfG dies.
    Bei dem Beamtenrechtspraxis in Korea spielt sich die Meinung des Verfassungsgerichts eine große Rolle. Das KVerfG betont immer wieder den gesetzgeberischen Ermessensspielraum bei der Gestaltung des öffentlichen Dienstrechts. Die Besonderheiten des Beamtenstatus lassen sich politisch nur so lange rechtfertigen, wie die Beamtenschaft die an sie gestellten hohen Anforderung erfüllt.
    Ziel des Beitrags ist es, die eingeleiteten Reformen der Gesetzgebungskompetenz und die öffentliche Dienst in Deutschland zu Korea vorzustellen. In diesem Zusammenhang ist die Vereinbarkeit mit den hergebrachten Grundsätzen des Beamtentums noch zeitgemäß geprüft. Zu diesem Zweck werden zunächst die strukturellen Besonderheiten des Föderalismusreform I. Der Beitrag schließt mit einem Ausblick auf den weiteren Reform- und Forschungsbedarf des koreanischen Beamtenrehcts.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공법연구”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방대한 자료 중에서 선별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목차부터 본문내용까지 자동 생성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캐시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8월 13일 수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11:01 오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