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수석교사제에 대한 유치원 교사의 인식 : 유치원 기관유형 중심으로 (Kindergarten Teachers’ Perceptions about the Master Teacher System)

28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6.16 최종저작일 2012.08
28P 미리보기
수석교사제에 대한 유치원 교사의 인식 : 유치원 기관유형 중심으로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한국영유아교원교육학회
    · 수록지 정보 : 유아교육학논집 / 16권 / 4호 / 139 ~ 166페이지
    · 저자명 : 김안나

    초록

    본 연구의 목적은 수석교사제도에 대한 유치원 교사의 인식을 알아보는 것이다. 이를 위해 현재 서울과 대전에 근무하고 있는 공사립유치원에 재직 중인 교사 281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하였다. 본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유치원 교사들은 수업 전문성을 가진 교사가 우대받는 교직 풍토를 조성하기 위해 수석교사제가 필요하다고 인식하였다. 반면 수석교사제의 구체적인 내용은 정확히 인식하지 못하고 있었다. 둘째, 유치원 교사들은 수석교사의 선발기준에 대해 교육경력 10년 이상인 자가 적합하다고 보았으며, 동료 교사 평가가 선발 전형기준에서 가장 중요하다고 보았다. 그리고 수석교사의 선발인원에 대해서는 공사립유치원간에 인식의 차가 나타났다. 공립유치원 교사의 경우, 전체교원의 10%라고 보았으며 사립유치원 교사는 유치원 당 1명의 수석교사가 배치되어야 한다는 인식을 보였다. 셋째, 유치원 교사들은 수석교사란 수업에 전문성을 가진 교사라고 인식하며 수업지원활동이 그들의 가장 중요한 역할이라고 보았다. 한편, 수석교사의 적절한 주당 수업시간에 대해서는 공사립유치원 간의 인식의 차를 보였는데 공립유치원 교사의 경우, 주당 3-4시간 이하라고 응답한 반면 사립유치원 교사는 주당 7-8시간 이하가 적절하다는 인식을 보였다. 넷째, 유치원 교사들은 수석교사 임기가 2년 중임이 적절하다고 보았으며, 원감 수준의 지위로 인식하고 있었다. 한편, 수석교사의 적절한 연구 활동비는 월 30만원 이상 되어야 한다고 보며, 특별연구비 지원이나 연구년 등의 인센티브가 제공되어야 한다고 보았다. 다섯째, 유치원 교사들은 수석교사제의 효율적인 운영을 위하여 수석교사 역할의 명시가 필요하며, 평교사들의 업무 및 수업부담 가중이 생기는 것을 우려하고 있었다. 한편 유치원 교사들은 수석교사제를 통해 교원들의 수업전문성이 신장될 것이라는 희망을 보였다.
    이상과 같은 연구 결과는 수석교사제도의 나아가야 할 바람직한 방향을 밝히는데 긍정적인 영향을 줄 것으로 사료된다.

    영어초록

    This study was carried out in order to find out the awareness of kindergarten teachers about "Master teacher system". To this end, a survey of 281 teachers working in public/private kindergartens in Seoul and Daejeon was carried out.
    The result of this study is as follows. First, kindergarten teachers considered Master teacher system as a good opportunity to create an environment where qualified and specialized teachers can be given preferential treatments and thought it is necessary. On the other hand, they had no details about the system. Second, kindergarten teachers thought that master teachers should be appointed among teachers with more than ten years of work experience and considered professionalism of teachers as the most important factor. Moreover, they thought that performance and achievements in leading classes inside/outside classes are the most important among the list of standards for selecting a master teacher. Teachers at public kindergartens answered that the proportion should be 10 percent out of all. Meanwhile, private kindergarten teachers thought that a master teacher should be appointed in every kindergarten. Third, kindergarten teachers considered a master teacher as a teacher with professionalism and specialty for class and their pivotal role is to support class. Meanwhile, as for proper weekly class hours of a master teacher, there have been differences of awareness between public and private kindergarten teachers. Public kindergarten teachers answered it should be less than 4 hours weekly. On the other hand, teachers at private kindergartens thought that it should be less than 8 hours per week. Fourth, kindergarten teachers considered that a master teacher can be reappointed for 2 consecutive years at a level of vice-director of a kindergarten. Meanwhile, they thought proper payments for research activities should be more than 300,000 won per month and support for special research and study years should be provided as means of an incentive. Fifth, kindergarten teachers answered that a clear role of a master teacher should be designated so that Master teacher system can be effectively and efficiently operated. At the same time, they worried that normal teachers' burden of duties and classes would increase when the new system comes into place. Furthermore, they hoped that this new system would increase kindergarten teachers' professionalism and specialization in classes.
    The results of the study as above is expected to positively influence discovering a desirable way for implementing the Master teacher system.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유아교육학논집”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9월 04일 목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1:23 오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