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洪厓 李箕元의 自撰年譜 『洪厓自編』 연구 (A Study on Hongae(洪厓) Lee, Gi-won(李箕元)’s autobiographical chronology Hongaejapyeon(洪厓自編))

37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6.16 최종저작일 2017.02
37P 미리보기
洪厓 李箕元의 自撰年譜 『洪厓自編』 연구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고려대학교 민족문화연구원
    · 수록지 정보 : 민족문화연구 / 74호 / 61 ~ 97페이지
    · 저자명 : 안득용

    초록

    여기 가난한 한 명의 庶族 출신 문인지식인이 있다. 그의 이름은 李箕元이다. 우리는 그가 남긴 詩와 散文 외에 自撰年譜인 『洪厓自編』을 통해 그의 삶과 마주할 수 있다. 본고는 바로 이기원의 『홍애자편』에 대한 연구이다. 『홍애자편』에 초점을 둔 이유는, 자신의 연보를 쓰면서 그 창작의 동기와 기사를 취사하는 기준을 명시했고, 自己를 중심으로 지난 삶을 省察하였으며, 일상과 주변을 기록했다는 점 때문이다.
    이와 같은 사항에 초점을 두고 『홍애자편』을 고찰한 결과 다음과 같은 사실을 알게 되었다. 첫째, 그가 『홍애자편』을 창작한 동기는 존재의 증거를 남기고, 정확하고 공정하게 자신의 삶을 기록하고자 하는 의지에서 비롯되었다는 점이다. 둘째, 『홍애자편』 서사의 특징적인 모습은 다음의 두 가지 측면으로 나누어 볼 수 있다. 우선, 현재 자신의 삶이 형성된 원인을 고구했다는 측면에서 省察的이고, 지난 삶과 ‘자기’를 상세하게 서술했다는 점에서 구체적이었다. 다음으로, 일상과 주변에 초점을 맞춘 서사를 통해 이기원의 기호와 취향은 물론, 그를 둘러싼 당시의 사회적 환경 역시 엿볼 수 있었다.
    이로써 볼 때, 『홍애자편』은 조선후기를 대표하는 私的 系列의 자찬연보이며, 또 다른 대표작인 沈魯崇의 『自著紀年』과 함께 그 스펙트럼을 넓혔다는 점 등이 『홍애자편』에서 찾을 수 있는 문학사적 의미이다.

    영어초록

    Here is a intellect who was born to grandchild of a concubine. His name is Lee, Gi-won(李箕元)’, he also wrote poems and prose to express his feelings and thoughts like other intellects who lived in 18th century. His poetical work’s name is Hongae’s poetical work(洪厓詩集), his essay book’s name is Hongae’s essay book(洪厓文集). We can face his life through his poetical work and essay book. By the way, we must read his autobiographical chronology, Hongaejapyeon(洪厓自編), to understand his whole life and his inner side. This is a study on the Hongaejapyeon.
    I studied on Hongaejapyeon, because there are the reason why Lee, Gi-won(李箕元) wrote this autobiographical chronology, and he adduced to explain the screening criteria, and he reflected on his life, and he drew everyday life in his autobiographical writing. In other words, the reason why I studied on Hongaejapyeon is its private feature.
    This report researched these private features of Hongaejapyeon, with the result that there are following features.
    First, creative motivations of this work are to leave evidence of life, and to write his life accurately and fairly. And he constructed the screening criteria, those are to keep away from self-deception and abasement, to objectify himself, and to write at the very least.
    Second, I studied on Hongaejapyeon’s narrative, there are following features. First of all, he wrote his personality and the origin of his character. this attitude is self-respective. because, he introspected the reason of life. And he wrote his life concretely. The word, “concretely”, means that he described both outside and inside. Because of his this attitude, we can see the man, Lee, Gi-won distinctly. The next, we can also see the social circumstance in 18th century as well as his taste and preference in Hongaejapyeon. My research is focused on novel reading condition, story collecting condition, and the life of in 18th century. As a result, we can experience his society through Hongaejapyeon.
    Autobiographical writings are to be individualized after the middle of the Joseon Dynasty. On the other hand, a autobiographical chronology is still official. Maybe because mother genre, namely chronology, is official. My suggestion that Hongaejapyeon is the major work of private affiliation is reasonable in this historical flow. And Hongaejapyeon broadened the prism of private affiliation with Shim, Ro-soong(沈魯崇)’s Jajeoginyeon(自著紀年) as the other major work of private affiliation.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민족문화연구”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9월 03일 수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9:56 오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