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전지구적 개방화 시대 새로운 농민층의 형성: 농민의 관계와 생산·유통조직의 재구축 (The Formation of New Peasantries in the Age of Global Liberalization : Relation of Peasantries and Rebuilding of Production, Distribution Organizations)

66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6.16 최종저작일 2019.04
66P 미리보기
전지구적 개방화 시대 새로운 농민층의 형성: 농민의 관계와 생산·유통조직의 재구축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한국농촌사회학회
    · 수록지 정보 : 농촌사회 / 29권 / 1호 / 107 ~ 172페이지
    · 저자명 : 박지은

    초록

    이 연구는 전지구적 개방화 시대에 시장의 파급력을 증폭시키는 정부 정책의 영향아래 재구성되는 지역에서 적응 혹은 대응해온 40~50대 농민들에 주목하며, 이들은 다각적 활동을 통해 어떻게 다르게 살아가는지를 분석하고자 한다. 새로운 농민층의 형성은 과정적·형상적 존재이며, 농민은 자신의 관계를 통해 생산수단과 노동력의 한계를 넘어서고자 한다. 지역농업의 재편과정에서 새로운 농민층의 관계 맺기와 생산·유통 조직 활동의 재구성을 추적하는 것을 목표로 했다.
    전면적 개방 이후에도 농민이 농사를 지속하고자 하는 맥락은 자본 혹은 국가가 부여하는 외부로부터의 관점과 거리가 있다. 농민은 주변인이 되었을지라도 스스로에게 ‘땅의 관리자, 실질적 생산자, 자율적 주체’라는 근거를 제공했으며, 지역의 생산, 유통조직에서 적극적 행위자로 드러났다. 농촌은 이들이 구성되거나 스스로 주조하는 시공간을 빗겨나 지속가능성을 예단하기 어렵다. 정부가 증폭시키는 시장의 권력으로부터 압착되면서도 농민은 어떻게 틈새를 만들어 가는지를 파악하고자 했다.
    이 연구분석에 따라 전지구적 개방화 시대 농민층의 변화상에 대한 해석에 따르면, 농민 스스로가 농민형 농업의 원리를 지탱하는 것을 넘어서 농민이 살아갈 수 있는 새로운 사회적 배치를 필요로 한다. 농민 다수는 한계에 달해서도 농민형과 경영자형의 교차적 선택을 반복할 가능성이 높다. 따라서 새로운 농민층에 대한 학문적 이해와 더불어 농민의 현실변화에 기여할 수 있는 실천적, 정책적 함의를 제시하고자 한다. 첫째, 농민에 대한 분석단위는 기존의 계급/계층적 이해를 가로지르는 개인과 조직, 영농형태, 자본구성의 차이를 검토할 수 있어야 한다. 높아지는 시장의 파고속 기울어진 운동장에서 동일하게 경쟁하도록 몰아놓은 구도부터 완충시킬 수 있어야 한다. 그 과정에서 농민의 길을 선택하는 농민이 늘어날 수 있으며, 경영의 원리 탈각화를 통해 농민형 농업의 원리를 지지하는 농민이 살아갈 수 있다. 둘째, 실천적 차원에서 지역은 전지구적 상황에 대한 대안을 배태한 장소이다. 농민은 종속 혹은 방어적 맥락으로서만 존재하지 않고, 유연한 영농과 다각적 관계맺기 활동을 한다. 또한 개인적·집합적 수준에서 자신의 활동을 통해 자본과 노동력의 제약을 넘어서며 지역사회를 재생산할 수 있다. 농민이 살아갈 수 있는 사회가 지역생태 지속 가능성의 주요한 좌표축이라는 인식전환을 필요로 한다. 셋째, 지역의 주요한 생산자이며, 생산, 유통조직의 재구축을 담당하고, 지역사회의 활력을 만들어 가는 새로운 농민층을 위한 제도변화를 모색할 필요가 있다. 지금, 여기 실존하는 젊은층인 40~50대가 규모화의 악순환에서 이탈하여 농민으로 살아가기를 지속할 수 있어야 농촌 이주를 모색하는 청년농에게 다른 전망을 제시할 수 있다.

    영어초록

    This study focuses on the 40~50s who have been adapting or responding in the reconstructed area in relation to the influence of government policies that amplify the market power in the era of global opening, and analyze how they take part in plural activity differently. The formation of new peasantries group is a process under way and figuration existence, and the peasantries want to go beyond the limits of the means of production and labor through his relations.
    According to this research analysis, changes of the peasantries in the era of global liberalization require a shift to a new social arrangement in which peasantries could live beyond the academic understanding of peasant principle. In a society where entrepreneur principle is regulated, peasantries are not easy to escape from the circle of circulation while recognizing the trajectory of development and survival. The majority of peasantries are likely to repeat the complicated frame linked peasant farming and entrepreneur farming even if they reach the limit.
    Therefore, I would like to suggest practical and policy implications that contribute to the change of the peasantries' reality as well as the academic understanding. First, the analytical level for peasantries should be able to examine the differences between individuals and organizations, farming patterns, and capital composition beyond existing class/stratum unit. It should be able to buffer from the composition which is equally competing in the high wave leaning field of the rising market. Second, In the practical level, the local area is an alternative to the global problems. Peasantries do not exist only as the defensive or beneficiary contexts, but engage in multi-faceted relationships with flexible farming. It is also possible to regenerate the community through its plural activities at a personal or collective level, overcoming the constraints of capital and labor power. It is necessary that the society in which the peasantries could live is needed. Third, it is necessary to seek institutional change for new peasantries who are in charge of rebuilding local agriculture of production and distribution organizations, creating vitality of local community. When 40s~50s are able to continue to live a life, deviating from the vicious cycle of scaling, meanwhile, it is possible to present a different prospect to the young peasantries who are looking for rural migration.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방대한 자료 중에서 선별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목차부터 본문내용까지 자동 생성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캐시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7월 26일 토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3:26 오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