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Sci-fi 영화에서, 도대체 새로운 종의 출현은 어떤 의미인가?: 일반체계이론을 중심으로 (What on earth does the emergence of a new species mean in a Sci-fi film?)

29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6.16 최종저작일 2023.07
29P 미리보기
Sci-fi 영화에서, 도대체 새로운 종의 출현은 어떤 의미인가?: 일반체계이론을 중심으로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목원대학교 교양교육혁신연구센터
    · 수록지 정보 : 지식과 교양 / 12권 / 13 ~ 41페이지
    · 저자명 : 김성범

    초록

    2000년대 이후 Sci-fi 영화에서 표현되는 지구 재난 상황은 인류의 과학문명의 발달에 기인한 결과이고 이것은 마치 물리학에서 ‘인과율 법칙’과 같다. 예를 들어 기후, 바이러스, 자원고갈, 에너지 부족 그리고 핵전쟁 등을 차치하고서라도 우주에서 발생한 위기 상황 역시 인류와 연관되어 있는 결과이다. 심지어 외계 종족과의 접촉은 인류보다 월등한 종족으로서 파괴적 목적성보다는 정보 교환적 목적성이 더 강하다. 외계 종족과 접촉을 통한 정보의 교환만이 인류 종족이 멸족하지 않고 지구에 닥친 절체절명의 위기를 극복하는 방법이란 뜻과 일맥상통한다. 인류의 발달된 과학기술문명은 결국 모든 지구상에 불어닥친 절체절명의 위기를 자초한 근본적인 원인이며 이제 그 임계점에 다다랐거나 아니면 이미 임계점을 지났을지도 모른다. 결국 인류는 이처럼 종의 멸종과 지구의 멸망을 해결할수 있는 방법으로 인간을 넘어서는 '오버맨'을 간절히 욕망해 왔고, 2000년대 이후 모든 Sci-fi 영화에서 다양한 방법으로 등장시켜 표현해 왔다. 우리는 이 '오버맨'을 '새로운 종' 또는 '신인류'라고 지칭한다. 본 논문은 이 ‘새로운 종’이 의미하는 것을 밝혔다.

    영어초록

    The disaster situations on Earth represented in sci-fi films since the 2000s are the result of the development of human scientific civilization, which is like the "law of causality" of physics. For example, putting aside climate change, viruses, resource depletion, energy shortages, and nuclear warfare, etc., the crisis situations that have occurred in space are also the result of human-related causes. Furthermore, contact with alien races is more for information exchange than for destructive purposes, as they are superior to humans. This is consistent with the idea that the exchange of information through contact with alien races is the only way to overcome the imminent and desperate crisis on Earth without the human race perishing. Humanity's advanced scientific and technological civilization is, after all, the underlying cause of the desperate crisis that has blown over all the earth, perhaps having now reached or already passed its critical point. After all, humanity has thus longed for an 'overman' beyond man as a solution to the extinction of species and the destruction of the Earth, and this has been represented in various ways in many sci-fi films since the 2000s. We call this 'overman' a 'new species' or 'new kind'. This paper attempts to clarify what is meant by this "new species".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지식과 교양”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방대한 자료 중에서 선별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목차부터 본문내용까지 자동 생성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캐시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8월 14일 목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9:19 오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