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그리스도교 기적에 대한 새로운 이해 모색 ― 성령론적-종말론적 기적 개념을 중심으로 (Toward a New Understanding of Christian Miracles: Focusing on a Pneumatological-Eschatological Approach)

42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6.16 최종저작일 2024.03
42P 미리보기
그리스도교 기적에 대한 새로운 이해 모색 ― 성령론적-종말론적 기적 개념을 중심으로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한국조직신학회
    · 수록지 정보 : 한국조직신학논총 / 74호 / 7 ~ 48페이지
    · 저자명 : 김동휘

    초록

    본 소고는 필자가 제안하는 기적에 관한 새로운 용어와 개념들을 바탕으로 과학의 시대를 살아가는 현대인들에게 그리스도교 기적에 대한 포괄적이고 종합적인 이해를 제공하는 것을 목표로 한다. 이 논문은 그리스도교 기적 개념에 대한 이론적 고찰을 담고 있는바 성서 시대로부터오늘날에 이르기까지 이른바 ‘기적’이라고 알려진 역사 속 사건들을 학문적으로 재검토함으로써 전통적인 그리스도교의 기적 이해를 분석하고 그로부터 비롯된 개념적 한계들을 지적한 다음, ‘성령론적-종말론적’ 기적 개념을 그 대안으로 제시하고자 한다.
    필자는 그리스도교 기적을 객관적 사건이자 현 자연 질서와 양립불가능한 사건으로 정의한다. 다시 말해 과거 성서 시대로부터 오늘날까지 계속 보고되는 기적이라 불리는 사건은 일상에서 매우 이례적이고 비반복적인 유일무이한 사건이자 현 자연법칙과 양립불가능한 사건으로, 자연에 대한 인간 이해의 진보와 관계없이 자연의 인과적 질서를 초월한 초- 자연적 사건으로 여겨질 것이다. 기적은 고대인에게든 현대인에게든 시대와 세대를 초월해 동일하게 ‘객관적’ 사건으로 관찰될 것이며, 목격자의 주관적 감흥에 따라 일부에게는 초자연적 사건으로, 다른 일부에게는 자연적 사건으로 각기 다르게 해석되긴 어려울 것이다. 그러나 이 전통적인 기적 이해가 갖는 문제점 중 하나는 바로 하나님의 개입주의적 활동이다. 이러한 신적 개입주의는 고전적 유신론에서 말하는 하나님의일관성 및 완전성 교리 그리고 이로부터 야기되는 ‘기적 신정론’의 문제를 가져온다. 따라서 필자는 이 개입주의가 갖는 문제점에 대한 대안으로 ‘성령론적-종말론적’ 기적 이해를 제안한다. 하나님의 영은 마치 세상바깥에 위치해 어떻게든 세상 ‘안’으로 들어가야 하는 존재가 아니라 전통 삼위일체 신앙을 따라 태초부터 지금까지 창조 세계에 항상 현존하신다고 말할 수 있다. 그러한 성령의 계속적 사역은 사실 새 창조로부터소급해 역사하시는 것으로, 여기서 바로 종말론적 기적 개념이 새롭게제안될 수 있다. 성서에 기초한 신학적 상상력을 토대로 본다면 실제 역사 속에서 보고되어 온 기적 사건은 ‘새로운 자연법칙’이 적용된 ‘다가오는 하나님 나라(새 창조)’로부터 비롯된 사건으로서, 이는 사실 종말론적 새 하늘과 새 땅에서 현 세계의 역사 속으로 소급되어 선취된 사건인것이다.

    영어초록

    This paper aims to provide a comprehensive understanding of Christian miracles to people living in the age of science based on the new terms and concepts regarding miracles. To achieve this goal, I first analyze the traditional understanding of miracles in Christianity and discuss the conceptual and epistemic limitations by academically reexamining allegedly historical events known as “miracles” from biblical times to today; then I suggest the “pneumatological-eschatological” approach to miracles as a new and alternative understanding of miracles.
    Traditional notion of miracles in Christianity could be viewed as objective events and events incompatible with the current natural order.
    In other words, the highly unusual, non-repeatable, and unique occurrences called miracles, which have been reported in nature and history, are events that are incompatible with the current laws of nature —regardless of the progress of human understanding of nature. These, as supranatural incidents that transcend the natural order, are noticed as objective events regardless of time and generation, since it is quite difficult for observers to interpret the miraculous as natural events depending on their subjective interpretations. However, this traditional view presents challenges, particularly regarding the idea of God’s intervention in the world, which seems to conflict with the doctrines of divine consistency and perfection advocated in classical theism, while also giving rise to the problem of “miracle theodicy”. To address these issues, I propose a new perspective, “pneumatological-eschatological” understanding of miracles. The Spirit of God is not a being located outside the world, but has always been present within it, and this continuous presence of the Holy Spirit can be considered as working retroactively from a future, a new creation. Here, an eschatological concept of miracles is introduced. In light of the theological imagination based on the Scriptures, I argue that the miraculous events reported in history and nature are events originating from the coming kingdom of God to which the new law of nature has been applied. Miracles, from that perspective, can duly be regarded as proleptic events retroactively acted by triune God from the eschatological new creation into the present creation.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 전문가요청 배너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10월 19일 일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2:55 오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