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알베르 사로(Albert Sarraut)의 발전 식민주의: 전간기 프랑스의 식민지 개발론과 새로운 통치성 (Albert Sarraut’s Developmental Colonialism: ‘Mise en Valeur’ and New Colonial Governmentality in Interwar France)

43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6.16 최종저작일 2023.06
43P 미리보기
알베르 사로(Albert Sarraut)의 발전 식민주의: 전간기 프랑스의 식민지 개발론과 새로운 통치성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역사학회
    · 수록지 정보 : 역사학보 / 258호 / 195 ~ 237페이지
    · 저자명 : 권윤경

    초록

    이 글은 전간기 프랑스에서 대두한 식민부 장관 알베르 사로(Albert Sarraut)의 식민지 개발론을 살펴봄으로써 발전의 역사(history of development)에서 식민주의적 계보를 추적하고자 한다. 전간기 제국들에서는 제1차 세계대전 후 위기에 빠진 식민주의를 혁신하고 정당화하려는 시도가 공통으로 나타났고, 그 기저에 깔린 새로운 통치성은 발전을 키워드로 해서 국가가 사회에 계획적으로 개입하여 식민지의 자연 자원과 인구를 합리적으로 개발·관리하는 것이었다. 사로는 1921년 이후 국가의 적극적 계획을 통한 식민지의 기반시설 건설과 주민 복지를 골자로 하는 식민지 ‘개발(mise en valeur)’을 새로운 제국 정책의 과제로 확산시켰으며, 그의 주장은 비록 바로 정책화되지는 못했더라도 식민지 관료와 전문가 집단들에게서 광범위한 지지를 얻었다. 본문 2장에서는 사로의 1921년 법안과 그가 1923년에 출간한 책을 중심으로 식민지 발전론의 대략적 모습을 개관하고, 3장에서는 사로가 1931년에 출간한 책을 통해 1920년대 식민지 위기를 거치며 변화한 발전 식민주의의 모순을 탐구한다. 4장에서는 1930년대 이후 마침내 식민지 투자가 실현되면서 나타난 문제와 함께 유럽에 전운이 감돌면서 식민지 발전론이 ‘유라프리카’ 기획으로 전환되는 모습을 살피고, 마지막 결론에서는 발전사 속에서 식민주의 과거의 중요성과 현재적 함의를 짚어본다.

    영어초록

    This article traces the colonial genealogy in the history of development by examining the policy of colonial development presented by Albert Sarraut, the minister of colonies in interwar France. In the interwar period, colonial empires shared an overall project to innovate and re-justify colonialism challenged by the World War I. The underlying new colonial governmentality was based on the key idea of development, whereby the state would intervene systematically in the civil society to rationally manage and develop natural resources and population in colonies. Since his proposal of a new colonial development plan in 1921, Sarraut promoted colonial ‘mise en valeur’ - the active economic planning, massive construction of colonial infrastructure and the welfare of colonial inhabitants - as the new imperial policy imperative. After Chapter 1 situates ‘Sarruat Plan’ in multiple nodes of prior scholarship, Chapter 2 provides an overview of his idea of colonial ‘mise en valeur’ by focusing on his 1921 bill and the book published in 1923.
    Chapter 3 concentrated on his another book published in 1931 and explores the contradictions of developmental colonialism as it evolved through the colonial crisis of the 1920s. Chapter 4 examines Sarruat’s reframing of colonial development for the ‘Eurafrica’ project to maintain the peace and hegemony of Europe in the upcoming crisis. Chapter 5 concludes with a discussion of the importance of the colonial legacies in the history of development and its implications for the present.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방대한 자료 중에서 선별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목차부터 본문내용까지 자동 생성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캐시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8월 14일 목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9:58 오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