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학습과학은 새로운 패러다임인가: 탈-인지주의 교육학의 등장 배경과 전망 (New Paradigm? The Learning Science, It’s Background, and Promise as Post-Cognitivism)

26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6.16 최종저작일 2023.06
26P 미리보기
학습과학은 새로운 패러다임인가: 탈-인지주의 교육학의 등장 배경과 전망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한국교육과정학회
    · 수록지 정보 : 교육과정연구 / 41권 / 2호 / 163 ~ 188페이지
    · 저자명 : 김빛나, 박영주, 손민호

    초록

    학습과 사고, 지식을 어떻게 규정하느냐는 인지적 사고와 실천적 사고에 대한 상이한 두 견해의 경합과 혼용, 배제 등에 달려 있다고 할 수 있다. 이는 정보처리로서의 사고와 상호작용으로서의 사고로 요약해 볼 수 있으며 각각 인지주의와 탈-인지주의, 상황인지로 알려져 있다. 이 두 견해는 패러다임 수준의 차이인 만 큼 각각에서는 ‘동일한’ 개념조차도 상이한 의미를 갖는다. 오늘날 교육에서의 다양한 개념 사용에 있어서 오 해와 혼란은 이와 밀접히 관련되어 있다. 이러한 오해와 혼란은 인지주의에서 탈-인지주의로 탈바꿈하는 패 러다임 전환기에 나타나는 현상이다. 교육 연구 공동체 내에서 핵심적인 공용 개념들을 둘러싼 오해와 혼란의 가중은 기존의 패러다임과 단절하는 새로운 패러다임을 요구, 출현시킨다. 교육학 내 여러 시도가 있는데 학 습과학이 대표적인 현상이다. 본 연구는 학습과학으로 새롭게 범주화하고자 한 연구들이 어떤 배경에서 탈- 인지주의 패러다임으로의 전환을 모색하였고 이들이 하나의 정상과학을 추구하면서 공히 매달리는 연구 퍼즐 이 무엇인지 소개하고자 하였다. 나아가 학습경험의 설계에 어떤 시사점을 줄 수 있는지를 살펴보았다. 최근 교육과정을 둘러싼 급격한 변화의 제반 동향을 이해하고 그 변화에 합당한 접근을 모색하는 데 일조하리라 기대한다.

    영어초록

    Defining learning, thinking, and knowledge depends on the competition, mixing, and exclusion of two different views on cognitive thinking and practical thinking. This can be summarized as thinking that is related to information processing and thinking that is interaction-based, situational cognition. Since these two views are different at the paradigm level, even the “same” concept has different meanings. Misunderstandings regarding the use of various concepts in education at present are closely related to this situation. This confusion is a phenomenon that appears during the paradigm shift from cognitivism to post-cognitivism. The increasing surrounding common core concepts within the educational research community calls for a new paradigm that challenges the existing one. Many such attempts have been made in education, and learning science is a representative phenomenon. This study aims to introduce the background of the studies that were newly categorized as learning sciences, which are seeking a transition to the post-cognitive paradigm and what the research puzzles they are clinging to while pursuing normal science. Furthermore, we examined the implications for the design of learning experiences. It is expected that thes study will contribute to understanding the trend of rapid changes surrounding the recent curriculum and seeking a reasonable approach to change.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방대한 자료 중에서 선별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목차부터 본문내용까지 자동 생성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캐시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8월 14일 목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3:30 오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