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인공지능 재현의 타자화 경향과 새로운 주체로의 변화 양상: 영화 공간의 기능 (The Tendency of Artificial Intelligence Reproduction and Change to New Subjects: Function of Cinematic Space)

27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6.16 최종저작일 2022.06
27P 미리보기
인공지능 재현의 타자화 경향과 새로운 주체로의 변화 양상: 영화 공간의 기능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한양대학교 현대영화연구소
    · 수록지 정보 : 현대영화연구 / 18권 / 2호 / 91 ~ 117페이지
    · 저자명 : 서의석

    초록

    영화의 소재와 이야기의 전개를 효과적으로 구체화 시키기 위해서는 무엇보다 공간에 대한 연출이 중요하다. 인공지능을 소재로 한 영화들은 이러한 공간연출에 있어 오랜 기간 관습적인 방식을 취해 왔다. 공간의 수직적 구조를 통해 인간과 기계 사이의 권력 구조를 상징화시켜 권력이 어떻게 메타포적 공간을 점유했는지에 대하여 설명했으며, 이를 위해 상징적 기호체계를 가지는 어느 특정한 공간을 설정하여 인간과 기계, 주체와 타자를 구분 지으려 시도했다. 이러한 방식은 하나의 고정된 방식처럼 여겨져 관습으로 자리하여 영화 관계자는 물론 관객들의 사고를 고정화했다. 영화는 이렇게 매체의 특성을 활용하여 우리가 끊임없이 고민해야 하는 정체성에 관한 물음을 던져 왔다. 그러나 이는 대부분 인간중심주의의 사고방식에 기인한 것으로 언제나 늘 이 같은 방식을 통해 인간의 우월함과 존재 가치에 대하여 평가했다. 그러나 최근의 경향은 이에 대한 부정까지는 아니지만 이에 대하여 새로운 시각적 접근을 시도하고자 노력하는 추세로 이어지고 있다. 이에 본 논문은 크리스테바의 이론을 바탕으로 영화 속 이미지 재현을 통해 나타나는 공간성의 다양한 층과 감정의 공간적 존재성에 대해 논의해 보았다. 또한, 이러한 공간성에 대한 분화된 이해를 영화의 공간 및 특유의 연출력의 문제에 적용하고자 했다. 이를 통하여 기존의 관습에 맞게 메타포를 쓰는 것도 중요하지만, 그것을 어떻게 해석할 것인가, 나아가 어떻게 그 메타포를 뒤집을 것인가의 문제 또한 중요한 문제임을 지적한다.

    영어초록

    In order to effectively materialize the material and story development of the film, directing the space is more important than anything else. Movies based on artificial intelligence have long taken a conventional approach to this spatial production. Through the vertical structure of space, he explained how power occupied the metaphysical space by symbolizing the power structure between humans and machines, and to this end, he attempted to distinguish between humans, machines, subjects, and others by setting a specific space with a symbolic symbol system. This method was regarded as a fixed method and became a custom, fixing the thoughts of not only film officials but also the audience. The movie has used the characteristics of the media to ask questions about the identity that we have to constantly worry about. However, this is mostly due to the way of thinking of humanism, and has always evaluated human superiority and value of existence through this method. However, the recent trend is not to the extent of denial, but it is leading to a trend of trying a new visual approach. Therefore, based on Kristeva’s theory, this paper discussed the various layers of spatiality and the spatial existence of emotions that appear through image reproduction in the movie. In addition, this differentiated understanding of spatiality was intended to be applied to the problems of film space and unique directing power. Through this, it is important to write a metaphor according to existing customs, but it is also pointed out that the question of how to interpret it and furthermore, how to reverse the metaphor is also an important issue.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현대영화연구”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방대한 자료 중에서 선별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목차부터 본문내용까지 자동 생성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캐시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8월 14일 목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9:18 오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