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모죽지랑가의 시대적 배경 재론-효소왕의 출생 시기에 대한 새로운 추론- (The Chronological Background of Mojukjirangka Revisited - A New Inference on the Date of King Hyoso’s Birth -)

59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6.16 최종저작일 2013.12
59P 미리보기
모죽지랑가의 시대적 배경 재론-효소왕의 출생 시기에 대한 새로운 추론-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한국고대사탐구학회
    · 수록지 정보 : 한국고대사탐구 / 15호 / 35 ~ 93페이지
    · 저자명 : 서정목

    초록

    득오가 ‘모죽지랑가’를 지은 시기의 孝昭王은 『三國遺事』 ‘臺山五萬眞身’ 조의 기록대로 16살에 왕위에 올라 26살에 승하하였다. 그가 6살에 즉위하여 16살에 승하하였다는 학설은 『三國史記』의 元子와 王子를 동일시한 현대의 연구자들이 범한 오류이다. 『삼국사기』에서 687년에 출생한 元子는 691년에 태자로 봉해진 王子 理洪이 아니다. 왕자 이홍은 677년에 정명태자와 김흠운의 딸 사이에서 그들의 장남으로 태어났다. 元子는 신문왕이 즉위한 후 태어난 그의 넷째 아들이다.
    『삼국사기』 ‘신라본기’에 신목왕후의 아버지로 기록된 一吉湌 金欽運은 『삼국사기』 ‘열전’의 金歆運과 동일인이다. 김흠운은 태종무열왕의 半子[사위]로서 655년 백제와의 陽山 아래 전투에서 전사하였다. 전사할 때 그는 어린 딸 하나를 남겼다. 이 어린 딸이 자라서 28살도 더 되었을 683년에 신문왕의 왕비가 되었는데, 그들에게는 혼인 전에 이미 理洪, 寶叱徒太子, 孝明太子의 세 아들이 있었다.
    681년 신문왕이 즉위할 때 일어난 國舅 金欽突의 謀叛의 1차적 원인은 바로 김흠운의 딸이 낳은 이 세 아들들이다. 왕실은 이미 태어난 왕자로 후사를 이을 방침을 세웠을 것이고, 왕비인 딸의 미래를 걱정한 김흠돌은 이에 이의를 제기하였을 것이다. 여기서 왕실은 김흠돌을 모반으로 규정하고 왕비인 그의 딸을 폐비시켰다. 그리고 그를 지지하는 많은 화랑도 출신 귀족들을 誅戮하거나 권력으로부터 逐出하였다. 이 김흠돌의 모반이 신라 귀족 사회 분열의 원인이 되어 이후 신라가 쇠락하는 데에 크게 영향을 미쳤다.
    竹旨 將軍은 함께 통일 전쟁에 참가하였던 많은 동료들이 죽임을 당하고 축출되는 불우한 정치적 상황에서 晩年을 보내고 효소왕 초반에 이승을 떠났을 것이다. 화랑도 활동 시절 竹旨郞과 돈독한 사이였던 ‘죽만랑지도’의 郎徒 得烏는, 죽지 장군이 사망한 후에 初喪 때나 小祥 때, 또는 그 사이 어느 추모 의식에서 輓歌로이 노래를 지었다. 이것이 나라의 興亡盛衰를 교훈하는 『三國遺事』 ‘紀異篇’에 이 설화와 노래가 실려 있는 까닭이다.

    영어초록

    King Hyoso of Shilla, whose reign is the chronological background of the song ‘Mojukjirangka,’ succeeded the throne when he was 16 years old and died when he was 26 as the record of Samkukyusa ‘Daesan Oman Jinsin’ tells. The theory that he succeeded the throne when he was 6 years old and died when he was 16 is an error made based on the wrong assumption that ‘wonja[legal first prince]’ and ‘wangja[prince]’ in Samkuksaki refer to an identical individual. ‘Wonja,’ who was born in 687 A.D. is not ‘wangja’ I-hong who was created the crown prince. ‘Wangja’ I-hong was born in 677 A.D. to the crown prince Jungmyung and Kim Heum-un’s daughter as their first son. ‘Wonja’ who was born in 687 A.D. is the fourth son of King Shinmun, born after he succeeded the throne.
    Kim Heum-un(欽運), the father of Queen Shinmok, and Kim Heum-un(歆運) in Samkuksaki ‘Yeoljeon’ refer to the same individual. He was a son-in-law of King Thaejongmuyeol, and died a glorious death during a battle against Baekje in 655 A.D. He left an infant daughter, who married King Shinmun in 683 A.D. when she was over 28 years old. They had three sons[Prince I-hong, Prince Botto, Prince Hyo-myeong] before their public marriage.
    With the King Shinmun’s succession to the throne on 681 A.D., there broke out the well-known historical event, Kim Heum-tol(金欽突)’s rebellion. The existence of these three princes born from Kim Heum-un’s daughter was the cause of the rebellion of Kim Heum-tol, whose daughter was the legal Queen of King Shinmun. The royal family might have made the decision that an already existing prince should succeed the throne, and Kim Heum-tol, who worried about his daughter’s future, might have protested to this decision. The royal family accused him of the rebellion and deposed the legal queen who was his daughter. Because of this rebellion a certain group of nobles from Hwarangto was killed or expelled. This caused the noble society of Shilla to split, and seriously affected the rise and fall of the nation.
    Because of this event, the noble Jukjirang might have lost his political power and died during the reign of King Hyoso, after living in obscurity for about 15 years in such a harsh political situation. Mojukjirangka was written by Deuk-o, who had been very intimate with the noble Jukjirang in Hwarangto, in order to be used on the day of the funeral ceremony of Jukjirang, or on the day of Sosang, which is a mourning ceremony on the first anniversary of the death. This is the reason why this song and its story are recorded in Samkukyusa ‘Kiiphyeon’.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한국고대사탐구”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9월 04일 목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1:17 오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