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홀리스틱 미술교육의 확장 - 새로운 미술교육 담론의 수용을 중심으로 - (Holistic Approaches to Art Education for Humanity: Recent Trajectory and Boundaries of the Discourses)

22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6.16 최종저작일 2011.11
22P 미리보기
홀리스틱 미술교육의 확장 - 새로운 미술교육 담론의 수용을 중심으로 -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한국미술교육학회
    · 수록지 정보 : 미술교육논총 / 25권 / 3호 / 267 ~ 288페이지
    · 저자명 : 이재영

    초록

    본고는 홀리스틱(holistic) 미술교육에 대한 최근의 논의를 ‘인간 중심’ 관점에서 살펴본다. 특히 시각문화미술교육과 사회비판이론이 지향하는 인간 중심 관점들이 기존 홀리스틱 미술교육에 불러일으킨 새로운 논의를 살펴본다. 즉, 본 논문의 핵심은 홀리스틱 미술교육에 대한 기존 논의가 보다 최근 미술교육 담론 안에서 새로운 확장을 시도하고 있음을 소개하기 위한 이론적 논의에 초점을 둔다. 따라서 영성적 신성함과 총체성, 인문학적 가치 지향 홀리스틱 접근, 보살핌과 배려, 개방성/포괄/상관성, 그리고 3T원리(전수/교류/변혁)와 같은 기본 개념을 최근 미술교육 담론 안에서 논의한다. 그런 다음 살펴본 이론적 논의에 근거해 인간 중심 홀리스틱 미술교육 실천을 위한 제언들을 간략하고 일반적인 수준에서 제시한다.

    영어초록

    This paper aims to conceptualize holistic approaches to art education for humanity. After a brief investigation into holistic approaches to education in general, it discusses about holistic approaches to art education that weigh the value of nurturing our humanity. The primary foci of this discussion include spirituality and wholeness, holistic approaches centered at the value of humanity, caring thinking, openness/inclusiveness/ connections, and 3T strategies: transition, transaction, and transformation. Looking at these overarching concepts from more recent discourses in art education, this paper puts more emphasis on the needs for holistic approaches to nurture humanity. Following this theoretical trajectory investigated, this paper, at the end, shares ideas for the practice of holistic approaches to art education in this direction. First, it calls for the needs for consilience requiring transdisciplinary approaches. Second, it proposes reinterpretation of the established theories and practices of art education from holistic approaches emphasizing the origin and condition of human being. Third, it requests both individual consciousness of social responsibility and efforts to take associated transformative action. Fourth, it addresses the needs for open mind in order to celebrate various moments of life well balanced and harmonized. Finally, it offers chances to reshape our educational practices from different standpoints while reflecting transition, transaction, and transformation.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미술교육논총”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방대한 자료 중에서 선별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목차부터 본문내용까지 자동 생성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캐시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8월 14일 목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10:19 오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