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正祖의 奎章閣臣 書齋肖像 요구 : 정조대 서재초상화의 새로운 양상 (Request of King Jeongjo : Portraits of his Courtiers in the Scholars’ Studios)

28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6.16 최종저작일 2020.06
28P 미리보기
正祖의 奎章閣臣 書齋肖像 요구 : 정조대 서재초상화의 새로운 양상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서울대학교 규장각한국학연구원
    · 수록지 정보 : 규장각 / 56호 / 217 ~ 244페이지
    · 저자명 : 이혜원

    초록

    정조대 규장각 제학을 역임한 吳載純(1727~1792)의 아들 吳煕常의 문집 『老洲集』에는 집안의 내력을 밝힌 「家乘逸事」에 다음의 글이 있다. “정조께서 일찍이 內閣[규장각]에 명하여 公(吳載純)의 眞像을 그려 올리라 하셨다. 하루는 또 畵工을 불러 閣臣들이 집에서 기거하는 그림[家居圖]을 그리도록 명하고 畵題를 써서 내리며 이르기를 ‘吳提學이 趺坐하고 習靜하는 모습, 金提學이 손님을 마주하고 불주를 휘둘러 먼지를 터는 모습, 金直學이 술에 취해 책상에 기대어 잠든 모습’이라 하고는, 화공을 시켜 그 집에 가서 작은 초상을 그리고 또한 堂과 들창, 책상, 벼루의 위치를 모두 그려 올리라 하시었다. 김제학은 相公 金鍾秀(1728-1799)이고, 김직학은 相公 金熹(1729-1800)이다.” 이 기록은 강관식교수가 임매의 서재초상과 함께 ‘이전에는 볼 수 없었던 새로운 도상’의 등장으로 소개한 바 있다. 이에 본 논문은 정조대 서재초상화에서 등장한 새로운 양상이 어떤 것이었는지 추적하였다. 새로운 도상이 등장하게 된 배경에는 정조의 회화관, 규장각의 화원체제와 정조와 閣臣과의 관계가 작용되었다고 보았고, 이에 텍스트는 3부분의 문구로 나누어 분석하였다. 첫 번째 문구는 <가거도>의 제작주체와 대상에 관한 내용이고, 두 번째 문구는 제작방식과 화제의 내용에 관한 것이며, 세 번째 문구는 작품의 소재와 성격에 관한 것이다. <가거도> 화제는 정조가 생각한 근신들의 성정과 행적을 바탕으로 하는 응축된 이미지였으며, 이를 한 컷의 장면으로 연출하여 시각화한 이미지였다. 사랑하는 近臣들을 이상적인 서재의 표상인 明窓淨几에서 고사적 품격의 이미지로 격상하여 재현하려했던 정조의 시도는 김종수의 화제에서 볼 수 있듯 그 ‘이미지다운’ 실질적인 협력에 대한 암묵적 요구를 의미한다. 오희상의 「가승일사」에 기록된 각신 3인의 서재초상은 이전의 조선 초상화에서 강조하던 전형성에서 벗어나 서재 배경의 속화, 각화, 문방도가 고사적 풍모와 결합한 참신한 방식의 재현이었으며 동시에 18세기 서재 이미지에 일정한 영향을 주는 창작방식이 되었다.

    영어초록

    A story about making portraits under the order of the king Jeongjo(正祖 r. 1776-1800) is recorded in Gaseungilsa (家乘逸事, a family’s untold secret) of Rojujip(老洲集) by Oh Hee-sang(吳煕常), the son of Oh Jae-soon(吳載純 1727~1792) who held his position as Kyujanggak(奎章閣) Jaehak(提學). “King Jeongjo ordered the Kyujanggak to create a portrait of Oh Jae-soon. One day, he called the court artist to illustrate the individual figures staying at their homes. Oh Jaehak laid cross-legged in meditation, Kim Jaehak greeted others and swung his bulju(拂麈), Kim Jikhak was dozing off against his desk, drunk. He ordered the court artist to visit the houses and illustrate small portraits; moreover, he requested for the inclusion of the scholar's studio and the specified positions of the window, desk, and inkstone. Kim Jaehak is Kim Jong-soo(金鍾秀 1728-1799), Kim Jikhak is Kim Hee(金熹 1729-1800).” Prof. Kang Kwan-sik introduced this record as 'an expression that could not be seen in the past.’ Thus, this essay explains what the new aspects are and why they are so. In the era of King Jeongjo, the background of the newly introduced aspects, such as Oh Hee-sang’s document, held the point of view of King Jeongjo, art department structure of Kyujanggak, and relationship between King Jeongjo and Kyujanggak’s officers. With this, this text is divided into such three sections: first being the description about the orderer and the sitters, second being the individual titles and procedures in constructing the artworks, and third being the subjects and characteristics of each portrait. Through these, the following essay reveals the parallelism existing among the personalities of the subject figures observed by the king, titles of the works, and speculated scenes in correspondence. In addition to the idealized concept of the scholar’s studio, ‘Myung-chang-jung-gwe(明窓淨几)’, that includes the attempt to raise his loving courtiers’ image values, he requested compliance and loyalty to himself, which shows a complex psychological mind, an ironic and interesting perspective. What personifies King Jeongjo’s style, contrasting to the typicality of the Joseon dynasty portraits, are the space of the scholar’s studio that holds the stationeries, genre painting, and the aura of elegance, and these characters likely held great influence on the works of the 18th century.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규장각”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방대한 자료 중에서 선별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목차부터 본문내용까지 자동 생성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캐시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8월 14일 목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9:30 오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