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전후 아동소설 연구 -『그리운 메아리』와『메아리 소년』을 중심으로 (A study of postwar children's fiction)

25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6.16 최종저작일 2012.05
25P 미리보기
전후 아동소설 연구 -『그리운 메아리』와『메아리 소년』을 중심으로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한국아동문학학회
    · 수록지 정보 : 한국아동문학연구 / 22호 / 205 ~ 229페이지
    · 저자명 : 장영미

    초록

    문학이 시대를 반영하고, 시대의 면면들이 문학에 투영되는 것은 자명하다. 특히 1950년 6‧25 전쟁은 그 이후 한국 문학에 있어 문학적 상상력과 성격을 형성한다. 50년대 문학이 전쟁 체험 세대의 증언적 성격을 내포하면서 피해적 측면으로 6‧25관을 형상화하였다면, 1960년대는 6‧25 전쟁을 보다 객관적으로 수용하고 형상화한다.
    이런 점을 염두에 두고 1960년대 작품, 강소천의『그리운 메아리』와 이원수의『메아리 소년』을 중심으로 전후 아동소설을 살펴보았다. 월남 작가 강소천은 가족과 고향에 대한 그리움으로 반공을 노골적으로 드러내는 등 양가치적 사고를 반영한다. 이원수는 6․25 전쟁이 남긴 상흔에 매몰되지 않고 냉철한 시선으로 객관적 인식을 획득한다. 즉, 전후의 상흔들이 감정 과잉에서 나오는 즉자적인 것이 아니라, 이데올로기 극복이라는 문제로 천착하면서 새로운 주제 의식을 드러낸다. 이렇듯 월남인인 강소천 문학의 원형질인 원체험과 이원수의 객관적 거리 감각이 1960년대 전후 아동소설의 특징 중 하나라는 것을 발견할 수 있다. 또한 두 작가의 전쟁, 이데올로기 문제를 통해 아동문학의 소재 확장의 중요성을 인식할 수 있다. 물론 1960년대 강소천과 이원수의 전쟁을 소재로 한 두 작품은 분명 한계점을 지니지만, 아동문학의 외연과 내연 확장으로 연결될 수 있으며 1960년대를 들여다보는 작품으로 평가할 수 있다.

    영어초록

    Literature reflects this era, and it is fairly clear that every faces of the era is projecting into the literature. The Korean War on June 25, 1950 form the literary imagination and personality. If 1950s literature describe a view of the Korea War as a enemy of damage, involving testified character of generation that lived through the korean war. it was accepted more objectively is from 1960's.
    With this in mind, I worked postwar children's fiction with writer So-Cheon Kang's『A Longing Echo』 and Won-Su Lee's『Echo Boy』 as the center which are written in 1960s. Writer as a north Korean refugee, So-Cheon Kang is a reflection of ambivalence thinking that is revealing blatantly anti-communist as a missing for family and home. Writer, Won-Su Lee get an objective recognition using cool-headed eyes that is not buried under the scars of the war left In other words, scars left by the war reveal new thematic consciousness, digging into the issue of overcoming the ideology, not just over-emotional sense itself.
    Like this, we can find one of the features of 60' postwar children fiction that are the distance sense of the objective of Won-Su Lee and basic experience that is protoplasm of So-Cheon Kang who is a refugee of north korea.
    At a same time, we can recognize the importance of expanded materials of children's novel. Of course, there are those two works in a clear limitation that is war material, nevertheless it can be connected as an extension of external and internal connection and it can be evaluated as a opportunity that is looking in 60's that are war experience of those two writers and ideological issues.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한국아동문학연구”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방대한 자료 중에서 선별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목차부터 본문내용까지 자동 생성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캐시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8월 13일 수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7:19 오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