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새로운 도시개발 패러다임이 도시개발정책에 주는 시사점 (The Suggestion of New Urban Development Paradigm for Urban Development Policy)

10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6.16 최종저작일 2007.09
10P 미리보기
새로운 도시개발 패러다임이 도시개발정책에 주는 시사점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국토지리학회
    · 수록지 정보 : 국토지리학회지 / 41권 / 3호 / 265 ~ 274페이지
    · 저자명 : 이종용

    초록

    최근 도시 연구분야에서 도시개발과 관련한 새로운 패러다임이 활발하게 논의되고 있다. 새로운 도시개발 패러다임은 교통혼잡, 환경오염, 오픈스페이스의 감소, 서민형 주택의 부족, 도심의 쇠퇴, 도시의 무계획적인 확산과 같은 다양한 현대 도시문제에 대한 해결책을 모색하는 과정에서 등장하였다. 도시개발과 관련한 새로운 패러다임 중에 가장 많이 논의되고 있는 개념들은 미국의 스마트성장과 뉴어바니즘, 일본과 유럽의 컴팩트 시티, 영국의 어번빌리지, 그리고 우리나라의 살고 싶은 도시 만들기 등을 들 수 있다. 본 논문에서는 이처럼 세계 각국에서 논의되고 있는 새로운 도시개발 패러다임에 대해 살펴보고, 각각의 특징을 정리하였다. 또한 도시개발 패러다임의 구체적인 실천요소들을 기존 도시개발과 관련한 사례 연구들 통하여 살펴 봄으로써 패러다임의 특징을 정리하고자 하였다. 그 결과, 이들 패러다임들은 각기 등장하게 된 배경 및 수단에는 차이가 있지만 공통적으로 추구하고 있는 것은 기존의 도시계획의 문제점 및 한계를 극복하고 도시계획의 새로운 방향성과 담론을 제시하고 있다는 점을 파악할 수 있었다. 한편, 다양하게 제시되고 있는 이들 새로운 도시개발 이론과 실천수단들을 적용하여 우리나라 도시 문제의 해결과 도시경쟁력 강화 측면에서 그 발전방향을 모색하였다. 결과적으로 도시의 경쟁력 강화를 위한 도시개발의 새로운 방향으로는 인간존중, 자연친과, 시장지향, 성장수용, 시민참여형 도시성장이 필요하며, 이를 위해서는 도시의 지능화와 지식화를 가속화시키고 데이터에 기반한 도시계획과 관리가 필요하다고 볼 수 있다. 또한 기존의 도시개발 일변도의 사업방식에서 탈피하여 도시의 재생 및 관리 등 도시생애를 고려한 새로운 도시개발 패러다임을 위한 체계적인 전략을 마련하여야 할 것이다.

    영어초록

    The most recently, It is rising to discuss new paradigm about urban development as an issue over the field of urban research. New urban development paradigm was introduced for looking solution those of various problems such as urban traffic jam, environmental pollution, open spatial decrease, shortage of public house supply and injudicious urban area extension. The most general theories of new urban development are smart growth, new urbanism of america, compact city of europe and japan, urban village of british, and activity of making willing to live town. In this research, I took survey of general ideas above examples and explained each paradigm?s detail and pulled out the factors with case study of present urban development. At result, Although each has born based on different environment and culture, those paradigms head to same direction such like to overcome the limit of existing problem of urban planning. Moreover, I conducted research to find direction of development which is mean to solve the south korea?s urabn problem and to strength urban?s competitive with above theories and actual factors. And we have to make new structured urban development strategy with considering urban restoration and sustainable development, which has different view from existing development plan.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국토지리학회지”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찾으시던 자료가 아닌가요?

지금 보는 자료와 연관되어 있어요!
왼쪽 화살표
오른쪽 화살표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방대한 자료 중에서 선별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목차부터 본문내용까지 자동 생성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캐시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8월 14일 목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10:48 오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