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장자』 「齊物論」 胡蝶之夢 우화의 ‘物化’에 대한 새로운 해석 (The new interpretation of ‘wuhua物化’ in ‘Chap. Two: Discussion on Making All Things Equal’ in Zhuangzi)

35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6.16 최종저작일 2014.12
35P 미리보기
『장자』 「齊物論」 胡蝶之夢 우화의 ‘物化’에 대한 새로운 해석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한국동양철학회
    · 수록지 정보 : 동양철학 / 42호 / 119 ~ 153페이지
    · 저자명 : 이택용

    초록

    본 논문은 『장자』「제물론」 胡蝶之夢 우화에 나타나는 ‘物化’에 대한 기존의 정의가 문리적으로 어긋나 있거나 장자철학의 宗旨에서 벗어나 있다는 판단에서, 물화에 대하여 새로운 정의를 시도한다.
    「제물론」은 ‘인식 주체ㆍ객체의 실체 확인 불가능’을 통하여 是非 판단의 문제를 제기함으로써 齊物적 인식을 주장한다. 그리고 장자는 내편 전체에서 ‘物의 化’ 즉 ‘命’[운명적 사태]을 ‘無己ㆍ齊物’을 통하여 담담히 수용함으로써 縣解 내지는 逍遙遊의 경지에 이르는 것[安命論]을 주장한다.
    장자철학에서 ‘化’가 갖는 구체적 함의는 세 가지, 즉 ‘物의 변화[物之化]ㆍ物의 변화를 수용함[外化]ㆍ마음이 변화함[內化]’이다. 이 중에서 ‘物의 변화[物之化]’는 ‘죽음이나 신체적 손상 및 무용한 존재가 됨’ 등 어쩔 수 없이 인간이 직면하는 상황[운명적 사태]인데, 이에 대하여 인간은 ‘外化하여 內不化’하거나 또는 ‘外不化하여 內化’하는 두 가지의 모습을 취하게 된다. 전자의 모습이 바로 縣解 내지는 逍遙遊의 경지이다. 이처럼 ‘物의 변화’는 장자철학에서 ‘인간이 직면하는 문제 상황’으로서의 함의를 가지며 이 자체는 장자가 추구하는 경지가 아니다.
    이러한 판단에 터 잡아 논구한 결과 胡蝶之夢 우화에서의 ‘物化’는 ‘物之化’가 아니라 ‘與物化’의 줄임말이며, 더 구체적으로는 ‘與物而內化’라는 의미로서 ‘物[의 변화]에 따라 내심이 변화[구속]됨’이라는 부정적 개념이라는 결론이 도출되었다.
    결론적으로 胡蝶之夢 우화 중의 “장주와 나비 사이에 或 분명한 구분이 있다[고 여긴다]면, 이를 物化라 한다[周與胡蝶則必有分矣. 此之謂物化].”라는 선언은, “齊物적 인식이 아니면 物의 변화에 구속되어 縣解ㆍ逍遙에 이를 수 없다.”라는 장자의 경고인 것이다.

    영어초록

    This paper proposes a new definition of ‘wuhua物化’ after assessing that the interpretation of the existing definition of ‘wuhua’ in the last fable in ‘Chap. Two: Discussion on Making All Things Equal’ in Zhuangzi, deviates far from the philosophical principle of Zhuangzi.
    Zhuangzi insists, in ‘Chap. Two, seeing all things equal by raising a question on discussion of the rights and wrongs through ‘the impossibility of the reality check of the subject and the object’. In addition, Zhuangzi asserts to reach a stage of ‘the happy wandering逍遙遊, or being freed from the bonds縣解’ by admitting ‘change in the objects[物之化]’, in other words, ‘ming命’[fateful state] composedly through ‘selflessness無己 and seeing all things equal齊物’ in his entire inner chapter of the book.
    In Zhuangzi's philosophy, ‘hua化’ contains three specific implications, that is to say, ‘change in the objects[物之化], admission of the change in the objects[外化], and change in the stage of mind[內化]’. Of these three meanings, ‘change in the objects’ describes the stage of ‘becoming dead, damaged physically, or worthless’ human beings have to face eventually. Confronted by this change in the objects, human can take two different positions by either remaining composed by admitting the change in the objects or changing the stage of one's mind in result of failing to accept the change in the objects. Between these two, the former case can reach the stage of ‘the happy wandering, or being freed from the bonds’. Thus, as shown in his philosophy, ‘changes in the objects’ has implications of ‘problematic situation that human beings face in their lives’, and by itself is not the stage that he pursued to be.
    Based on this judgement, after studying the concept of ‘wuhua’ in the last fable in ‘Chap. Two, the conclusion was drawn that ‘wuhua’ is an abbreviation for ‘change according to the objects與物化’, not ‘change in the objects[物之化]’, more specifically, has meaning of ‘change in the stage of mind according to the change in objects[與物而內化]’ and also it possesses a negative notion of ‘change in the stage of mind resulted in the change in the objects’ inwardly.
    In conclusion, Zhuangzi's declaration saying “if it is assumed that there is a clear distinction between him and the butterfly, it is named wuhua” in the last fable in Chap. two is giving us a caution that “If not awareness through making all things equal, human beings can not reach the stage of ‘the happy wandering, or being freed from the bonds’, being caught up with change in the objects.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동양철학”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9월 05일 금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12:53 오전